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정치

코리아정치

이재명 시대, 국민 70% '압도적 긍정' 평가

 이재명 대통령의 향후 5년간 직무 수행에 대한 국민 여론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이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포인트)에 따르면, 응답자의 70%가 이재명 대통령이 앞으로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잘 수행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부정적으로 본다는 응답은 24%, 의견을 유보한 응답자는 6%에 그쳤다.

 

정치 성향 및 지지 정당에 따른 전망 차이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98%가, 성향 진보층의 92%가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 지역의 95%가 긍정 응답을 보였고, 보수층에서는 긍정과 부정 응답이 팽팽하게 맞섰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경우 65%가 향후 5년 국정 운영을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수치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초반 여론보다 높은 수준이다. 윤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직무 긍정 전망이 55\~57%, 취임 첫 주에는 60%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갤럽은 이번 결과에 대해 "2025년 대선이 역대 최소 격차인 25만 표 차이로 결정된 만큼, 보통은 낮은 기대치가 형성되기 마련이지만, 이번에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높은 기대가 나타난 점이 주목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에게 바라는 점에 대해 자유응답 형식으로 물은 결과, ‘경제 회복·활성화’가 1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서민 정책·복지 확대’(6%), ‘열심히/잘하길 바람’(6%), ‘통합·화합·협치’(5%), ‘재판 피하지 말 것’(4%), ‘계엄·내란 종식’(4%), ‘국민을 위한 정치’(4%)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경제 문제 해결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함께 정치적 책임성과 통합 리더십에 대한 기대가 동시에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민의힘은 21%로 집계됐고, 개혁신당은 5%, 무당층(지지 정당 없음)은 21%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민주당이 40대(58%), 50대(57%)에서 강세를 보였고,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72%의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반면, 국민의힘은 70대 이상에서 30%, 대구·경북에서 40%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다.

 

이번 조사는 민주당이 집권 여당이 된 이후 첫 여론조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대선 직전(5월 31일\~6월 1일) 조사 대비 7%포인트 상승했으며, 국민의힘 지지도는 12%포인트 하락하면서 양당 간 지지율 격차가 최근 5년 내 가장 크게 벌어졌다. 이 같은 흐름은 지난해 12월 대통령 탄핵안 표결 직후와 유사한 양상으로, 정권 교체 후 정치 지형에 큰 변화가 일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적합성 평가도 함께 이뤄졌다. 응답자의 49%는 김민석 후보자가 "국무총리로 적합하다"고 응답했으며, 23%는 "부적합하다", 29%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김 후보자에 대한 적합 평가는 민주당 지지층(79%)과 진보층(75%)에서 압도적으로 높았고, 국민의힘 지지층의 61%는 부적합하다고 평가했다.

 

김민석 후보자의 적합도는 최근 10여 년간 국무총리 후보자들 가운데 문재인 정부 당시 이낙연 후보(60%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기록됐다. 특히 정치적 입장이 뚜렷한 계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응답자에서는 긍정 평가가 우세하거나 긍·부정이 엇비슷하게 나타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로 생성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통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접촉률은 44.9%, 응답률은 14.9%였다. 조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