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정치

코리아정치

"비상계엄으로 백령도 꽃게밥 될 뻔" 이재명, 사법리스크는 운명의 일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자신을 둘러싼 사법리스크에 대한 솔직한 심경을 드러내며 지지층 결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불거진 '12·3 비상계엄' 문건까지 언급하며 "자칫하면 백령도 앞바다에 꽃게밥이 될 뻔했다"는 강경 발언까지 서슴지 않았다.

 

18일 친야 성향 유튜브 채널 '새날'에 출연한 이 대표는 "사법리스크는 운명의 일부일 뿐"이라며 담담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제 부족함 때문에 생긴 결과"라면서도 "삼족을 멸하지 않은 것만 해도 만족한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마치 사법리스크를 뛰어넘어 더 큰 위협과 싸우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듯한 발언이었다.

 

특히 이 대표는 최근 논란이 된 '12·3 비상계엄' 문건을 직접 거론하며 "이번에는 자칫 잘못하면 백령도 앞바다에 꽃게밥이 될 뻔했다"고 말해 충격을 안겼다. 이는 당시 상황을 얼마나 위험하게 인식했는지 보여주는 동시에, 자신을 향한 정치적 공세가 목숨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했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어 이 대표는 지난해 발생한 '테러 사건' 이후 초연해졌다는 평가에 대해 "내가 덜 괴로우려고 하는 것"이라며 "고통으로 받아들이면 너무 힘들다"고 솔직한 심정을 털어놓기도 했다. 그는 "길을 가다 강을 만났을 때 '강이 왜 이렇게 깊고 넓어'라고 불평하기보다는 그냥 건너가야 한다"며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이번 '새날' 출연은 이 대표가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이동형TV'에 이어 선택한 세 번째 친야 유튜브 채널 인터뷰다. '새날'은 108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대표적인 친야 성향 채널로, 이날 방송 역시 2만 명 이상의 시청자가 동시 접속하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이처럼 이 대표는 친야 성향 유튜브 채널을 적극 활용하며 지지층과의 소통 강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사법리스크 장기화 국면에서 '정치 보복' 프레임을 강화하고,  지지층을 결집해 검찰 수사에 대한 비판 여론을 키우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 대표의 이러한 행보가 검찰 수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또 향후 정국에는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폐광 감자, 이렇게 맛있다니?” 강원랜드 상생 프로젝트 본격 시작

트 내 식음업장 9곳에서 ‘지역 감자 상생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폐광지역에서 재배된 감자를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 이를 리조트 방문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농가와 상생하는 모델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이번에 선보이는 메뉴는 감자의 특성과 풍미를 최대한 살린 다양한 요리 40종으로 구성된다. 대표 메뉴로는 산채 감자떡, 감자 짜장면, 감자 옥수수 빙수, 숯불에 구운 감자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이원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에게 신선하고 색다른 미식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강원랜드는 이번 메뉴 출시를 계기로 폐광지역 감자 5톤을 구매할 예정으로, 정선, 태백, 영월, 삼척 등 폐광지역 4개 시·군의 감자 농가들에게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목표다.이번 ‘지역 감자 상생 프로젝트’는 강원랜드가 이전에 진행한 지역 농산물 활용 이벤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지난 여름 성수기에는 지역 찰옥수수 3만 개를 매일 아침 수확 즉시 제공하는 ‘원데이 프레시’ 행사를 진행하며, 방문객과 임직원들에게 신선한 옥수수를 제공한 바 있다. 강원랜드는 계절별, 제철별로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제철 나물 장아찌, 고랭지 배추 등 지역산 식자재를 메뉴에 접목해 고객에게는 신선함을, 농가에는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상생형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작년 한 해 강원랜드는 폐광지역에서 생산된 식자재 구매에 약 7억 원을 집행하며 지역 농가와의 상생 행보를 이어왔다. 2025년까지는 구매액을 10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 판로 확대와 폐광지역 민생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최철규 강원랜드 대표이사 직무대행은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 “성수기 옥수수 나눔 행사에 이어, 이번 감자 활용 메뉴를 통해 폐광지역 농가를 돕고, 방문객에게 새로운 미식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강원랜드는 지역 대표 식자재를 적극 활용해 농산물 판로 확대에 기여하고, 폐광지역 민생경제 활성화에 앞장서는 공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메뉴 개발을 넘어, 지역 사회와 기업 간 상생의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폐광지역 농가들에게는 안정적 수익을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연계까지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이원리조트 내 식음업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감자 본연의 맛을 살린 다양한 요리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의 우수성을 직접 체감할 수 있다. 강원랜드는 향후에도 지역 농가와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며,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계절별 식자재 활용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특히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경험하게 하고, 동시에 지역 농가에는 안정적인 판로와 수익을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이번 감자 상생 프로젝트를 통해 강원랜드는 공기업으로서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역할을 강화하고, 관광객과 지역 주민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델을 실현하고 있다. 앞으로 강원랜드는 폐광지역 농가의 다양한 작물과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프로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결과적으로 강원랜드의 이번 감자 상생 프로젝트는 지역 농가 지원, 관광 산업 활성화, 고객 만족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향후 연중 계절별로 선보이는 지역 농산물 활용 메뉴와 이벤트를 통해, 강원랜드는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고, 폐광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이번 프로젝트는 폐광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이라는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지역 농가의 안정적 판로 확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 산업 연계라는 다층적 효과를 노리는 강원랜드의 전략적 상생 모델로 주목된다. 하이원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은 감자의 다양한 맛과 풍미를 경험하며 지역 농산물의 우수성을 체감할 수 있고, 농가들은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결국 이번 프로젝트는 지역 농가, 관광객, 기업 간 상생의 구체적 사례로 자리 잡으며, 공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모델로 평가된다. 강원랜드는 앞으로도 폐광지역 농가와 협력하여 지역 특산물 활용 메뉴와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연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