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박소담, 철저히 숨겨온 사생활에 네티즌 화들짝

 배우 박소담과 박원숙이 6촌 친척 관계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최근 박소담의 소속사인 아티스트컴퍼니는 한 언론 보도를 통해 “박소담과 박원숙은 6촌 친척이 맞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박원숙이 박소담의 할아버지와 사촌 사이이며, 박소담은 박원숙의 사촌 오빠의 손녀에 해당한다. 이 같은 인연은 연예계 안팎에서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로, 많은 이들의 놀라움을 자아냈다.

 

두 사람은 이미 2015년 개봉한 영화 '사도'에서 함께 출연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현장에서는 이들이 친척이라는 사실을 숨기고 연기에 임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두 배우는 작품 속에서 서로의 존재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고, 연기 활동과 작품 선택에 있어서도 각자의 길을 걸으며 서로에게 든든한 조언자 역할을 해왔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연기 DNA가 남다르다”, “둘이 어딘가 닮았다”, “현장에서 모른 척하기 힘들었을 듯” 등의 반응이 쏟아졌다.

 

박소담은 2013년 영화 '더도 말고 덜도 말고'로 데뷔한 이후 '잉투기', '마담 뺑덕',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베테랑', '사도', '검은 사제들'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연기력을 쌓아왔다. 특히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에서 반지하에 사는 미대 입시 준비생 김기정 역을 맡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는 독특한 억양과 빠른 눈치로 미술치료 선생님을 사칭하는 역할을 능청스럽게 소화하며 극에 긴장감을 불어넣었다. 당시 그는 인터뷰에서 “정말 행복했다. 푹 빠져서 연기할 수 있었던 게 너무 좋았다”고 전하며, “이전엔 오로지 잘해야겠다는 생각뿐이었는데 이번 현장에선 모든 스태프들의 얼굴을 보고 소중함을 알게 됐다”며 시야가 넓어진 계기였음을 밝혔다.

 

 

 

한편 박소담의 6촌 친척인 박원숙은 연기뿐 아니라 개인사로도 주목받은 배우다. 박원숙은 20대 초반 첫 결혼 후 아들을 얻었지만 남편의 잇따른 사업 실패로 이혼했고, 이후 같은 남성과 재결합했으나 바람으로 인해 재혼 6개월 만에 다시 이혼했다. 이어 교포 출신 남성과 세 번째 결혼을 했으나 사업 실패와 빚 문제로 또다시 이혼의 아픔을 겪었다. 그녀의 외아들은 2003년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고, 이후 며느리의 재혼으로 인해 하나뿐이던 손녀와도 연락이 끊겼다.

 

하지만 박원숙은 시간이 흐른 후 고등학생이 된 손녀와 다시 연락을 시작했다. 이후 KBS2 예능 프로그램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에서 손녀와의 재회를 공개하며 감동을 자아냈다. 방송에서 그는 손녀를 만나기 위해 다양한 음식을 준비하고 “고맙다, 그냥 잘 커줘서 고맙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어 “얘 아빠한테 내가 너무 못해줘서 갑자기 그렇게 되고 나니까 너무 후회됐다. 얘를 만나고 나선 해주고 싶은 걸 다 해주고 싶다. 일종의 원풀이인 셈”이라며 안타까운 심경을 전했다.

 

이처럼 각각의 삶을 묵묵히 걸어온 두 배우가 같은 뿌리에서 비롯되었다는 사실은 많은 이들에게 진한 여운을 남긴다. 박원숙은 시대를 대표하는 중견 여배우로서의 무게를 견디며 살아왔고, 박소담은 자신의 연기 철학을 구축해가며 국내외 무대에서 존재감을 발휘하고 있다. 두 사람의 인연은 단순한 혈연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연기라는 공통된 길 위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빛을 발해온 이들의 관계는, 세대를 뛰어넘는 예술적 유전과 따뜻한 인간적 연결을 새롭게 조명하게 한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