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구혜선·안재현, 이혼 후 '폭망'..‘망신 예능’, ‘망연기’로 추락해

배우 구혜선(39)과 안재현(37)의 최근 행보는 시끄러운 논란과 더불어 침체된 커리어로 팬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구혜선은 이혼 후 예능에서의 논란과 연기 활동 부진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안재현 역시 예능 출연은 이어가고 있지만 시청률 저조와 연기력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구혜선은 최근 15일 방송된 MBC 예능 프로그램 <라디오스타>에 출연하면서 태도 논란에 휘말렸다. 이날 구혜선은 흰색 털모자를 쓰고 등장했으며, 긴 머리로 얼굴을 가린 채로 출연했다. 그녀는 모자를 쓴 이유에 대해 "씻으려고 했으나 보일러가 고장 나 머리를 못 감았다"고 설명하며 "PD님이 모자를 벗고 촬영하면 좋겠다고 하셨지만, 상황상 벗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를 본 시청자들은 의견이 엇갈렸다. 모자를 쓰는 것 자체는 문제없다고 생각한 시청자들도 있었지만, 머리를 감지 않고 출연하는 것에 대한 예의 부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특히 부스스한 머리로 얼굴을 가린 모습이 불편함을 주었고, 이에 대한 논란이 불거졌다. 구혜선은 논란 후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예능 방송에서 개인 사정상 모자를 쓴 것은 태도 불량이나 무례한 일이 아니며, 내 자유"라며 입장을 밝히기도 했지만, 이 글을 이후 삭제했다.

 

한편, 구혜선은 배우뿐만 아니라 영화감독, 작곡가, 화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배우로서의 활약은 이혼 후 전혀 눈에 띄지 않으며, 과거의 연기력 논란이 여전히 그를 괴롭히고 있다. '발연기'로 회자되는 영상은 여전히 구혜선의 연기력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남아 있으며, 예능 출연은 그녀의 독특한 성격으로 인해 종종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안재현도 마찬가지로 시청률 저조와 연기력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현재 MBC 예능 <나 혼자 산다>에 주기적으로 출연하고 있지만, 방송 시청률은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11월 8일, 1월 3일 방송에서는 각각 5%대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평균 시청률 7%대를 기록하는 <나 혼자 산다>에서 현저히 낮은 성적을 보였다. 특히 11월 방송에서는 시청률이 이전 회차보다 1.1%포인트 하락하며 굴욕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또한, 방송 중 과도한 음주 장면을 보여주며 비판을 받기도 했다.

 

본업인 연기에서도 안재현은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다. 지난해에는 KBS 드라마 <진짜가 나타났다>에서 남자 주인공 역할을 맡았지만, 그의 어색하고 과장된 연기 때문에 연기력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극의 몰입을 방해하는 그의 연기는 드라마 성적에 영향을 미쳤고, 결국 드라마의 시청률은 20% 초반대를 맴돌았으며, 최저 시청률은 16.5%까지 떨어졌다. 주인공 역할이었지만, 극에 대한 몰입도가 떨어지면서 드라마 성적도 부진했다.

 

이혼 후 각자 홀로서기를 시도한 두 사람의 현재 행보는 그리 성공적이지 않다. 구혜선과 안재현은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다시 일어설 기회를 찾고 있지만, 그들의 커리어는 여전히 침체된 상태로, 팬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있다. 과거의 결혼과 이혼, 그리고 논란 속에서 여전히 회자되는 그들의 이름은, 그들의 예술적 커리어와 맞물려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핫플 등극하더니…별마당 도서관, 세계 10대 관광 혁신 프로젝트 선정

하나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한국 관광의 위상을 세계 무대에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트립닷컴 그룹이 지난 5월 말 개최한 '인비전.2025 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에서 신설을 발표한 '관광 혁신상'은 전 세계 관광 산업의 미래를 이끌 창의적 아이디어와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창설된 권위 있는 프로그램이다. 심사는 트립닷컴 내 예약 증가 및 소셜미디어 확산 등 인지도 제고 효과,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글로벌 공개 투표, 그리고 국제 관광기관 전문가 심사라는 세 가지 엄격한 기준으로 이뤄졌다.수백 개의 후보작 중 최종 10개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린 별마당 도서관은 각 수상작에 수여되는 6만 달러(약 8천만 원)의 상금과 함께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몰입형 공연 '스피어 애프터라이프 쇼', 사우디아라비아의 에코 럭셔리 리조트 '셰바라 리조트', 영국 런던의 '킹스크로스역' 등 세계적인 명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문학과 예술, 여행을 결합한 '예술 혁신' 사례로 주목받았다.별마당 도서관은 13m 높이의 웅장한 서가와 7만여 권의 장서가 인상적인 도심 속 열린 문화공간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설계되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하고 풍요로운 문화 경험을 선사한다. 매주 명사 초청 강연,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일상 속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서울을 대표하는 포토 스팟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미 트립닷컴 AI 추천 목록인 '트립.베스트'에도 소개될 만큼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었다.홍종민 트립닷컴 한국지사장은 "별마당 도서관은 문화적 경험과 시각적 감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도시형 관광 콘텐츠의 모범 사례"라며, "한국 대표 명소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것은 매우 뜻깊으며, 한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여행지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강조했다.이번 수상은 한국 관광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맞물려 더욱 의미를 더한다. 한국 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외래 관광객 수는 2022년 319만 명에서 2023년 1103만 명, 2024년에는 1636만 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3년 연속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별마당 도서관의 이번 세계적 인정은 K-관광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글로벌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