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허니제이의 범접, 마지막까지 불태웠지만... '스우파' 파이널 좌절에 팬들 '탄식'

 엠넷의 글로벌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World of Street Woman Fighter)'에서 한국 대표 크루 범접(BUMSUP)이 치열한 접전 끝에 최종 탈락하며 시청자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지난 15일 방송된 세미파이널에서는 파이널 진출을 향한 댄서들의 불꽃 튀는 경쟁과 감동적인 순간들이 교차하며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날 방송에서는 호주팀 에이지 스쿼드(AG SQUAD), 한국팀 범접(BUMSUP), 미국팀 모티브(MOTIV), 일본팀 오사카 오죠 갱(OSAKA Ojo Gang) 등 네 크루가 '댄스 필름 미션'을 통해 각자의 독창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심사 결과, 압도적인 기량으로 에이지 스쿼드가 1위를 차지하며 파이널 직행을 확정 지었고, 오사카 오죠 갱이 2위로 그 뒤를 이어 파이널 티켓을 거머쥐었다. 아쉽게 3위에 랭크된 범접과 4위 모티브는 파이널 진출의 마지막 기회를 잡기 위해 피할 수 없는 탈락 배틀에 돌입하게 되었다.

 

벼랑 끝 승부로 펼쳐진 탈락 배틀은 그야말로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명승부였다. 첫 번째 라운드인 단체 배틀에서는 모티브가 5인 심사위원 전원 만장일치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얻어내며 기선 제압에 성공했다. 하지만 범접은 쉽게 물러서지 않았다. 2라운드 듀엣 배틀에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승리하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고, 이어 3라운드 1대1 배틀에서는 범접의 립제이가 뛰어난 실력으로 승리를 거두며 역전에 성공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모티브 역시 만만치 않았다. 4라운드 듀엣 배틀에서 다시 한번 심사위원 만장일치를 이끌어내며 승리를 차지, 2대2 동점을 만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결국 파이널 진출의 향방은 마지막 5라운드 1대1 배틀에서 결정되게 되었다. 모티브에서는 리더 말리, 범접에서는 리헤이가 마지막 주자로 나서 팀의 운명을 건 한판 승부를 펼쳤다. 결과는 4대1로 모티브의 승리였다. 이로써 세미파이널 최종 탈락 팀은 범접으로 결정되었고, 파이널 무대를 코앞에 둔 충격적인 결과에 현장에 있던 모두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모티브의 리더 말리조차 "감사하면서도 충격적"이라며 얼떨떨한 표정을 지었다.

 

탈락이 확정되자 범접 멤버들은 참았던 눈물을 쏟아냈다. 범접의 리더 허니제이는 "어떻게 해서든 마지막을 함께 하고 싶어서 악착같이 붙잡고 여기까지 왔다. 이렇게 눈물이 날 줄 몰랐다"며 북받치는 감정을 주체하지 못했다. 그녀는 이어 "4년 전 굉장히 많은 사랑을 받고 이런 인연을 맺을 수 있었다. 여정 속에서 이렇게 힘이 되는 멤버들을 만난 것만으로 감사하다"고 전하며 오열해 보는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허니제이는 "앞으로도 안주하지 않고 열심히 춤을 출 테니 많은 응원 부탁드린다. 예쁘게 봐달라"고 덧붙이며, 비록 이번 여정은 끝났지만 댄서로서의 열정은 계속될 것임을 다짐했다. 범접의 탈락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 또 다른 반전을 선사하며, 남은 파이널 무대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고조시켰다.

 

여름에 오르기 좋은 명산 네 곳, 각기 다른 매력과 산행 포인트 총정리

(779m)은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이름 그대로 오봉산이라 불린다. 남쪽으로는 소양호, 북쪽으로는 파로호가 보이는 명당에 자리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이 산이 특별한 이유는 청평사, 고려정원, 구성폭포 등 명소가 많고, 특히 내륙 산임에도 소양호를 끼고 있어 배를 타고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청평사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드나들기 어려워 마지막 배를 놓친 연인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긴 곳이기도 했다. 10여 년 전 오봉산 백치고개가 확대 포장되면서 이런 추억은 역사가 됐지만, 여전히 소양댐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인기가 높다. 대부분 등산객은 배후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며, 표고차가 크지 않아 비교적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다만 암릉이 많아 위험 구간에는 철주와 쇠줄이 설치되어 있으니 초심자들은 주의해야 한다.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변산(508m)은 바다와 산, 어느 쪽에서 보아도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서해를 향해 튀어나온 반도 내부 산악지대를 내변산, 바다와 접한 지역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변산의 여러 봉우리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은 관음봉과 세봉으로, 이 두 봉우리를 잇는 산줄기가 명찰 내소사를 감싸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내소사 입구 일주문에서 출발해 관음봉 삼거리, 관음봉, 세봉, 세봉 남릉을 거쳐 다시 일주문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형이다. 직소폭포나 월명암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차량을 내소사에 주차했다면 되돌아오는 길이 번거로울 수 있다.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 경계에 위치한 내연산(710m)은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지나 동해안 쪽으로 뻗어 형성된 산이다.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755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완만한 육산이라 단조로워 보일 수 있으나, 20리에 달하는 골짜기에는 12개의 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청하골 12폭포로 불리는 이 폭포군은 내연골 초입 상생폭포부터 시작해 보현폭, 삼보폭, 장룡폭, 무룡폭을 거쳐 제6폭포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에서 계곡미의 진수를 보여준다. 산길이 순하고 뚜렷하게 이어지며, 위험 구간에는 안전시설물이 잘 갖춰져 있어 편안한 산행이 가능하다. 보경사에서 시작해 여러 폭포를 거치는 인기 코스는 천천히 걸어도 1시간 정도면 충분히 즐길 수 있다.마지막으로 운문산(1,195m)은 가지산과 함께 영남알프스 산군의 북쪽에 거대한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군의 능선을 따라 경북 청도군과 경주시,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의 경계가 이루어져 지역 문화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동과 영서를 나누는 백두대간만큼이나 이 지역에서는 중요한 산군이다. 가지산과 한 줄기로 연결된 운문산은 능선종주가 가능한 긴 산줄기지만, 대부분의 등산객은 각 봉우리를 별개의 산행지로 인식한다. 특히 산행 시작점의 고도가 낮은 운문산은 정상까지 오르는 데만 약 2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고도차가 크다. 석골사에서 시작하는 인기 코스는 물론, 밀양 남명리에서 아랫재를 통해 오르는 코스도 모두 가파른 오르막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