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정치

코리아정치

SPC 회장 자택 앞에서 물구나무 선 권영국, '거꾸로 된 세상' 몸으로 항의한 사연

 2021년 2월, 파리바게뜨 제빵기사 노조에 100여 장의 탈퇴서가 접수됐다. 한때 730명이던 조합원은 300여 명으로 급감했다. 관리자들의 "민주노조에 남아있으면 불이익이 있을 것"이라는 압박이 계속됐고, 노조 가입 제빵기사들은 승진에서 배제됐다. 계열사 SPL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져 228명이던 조합원이 12명으로 줄었다.

 

절박한 상황에서 임종린 파리바게뜨 지회장은 2022년 3월 단식 투쟁에 돌입했다. 이때 그의 곁을 지킨 이가 '파리바게뜨 노동자 힘내라 공동행동'의 대표 권영국 변호사였다. 권영국은 서울 한남동 허영인 SPC 회장 자택 앞에서 물구나무를 선 채 1인 시위를 벌였다. "SPC가 법적 책임을 면하려 한 합의였는데 오히려 노동조합을 탄압하고 있다. 현실을 거꾸로 뒤집고 있어서 몸으로 표현하고자 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었다.

 

임 지회장의 53일 단식 투쟁 이후에도 SPC는 변하지 않았다. 2022년 10월 SPL 평택공장에서 노동자 박선빈씨가 기계에 끼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안전장치도, '2인 1조' 매뉴얼도 지켜지지 않았다. 불매운동이 확산한 후에야 허영인 회장이 나와 사과했다.

 

권영국은 노동 현장만이 아니라 이주노동자들의 싸움에도 함께했다. 2005년 이주노동자들이 노조 설립을 추진할 때 대리인으로 나섰고, 10년에 걸친 법정 싸움 끝에 2015년 대법원에서 승소했다. 이주노조 부위원장 섹 알 마문은 "당시 노조는 돈이 없어 변호사 선임이 어려웠고, 미등록 이주노동자들의 노조 설립에 적극 나선 변호사도 없었다"며 권영국의 헌신을 기억했다.

 


권영국 자신도 1985년 풍산금속 노동자로 시작했다. 노조 결성에 나섰다가 해고되고 '업무방해죄·노동쟁의조정법 위반' 등으로 3년 6개월간 옥살이를 했다. 출소 후 사법고시를 통과해 변호사가 됐고, '민주노총 법률원 초대 원장',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노동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했다.

 

2009년 용산 참사와 쌍용자동차 파업 진압 당시에도 권영국은 현장에 있었다. 용산 참사로 남편을 잃은 전재숙씨는 "모든 걸 잃은 상황에서, 그 긴 싸움 동안에 곁에 있던 이가 권영국 변호사였다"고 회상했다.

 

2014년 대법원에서 '쌍용차의 해고가 유효하다'는 판결이 나오자 권영국은 정치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2016년 용산 참사 당시 강경 진압의 책임자였던 김석기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이 경북 경주에 출마하자 권영국도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이제 '거리의 변호사'는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가 됐다. 그의 지지자들은 노동자, 철거민뿐 아니라 전세사기 피해자, 성소수자, 장애인 단체까지 확대됐다. 안상미 인천미추홀구전세사기피해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대선에서 권영국 후보에게 주는 표는 사표가 아니에요. 우리를 살리는 표죠"라고 말했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