생활경제

생활경제

롯데쇼핑의 두 얼굴, 백화점은 웃고 마트는 울었다

 롯데쇼핑이 주력 사업 부문 간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리며 다소 아쉬운 3분기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백화점과 해외 사업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선방했지만, 마트와 슈퍼를 중심으로 한 그로서리 사업이 실적 부진의 늪에 빠지면서 전체 이익을 깎아 먹었다. 롯데쇼핑이 7일 공시한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305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8%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 4101억 원으로 4.4% 줄었고, 특히 울산역 환승센터 사업 철회에 따른 대규모 손상차손이 반영되면서 487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적자로 전환됐다.

 

이번 실적의 일등 공신은 단연 백화점 부문이었다. 백화점은 본점과 잠실점 등 핵심 대형 점포의 매출 호조에 힘입어 3분기 매출 7343억 원, 영업이익 796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7%, 9.0% 성장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올해 들어 3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며 그룹의 든든한 버팀목 역할을 했다. 엔데믹 이후 급증한 외국인 관광객의 효과가 결정적이었다. 실제로 3분기 본점의 외국인 매출은 전년 대비 39%나 폭증했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9%까지 치솟으며 실적을 견인했다.

 


반면, 마트와 슈퍼를 합친 그로서리 부문은 전체 실적의 발목을 잡았다. 그로서리 부문은 매출이 1조 3035억 원으로 8.8%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71억 원에 그치며 무려 85.1%나 급감하는 ‘어닝 쇼크’ 수준의 부진을 보였다. 추석 명절 시점의 차이와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서 제외된 점이 악재로 작용했다. 여기에 내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는 e그로서리 사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 비용이 반영된 것도 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해외 사업은 5분기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며 새로운 희망으로 떠올랐다. 특히 2023년 문을 연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가 분기 최대 흑자를 달성하며 현지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고, 인도네시아 발리점 역시 리뉴얼 효과를 톡톡히 봤다.

 

그 외 다른 사업 부문들은 대체로 내실을 다지는 데 성공했다. 이커머스(롯데온)는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에서 매출은 16% 줄었지만, 영업손실을 전년 동기의 절반 이하인 96억 원까지 줄이며 수익성 개선에 청신호를 켰다. 홈쇼핑과 컬처웍스 역시 각각 상품 포트폴리오 재정비와 특화관 강화 등에 힘입어 흑자를 기록했다. 롯데쇼핑은 4분기 연말 성수기를 맞아 백화점의 대형 점포 리뉴얼과 크리스마스 마켓 운영, 마트·슈퍼의 신선식품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실적 반등을 이루겠다는 각오다. 백화점과 해외 사업의 꾸준한 성장세가 그로서리 사업의 부진을 딛고 연말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을지 주목된다.

 

4050, 교복 입고 설악산 수학여행 떠나는 기막힌 이유

1월 한 달간, 장기 침체에 빠진 설악동 관광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025 설악동 활성화 프로그램-추억감성여행'을 총 4회에 걸쳐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관광 상품을 넘어, 아련한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감성과 설악산의 수려한 자연 및 속초 고유의 지역 자원을 결합한 1박 2일 체류형 체험 콘텐츠다. 한 팀당 약 15명, 총 60명 규모로 진행되는 이 실험적인 여행이 과연 설악동의 부활을 이끄는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이번 '추억감성여행'의 핵심 콘셉트는 바로 '다시 떠나는 수학여행'이다. 참가자들은 빛바랜 사진 속에서나 볼 법한 옛 교복을 맞춰 입고, 마치 학창 시절로 돌아간 듯한 설렘을 안고 1박 2일의 여정을 시작한다. 여행의 동선은 속초와 설악동의 매력을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짜였다. 실향민의 애환이 서린 아바이마을을 전문 해설사와 함께 둘러보고, 직접 함경도식 만두를 빚으며 그들의 문화를 체험한다. 이어서 설악산의 백미로 꼽히는 케이블카에 탑승해 울긋불긋한 단풍과 어우러진 권금성의 절경을 감상하고, 활기 넘치는 속초관광수산시장을 방문해 동해의 싱싱한 먹거리를 맛본다. 이튿날에는 고즈넉한 사찰에서 불교 문화를 체험하고, 만추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설악산 단풍길을 트레킹하며 여행의 대미를 장식한다.속초시가 이처럼 '추억'을 전면에 내세운 데에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특정 세대만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중장년층과 젊은 세대를 모두 아우르는 영리한 전략을 구사한다. 교복을 입고 떠나는 수학여행이라는 콘셉트는 40~60대 중장년층에게는 아련한 향수와 함께 젊은 날의 추억을 소환하는 감동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동시에, 옛것에서 새로움과 재미를 찾는 '뉴트로(New-tro)' 트렌드에 열광하는 20~30대 젊은 세대에게는 독특하고 이색적인 체험형 콘텐츠로 매력을 어필한다. 이처럼 세대를 초월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추억감성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소통하고 즐기는 특별한 시간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된다.나아가 이번 프로그램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상권 활성화라는 실질적인 목표를 품고 있다. 참가자들의 숙박을 설악동 내 숙박 단지와 직접 연계하고, 식사 및 체험 활동을 지역 업체들과 함께 진행함으로써 관광객의 소비가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도록 설계했다. 이병선 속초시장은 "11월의 속초는 가을 여행의 최적기"라며, "이번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기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과연 수십 년의 추억을 소환하는 이번 감성 여행이 깊은 침체의 늪에 빠진 설악동에 새로운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