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미지의 서울' 최종회 눈물바다... 할머니 죽음에 시청자들 '오열'


tvN 토일드라마 '미지의 서울'이 시청자들의 뜨거운 호응 속에 감동적인 막을 내렸다. 29일 방송된 최종회는 수도권 가구 평균 9%, 최고 10.3%, 전국 가구 평균 8.4%, 최고 9.4%의 시청률을 기록하며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특히 케이블 및 종편 동시간대 1위를 차지했으며, tvN 타깃인 2049 남녀 시청률에서도 수도권 평균 3.9%, 전국 평균 4.2%로 지상파를 포함한 전 채널 1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미지의 서울'은 각자의 아픔을 가진 인물들이 상처로 얼룩진 과거와 아름답게 이별하고 밝은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여정을 그렸다. 방황하던 유미지(박보영)는 대학에 진학해 상담심리사라는 새 꿈을 찾았고, 청각을 잃은 이호수(박진영)는 침묵의 세상을 받아들이며 살아갈 용기를 얻었다. 회사를 그만둔 유미래(박보영)는 딸기 농사로 성공했으며, 미국으로 떠났던 한세진(류경수)은 한국으로 돌아와 유미래와 재회했다.

 

드라마는 인물들의 성장뿐만 아니라 가슴 아픈 이별도 담았다. 유미지, 유미래 자매의 정신적 지주였던 할머니 강월순(차미경)이 가족들과 영원한 이별을 고하는 장면은 시청자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또한 티격태격하던 김옥희(장영남)와 염분홍(김선영)의 우정, 난독증을 극복한 현상월(원미경)의 변화 등 다양한 인물들의 성장 스토리가 감동을 선사했다.

 


이 드라마의 중심에는 쌍둥이 자매 유미지와 유미래 역으로 1인 4역에 도전한 박보영의 열연이 있었다. 얼굴만 똑같고 성격은 정반대인 쌍둥이 자매의 차이를 섬세하게 표현하며 매 순간 감탄을 자아냈다. 이호수 역의 박진영과 한세진 역의 류경수도 각기 다른 매력으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강 작가 특유의 따뜻하고 다정한 스토리텔링도 큰 호응을 얻었다. 얽히고설킨 캐릭터들의 관계를 통해 다양한 사랑의 형태를 보여주고,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감정을 섬세하게 풀어내는 대사들은 시청자들의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박신우, 남건 감독의 섬세한 연출 역시 드라마의 완성도를 높였다. 두손리와 서울의 공간적 구분을 위한 색감과 톤의 대비,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다양한 촬영 기법, 소품 활용의 디테일까지 시청자들의 몰입감을 높였다. 현장에서의 세심한 연기 지도와 CG, 음악 등 후반작업에도 공을 들여 퀄리티를 높인 결과, '미지의 서울'은 방영 내내 TV-OTT 드라마 화제성과 출연자 화제성 순위에서 상위권을 지켰다.

 

드라마는 영상 누적 조회수도 2억 뷰를 돌파하는 등 뜨거운 인기를 얻으며, '나'와의 오랜 짝사랑을 마치고 인생의 새로운 페이지를 마주한 모든 이들을 위한 사랑의 편지로 가슴 벅찬 힐링을 전하며 아름다운 마무리를 맺었다.

 

“폐광 감자, 이렇게 맛있다니?” 강원랜드 상생 프로젝트 본격 시작

트 내 식음업장 9곳에서 ‘지역 감자 상생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폐광지역에서 재배된 감자를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 이를 리조트 방문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농가와 상생하는 모델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이번에 선보이는 메뉴는 감자의 특성과 풍미를 최대한 살린 다양한 요리 40종으로 구성된다. 대표 메뉴로는 산채 감자떡, 감자 짜장면, 감자 옥수수 빙수, 숯불에 구운 감자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이원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에게 신선하고 색다른 미식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강원랜드는 이번 메뉴 출시를 계기로 폐광지역 감자 5톤을 구매할 예정으로, 정선, 태백, 영월, 삼척 등 폐광지역 4개 시·군의 감자 농가들에게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목표다.이번 ‘지역 감자 상생 프로젝트’는 강원랜드가 이전에 진행한 지역 농산물 활용 이벤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지난 여름 성수기에는 지역 찰옥수수 3만 개를 매일 아침 수확 즉시 제공하는 ‘원데이 프레시’ 행사를 진행하며, 방문객과 임직원들에게 신선한 옥수수를 제공한 바 있다. 강원랜드는 계절별, 제철별로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제철 나물 장아찌, 고랭지 배추 등 지역산 식자재를 메뉴에 접목해 고객에게는 신선함을, 농가에는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상생형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작년 한 해 강원랜드는 폐광지역에서 생산된 식자재 구매에 약 7억 원을 집행하며 지역 농가와의 상생 행보를 이어왔다. 2025년까지는 구매액을 10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 판로 확대와 폐광지역 민생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최철규 강원랜드 대표이사 직무대행은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 “성수기 옥수수 나눔 행사에 이어, 이번 감자 활용 메뉴를 통해 폐광지역 농가를 돕고, 방문객에게 새로운 미식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강원랜드는 지역 대표 식자재를 적극 활용해 농산물 판로 확대에 기여하고, 폐광지역 민생경제 활성화에 앞장서는 공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메뉴 개발을 넘어, 지역 사회와 기업 간 상생의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폐광지역 농가들에게는 안정적 수익을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연계까지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이원리조트 내 식음업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감자 본연의 맛을 살린 다양한 요리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의 우수성을 직접 체감할 수 있다. 강원랜드는 향후에도 지역 농가와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며,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계절별 식자재 활용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특히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경험하게 하고, 동시에 지역 농가에는 안정적인 판로와 수익을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이번 감자 상생 프로젝트를 통해 강원랜드는 공기업으로서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역할을 강화하고, 관광객과 지역 주민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델을 실현하고 있다. 앞으로 강원랜드는 폐광지역 농가의 다양한 작물과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프로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결과적으로 강원랜드의 이번 감자 상생 프로젝트는 지역 농가 지원, 관광 산업 활성화, 고객 만족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향후 연중 계절별로 선보이는 지역 농산물 활용 메뉴와 이벤트를 통해, 강원랜드는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고, 폐광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이번 프로젝트는 폐광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이라는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지역 농가의 안정적 판로 확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 산업 연계라는 다층적 효과를 노리는 강원랜드의 전략적 상생 모델로 주목된다. 하이원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은 감자의 다양한 맛과 풍미를 경험하며 지역 농산물의 우수성을 체감할 수 있고, 농가들은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결국 이번 프로젝트는 지역 농가, 관광객, 기업 간 상생의 구체적 사례로 자리 잡으며, 공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모델로 평가된다. 강원랜드는 앞으로도 폐광지역 농가와 협력하여 지역 특산물 활용 메뉴와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연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