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정치

코리아정치

돌격소총에 저격총까지..베일 벗은 尹 경호, 얼마나 강력하길래?

 윤석열 대통령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장이 체포영장 집행 시 무력 충돌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하면서, 실제 무력 동원 가능성과 함께 경호처 내 '대응공격팀'(CAT)의 실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4일 군사 전문가들에 따르면, 한남동 대통령 관저 경호 인력 200여 명 중 50여 명이 CAT 요원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대통령 근접 경호를 담당하는 일반 경호원들과 달리, 위해 세력을 사전에 제압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기동 타격과 화력 지원을 담당하는 특수 경호 부대다.

 

CAT 요원들은 일반 경호원들이 사용하는 MP7 기관단총이나 K2 소총보다 화력이 강력한 HK416, 아라드(ARAD) 등의 돌격소총으로 무장한다. 뿐만 아니라 5.56㎜ 저격총, 유탄발사기, 샷건, 베레타 또는 글록 권총 등 다양한 화기를 상황에 따라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최근 언론에 포착된 CAT 요원의 배낭에는 AR-15 계열 소총과 여분의 탄약이 들어있을 것으로 추정되면서, 실제 상황에서의 압도적인 화력 사용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AR-15 계열 소총은 낮은 반동과 높은 명중률, 가벼운 무게가 장점으로 꼽히며, 특수부대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는 총기다.

 

CAT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HK416은 AR-15 계열 소총 중에서도 '명품'으로 불린다. 독일 H&K사가 개발한 이 소총은 2011년 미 해군 특수부대 '데브그루'가 오사마 빈 라덴 사살 작전에 사용하면서 유명세를 탔다. 유효 사거리 800m, 최대 사거리 2860m에 달하며, 분당 최대 900발을 발사할 수 있는 막강한 화력을 자랑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해군특수전전단이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처음 사용한 바 있다.

 

이스라엘 IWI사가 개발한 아라드 역시 AR-15 계열 소총으로, 300~1000m 거리에서의 교전에 효과적이며, 분당 최대 1100발을 발사할 수 있다.

 

CAT 요원들은 주로 경찰특공대와 육군 제707특수임무단 출신의 정예 요원들로 구성되며, 6명 단위로 팀을 이뤄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팀별로 임무 특성에 맞춰 필요한 무기를 소량씩 별도 구매하는 등 실전과 같은 훈련을 통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여름에 오르기 좋은 명산 네 곳, 각기 다른 매력과 산행 포인트 총정리

(779m)은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이름 그대로 오봉산이라 불린다. 남쪽으로는 소양호, 북쪽으로는 파로호가 보이는 명당에 자리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이 산이 특별한 이유는 청평사, 고려정원, 구성폭포 등 명소가 많고, 특히 내륙 산임에도 소양호를 끼고 있어 배를 타고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청평사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드나들기 어려워 마지막 배를 놓친 연인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긴 곳이기도 했다. 10여 년 전 오봉산 백치고개가 확대 포장되면서 이런 추억은 역사가 됐지만, 여전히 소양댐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인기가 높다. 대부분 등산객은 배후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며, 표고차가 크지 않아 비교적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다만 암릉이 많아 위험 구간에는 철주와 쇠줄이 설치되어 있으니 초심자들은 주의해야 한다.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변산(508m)은 바다와 산, 어느 쪽에서 보아도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서해를 향해 튀어나온 반도 내부 산악지대를 내변산, 바다와 접한 지역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변산의 여러 봉우리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은 관음봉과 세봉으로, 이 두 봉우리를 잇는 산줄기가 명찰 내소사를 감싸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내소사 입구 일주문에서 출발해 관음봉 삼거리, 관음봉, 세봉, 세봉 남릉을 거쳐 다시 일주문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형이다. 직소폭포나 월명암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차량을 내소사에 주차했다면 되돌아오는 길이 번거로울 수 있다.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 경계에 위치한 내연산(710m)은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지나 동해안 쪽으로 뻗어 형성된 산이다.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755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완만한 육산이라 단조로워 보일 수 있으나, 20리에 달하는 골짜기에는 12개의 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청하골 12폭포로 불리는 이 폭포군은 내연골 초입 상생폭포부터 시작해 보현폭, 삼보폭, 장룡폭, 무룡폭을 거쳐 제6폭포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에서 계곡미의 진수를 보여준다. 산길이 순하고 뚜렷하게 이어지며, 위험 구간에는 안전시설물이 잘 갖춰져 있어 편안한 산행이 가능하다. 보경사에서 시작해 여러 폭포를 거치는 인기 코스는 천천히 걸어도 1시간 정도면 충분히 즐길 수 있다.마지막으로 운문산(1,195m)은 가지산과 함께 영남알프스 산군의 북쪽에 거대한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군의 능선을 따라 경북 청도군과 경주시,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의 경계가 이루어져 지역 문화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동과 영서를 나누는 백두대간만큼이나 이 지역에서는 중요한 산군이다. 가지산과 한 줄기로 연결된 운문산은 능선종주가 가능한 긴 산줄기지만, 대부분의 등산객은 각 봉우리를 별개의 산행지로 인식한다. 특히 산행 시작점의 고도가 낮은 운문산은 정상까지 오르는 데만 약 2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고도차가 크다. 석골사에서 시작하는 인기 코스는 물론, 밀양 남명리에서 아랫재를 통해 오르는 코스도 모두 가파른 오르막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