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정치

코리아정치

"하루가 30시간이었으면..." 이재명 대통령 참모진 표정 화제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한 달을 맞아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참모진의 고충을 언급하며 격려의 말을 전했고, 이때 생중계 화면에 잡힌 참모들의 표정이 온라인상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취임 한 달 소회를 묻는 질문에 "시간이 하루 24시간이 아니라 한 30시간만 되면 어떨까, 이런 생각을 할 때가 꽤 있다"라고 솔직한 심정을 털어놓았다.

 

이어서 "인수위원회 없이 업무가 시작되다 보니까 사실은 혼선도 많고 또 준비도 완벽하지 못해서 어려움이 많다"며 참모들의 고충을 언급했다. 특히 "위성락 대사께서 코피를 쏟고 다른 사람들은 막 살이 빠져서 얼굴이 핼쑥해지고 이래서 미안하다"고 말하며, "우리 공직자들이 코피 흘리고 피곤해서 힘들어하고 이런 것들만큼 곱하기 5117만 배의 효과가 있다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달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하던 중 코피를 흘렸다고 알려진 바 있다.

 


이 대통령의 발언 직후 생중계 카메라는 참모진을 비췄는데, 위 안보실장은 무표정으로 일관했고, 옆에 있던 강훈식 비서실장은 입꼬리를 올려 옅은 미소를 머금으며 이 대통령을 바라보는 모습이 포착됐다. 또한 고개를 숙여 웃는 다른 참모들의 표정도 화면에 잡혔다.

 

이 장면은 소셜미디어(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빠르게 회자됐다. 누리꾼들은 "강 비서실장님은 체념하고 모든 걸 내려놓으셨나 보다", "위 안보실장님은 '내가 뭘 잘못 들었나'하는 것 같다", "참모들 두 배로 뽑아야 하는 거 아니냐" 등의 농담 섞인 반응을 보였다.

 

이번만이 아니라 참모진의 피로한 행색은 여러 차례 온라인에서 주목받은 바 있다. 지난달 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이 대통령이 해외 출국하던 날, 환하게 웃는 강훈식 실장의 표정이 포착된 사진은 '워커홀릭 직장 상사 출장길'이라는 밈(유머콘텐츠)으로 SNS에서 확산되기도 했다.

 

또한 이 대통령 취임 초기에는 대통령실 인사 검증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이 과로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한 사실이 당시 브리핑을 통해 알려지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들은 인수위 없이 출범한 이재명 정부의 바쁜 일정과 참모진의 과중한 업무 부담을 보여주는 단면으로 해석되고 있다.

 

호텔 예약 불가능? 올여름 숙박시설이 '만실'된 놀라운 현상의 배후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냉방 시설이 완비된 쇼핑 공간이 '도심 속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호텔업계에 따르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영향으로 주요 휴가지 숙박 시설의 예약률이 급증하고 있다. 롯데리조트 속초는 여름 성수기인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객실이 거의 만실 상태에 이르렀으며, 부산 L7해운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예약률이 16% 포인트 높아졌다.특히 호텔 내에서 모든 식사와 활동을 해결할 수 있는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호텔 제주의 올인클루시브 패키지는 7월 판매량이 전월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이 패키지는 2박 전용 상품으로 조식과 석식은 물론, 수영장 풀카페에서 치킨, 자장면, 피자 등의 메뉴를 즐길 수 있는 혜택이 포함되어 있다.호텔신라도 제주와 부산 지역 호텔에서 수영장 식음매장의 짬뽕, 칵테일 등이 포함된 패키지 상품이 호응을 얻고 있다. 서울신라호텔의 경우 투숙 기간 무제한 야외 수영장 이용과 30만원 상당의 호텔 내 식음료 혜택이 제공되는 3연박 패키지가 목표치를 50% 초과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조선호텔앤리조트의 부산 지역 호텔들도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예약률이 작년 동기간 투숙률보다 5% 높아졌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강원, 제주 소재 켄싱턴호텔과 리조트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만실이 예상되며, 강원도의 설악밸리와 설악비치는 이미 객실이 모두 채워졌고, 제주권과 경상권도 예약률이 90%를 넘어섰다.도심 속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폭염 특수를 누리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7월 1일부터 13일까지 매출과 방문객이 각각 15%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매출도 각각 13.7%, 13.5% 늘었다. 특히 7월 11일과 12일 한낮 기온이 36도까지 오르자 에어컨이 가동되는 백화점으로 소비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여름 정기세일 또한 쇼핑객 증가에 한몫했다. 백화점 3사는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수백 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했으며, 이른 무더위와 여름 휴가철 쇼핑 수요가 맞물려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대형마트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마트는 7월 초반 13일간 매출과 방문객이 전년 동기 대비 5%씩 증가했고,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매장 트레이더스는 방문객이 15%나 급증했다.폭염으로 인해 냉방 관련 상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롯데하이마트의 에어컨과 선풍기 매출은 7월 초반 13일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0%, 80%가량 증가했으며, 다이소의 휴대용 선풍기 매출은 두 배 이상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