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Culture

소설가 은희경과 e스포츠 협회장의 '역대급' 만남…도대체 무슨 일이?

 'K-컬처 300조' 시대를 열기 위한 정부의 야심찬 청사진을 뒷받침할 싱크탱크가 마침내 닻을 올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0일, 소설가 은희경을 위원장으로 하는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를 장관 직속 기구로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위원회는 지난 10월 대중문화산업의 선도 기업들을 중심으로 꾸려진 '대중문화교류위원회'와 함께 문화 강국 실현을 이끌 양대 축으로 기능하게 된다. 정부가 문화예술계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직접 반영하고, 기초 예술과 산업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각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가 90명을 한자리에 모은 것이다. 이는 일방적인 정책 수립에서 벗어나, 현장과 긴밀히 호흡하며 실효성 있는 전략을 만들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으로 풀이된다.

 

이번에 위촉된 90인의 위원 명단은 그야말로 한국 문화예술계의 '어벤져스'라 불릴 만큼 화려하고 폭넓은 스펙트럼을 자랑한다. 문학계의 거목 은희경 작가를 필두로, 한국 뮤지컬 시장의 성장을 이끈 신춘수 제작사협회 회장, 발레리나 김주원, '시나위'의 기타리스트이자 바른음원협동조합을 이끄는 신대철, 작곡가 윤일상 등 순수예술과 대중음악계를 아우르는 인물들이 대거 포진했다. 여기에 더해 e스포츠의 김영만 협회장, 만화계의 신일숙 협회장 등 급성장하는 신산업 분야의 전문가들과 CJ CGV, 교보문고 등 콘텐츠 유통 및 플랫폼 업계 대표들까지 참여해 K-컬처 생태계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진용을 갖췄다. 배우 이기영, 이원종, 김수로 등 현장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창작자들의 합류는 정책 논의에 생생한 현실감을 더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위원회는 보여주기식의 전체 회의를 지양하고, 실질적인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 분과별 수시 회의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 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식이다. 안건 역시 K-컬처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들에 집중된다. 예술인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장르 간 융합과 새로운 시도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화창조 산업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미래 K-컬처의 주역이 될 청년 예술인들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 마련이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다뤄질 전망이다.

 

최휘영 문체부 장관이 APEC 경주선언을 인용하며 "토대와 기초가 튼튼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성장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듯, 이번 위원회는 화려한 K-컬처의 이면에 있는 기초 예술의 토양을 다지는 역할을 부여받았다. 대중문화교류위원회가 산업적 외연 확장에 주력한다면,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회는 그 근간이 되는 창작 생태계를 강화하는 내실을 다지는 역할을 맡는 셈이다. 산업과 예술, 대중과 순수, 현장과 정책을 잇는 이 거대한 소통 플랫폼이 과연 K-컬처 300조 시대라는 목표를 달성하고 한국을 명실상부한 문화 강국으로 이끄는 실질적인 동력이 될 수 있을지, 문화예술계 안팎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 찬사…3만명 몰려가 직접 달려본 마라톤 코스

형 등 유명인으로 구성된 출연진들은 지난 10일 방송에서 세계 7대 메이저 마라톤으로 공식 등극한 'TCS 시드니 마라톤' 완주에 도전했다. 이들은 시드니의 상징인 하버브리지를 직접 발로 달리며 오페라하우스 앞 결승선을 통과하는 감동적인 여정을 선보이며, 단순한 도시를 넘어 스포츠의 성지로 거듭난 시드니의 역동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했다.이번 방송의 핵심인 TCS 시드니 마라톤은 올해를 기점으로 보스턴, 런던, 뉴욕, 도쿄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애보트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 대회로 공식 승격되었다. 이는 시드니가 세계적인 스포츠 도시로서의 입지를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 호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이 국제 마라톤 대회에는 100여 개국에서 3만 3천여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모여 장관을 이뤘다. 특히 하버브리지와 서큘러키, 오페라하우스를 잇는 코스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라톤 코스'라는 찬사를 받으며, 단순한 기록 경쟁을 넘어 도시의 풍광을 만끽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마라톤의 뜨거운 열기 이후, 방송은 도전적인 여정과 대비되는 평화롭고 낭만적인 호주의 모습을 담아냈다. 출연진은 시드니 근교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헌터밸리와 포트스테판으로 이동해 진정한 휴식을 즐겼다.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산지인 헌터밸리에서는 150개가 넘는 와이너리 중 한 곳을 방문하고 열기구를 체험하며 목가적인 풍경 속에서 미식과 여유를 만끽했다. 이어 포트스테판의 광활한 모래언덕과 천연 해변에서는 돌고래 크루즈를 포함한 다채로운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며 호주 대자연이 주는 모험과 휴식을 동시에 경험했다.결과적으로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는 단순한 연예인들의 여행기를 넘어, 하나의 도시가 품을 수 있는 경험의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은지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의 중심에서 느끼는 짜릿한 성취감부터, 대자연 속에서 누리는 평화로운 휴식과 미식의 즐거움까지, 스포츠, 자연, 도시 문화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진정한 매력을 한국 시청자들에게 각인시켰다. 이는 새로운 여행지에 대한 영감과 동기를 부여하며, 호주 여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