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허니제이의 범접, 마지막까지 불태웠지만... '스우파' 파이널 좌절에 팬들 '탄식'

 엠넷의 글로벌 댄스 서바이벌 프로그램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World of Street Woman Fighter)'에서 한국 대표 크루 범접(BUMSUP)이 치열한 접전 끝에 최종 탈락하며 시청자들에게 큰 충격을 안겼다. 지난 15일 방송된 세미파이널에서는 파이널 진출을 향한 댄서들의 불꽃 튀는 경쟁과 감동적인 순간들이 교차하며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날 방송에서는 호주팀 에이지 스쿼드(AG SQUAD), 한국팀 범접(BUMSUP), 미국팀 모티브(MOTIV), 일본팀 오사카 오죠 갱(OSAKA Ojo Gang) 등 네 크루가 '댄스 필름 미션'을 통해 각자의 독창적인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심사 결과, 압도적인 기량으로 에이지 스쿼드가 1위를 차지하며 파이널 직행을 확정 지었고, 오사카 오죠 갱이 2위로 그 뒤를 이어 파이널 티켓을 거머쥐었다. 아쉽게 3위에 랭크된 범접과 4위 모티브는 파이널 진출의 마지막 기회를 잡기 위해 피할 수 없는 탈락 배틀에 돌입하게 되었다.

 

벼랑 끝 승부로 펼쳐진 탈락 배틀은 그야말로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명승부였다. 첫 번째 라운드인 단체 배틀에서는 모티브가 5인 심사위원 전원 만장일치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얻어내며 기선 제압에 성공했다. 하지만 범접은 쉽게 물러서지 않았다. 2라운드 듀엣 배틀에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승리하며 분위기 반전에 성공했고, 이어 3라운드 1대1 배틀에서는 범접의 립제이가 뛰어난 실력으로 승리를 거두며 역전에 성공하는 저력을 보여줬다.

 


그러나 모티브 역시 만만치 않았다. 4라운드 듀엣 배틀에서 다시 한번 심사위원 만장일치를 이끌어내며 승리를 차지, 2대2 동점을 만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결국 파이널 진출의 향방은 마지막 5라운드 1대1 배틀에서 결정되게 되었다. 모티브에서는 리더 말리, 범접에서는 리헤이가 마지막 주자로 나서 팀의 운명을 건 한판 승부를 펼쳤다. 결과는 4대1로 모티브의 승리였다. 이로써 세미파이널 최종 탈락 팀은 범접으로 결정되었고, 파이널 무대를 코앞에 둔 충격적인 결과에 현장에 있던 모두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모티브의 리더 말리조차 "감사하면서도 충격적"이라며 얼떨떨한 표정을 지었다.

 

탈락이 확정되자 범접 멤버들은 참았던 눈물을 쏟아냈다. 범접의 리더 허니제이는 "어떻게 해서든 마지막을 함께 하고 싶어서 악착같이 붙잡고 여기까지 왔다. 이렇게 눈물이 날 줄 몰랐다"며 북받치는 감정을 주체하지 못했다. 그녀는 이어 "4년 전 굉장히 많은 사랑을 받고 이런 인연을 맺을 수 있었다. 여정 속에서 이렇게 힘이 되는 멤버들을 만난 것만으로 감사하다"고 전하며 오열해 보는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허니제이는 "앞으로도 안주하지 않고 열심히 춤을 출 테니 많은 응원 부탁드린다. 예쁘게 봐달라"고 덧붙이며, 비록 이번 여정은 끝났지만 댄서로서의 열정은 계속될 것임을 다짐했다. 범접의 탈락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에 또 다른 반전을 선사하며, 남은 파이널 무대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고조시켰다.

 

“폐광 감자, 이렇게 맛있다니?” 강원랜드 상생 프로젝트 본격 시작

트 내 식음업장 9곳에서 ‘지역 감자 상생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폐광지역에서 재배된 감자를 활용한 메뉴를 개발하고, 이를 리조트 방문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농가와 상생하는 모델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이번에 선보이는 메뉴는 감자의 특성과 풍미를 최대한 살린 다양한 요리 40종으로 구성된다. 대표 메뉴로는 산채 감자떡, 감자 짜장면, 감자 옥수수 빙수, 숯불에 구운 감자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이원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에게 신선하고 색다른 미식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강원랜드는 이번 메뉴 출시를 계기로 폐광지역 감자 5톤을 구매할 예정으로, 정선, 태백, 영월, 삼척 등 폐광지역 4개 시·군의 감자 농가들에게 안정적인 판로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목표다.이번 ‘지역 감자 상생 프로젝트’는 강원랜드가 이전에 진행한 지역 농산물 활용 이벤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지난 여름 성수기에는 지역 찰옥수수 3만 개를 매일 아침 수확 즉시 제공하는 ‘원데이 프레시’ 행사를 진행하며, 방문객과 임직원들에게 신선한 옥수수를 제공한 바 있다. 강원랜드는 계절별, 제철별로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제철 나물 장아찌, 고랭지 배추 등 지역산 식자재를 메뉴에 접목해 고객에게는 신선함을, 농가에는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상생형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작년 한 해 강원랜드는 폐광지역에서 생산된 식자재 구매에 약 7억 원을 집행하며 지역 농가와의 상생 행보를 이어왔다. 2025년까지는 구매액을 10억 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 판로 확대와 폐광지역 민생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최철규 강원랜드 대표이사 직무대행은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 “성수기 옥수수 나눔 행사에 이어, 이번 감자 활용 메뉴를 통해 폐광지역 농가를 돕고, 방문객에게 새로운 미식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강원랜드는 지역 대표 식자재를 적극 활용해 농산물 판로 확대에 기여하고, 폐광지역 민생경제 활성화에 앞장서는 공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메뉴 개발을 넘어, 지역 사회와 기업 간 상생의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폐광지역 농가들에게는 안정적 수익을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연계까지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이원리조트 내 식음업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감자 본연의 맛을 살린 다양한 요리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의 우수성을 직접 체감할 수 있다. 강원랜드는 향후에도 지역 농가와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며,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계절별 식자재 활용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특히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를 통해 방문객들에게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경험하게 하고, 동시에 지역 농가에는 안정적인 판로와 수익을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이번 감자 상생 프로젝트를 통해 강원랜드는 공기업으로서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역할을 강화하고, 관광객과 지역 주민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델을 실현하고 있다. 앞으로 강원랜드는 폐광지역 농가의 다양한 작물과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과 프로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결과적으로 강원랜드의 이번 감자 상생 프로젝트는 지역 농가 지원, 관광 산업 활성화, 고객 만족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향후 연중 계절별로 선보이는 지역 농산물 활용 메뉴와 이벤트를 통해, 강원랜드는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구축하고, 폐광지역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이번 프로젝트는 폐광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메뉴 개발이라는 단순한 소비 촉진을 넘어, 지역 농가의 안정적 판로 확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 산업 연계라는 다층적 효과를 노리는 강원랜드의 전략적 상생 모델로 주목된다. 하이원리조트를 찾는 고객들은 감자의 다양한 맛과 풍미를 경험하며 지역 농산물의 우수성을 체감할 수 있고, 농가들은 안정적인 판로 확보와 수익 창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결국 이번 프로젝트는 지역 농가, 관광객, 기업 간 상생의 구체적 사례로 자리 잡으며, 공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모델로 평가된다. 강원랜드는 앞으로도 폐광지역 농가와 협력하여 지역 특산물 활용 메뉴와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연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