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엔터

코리아엔터

"뺨 때리고, 지하실 폭행까지"…'친밀한 리플리', 막장 전개 어디까지?

 '친밀한 리플리' 이일화가 현모양처의 가면을 벗고 싸늘한 복수를 다짐하며 안방극장에 긴장감을 선사했다. 지난 13일 방송된 KBS 2TV 일일드라마 '친밀한 리플리' 13회는 닐슨코리아 기준 전국 시청률 8.4%를 기록, 동 시간대 1위를 차지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날 방송에서는 어릴 적 버린 딸이 죽었다는 거짓말에 속은 한혜라(이일화)가 최종환을 향한 의심을 품기 시작하고, 자취를 감췄던 진짜 주영채(이효나)가 돌아와 파란을 예고했다.

 

한혜라와 진세훈(한기웅)과 함께 패션쇼장을 찾은 차정원(이시아)은 무대 위 모델로 선 주영채의 전 남자친구 박경신(김현재)을 보고 경악했다. 패션쇼가 끝난 후 박경신과 대화를 시도했지만, 한혜라가 나타나 두 사람의 관계를 추궁하며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한혜라가 자리를 비운 사이, 박경신은 차정원에게 주영채 행세를 하는 이유를 따져 물으며 원망을 쏟아냈고, 결국 차정원은 그의 뺨을 때리며 분노를 표출했다. 이 소식을 듣고 달려온 공난숙(이승연)은 "쟤는 영채야. 내 딸 주영채"라며 박경신을 끌고 가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공난숙은 박경신을 외딴 지하실로 끌고 가 수하를 시켜 무자비하게 폭행했다. "영채를 버리고 딴 짓거릴 해?"라며 분노하는 공난숙 앞에 주하늘(설정환)이 나타나 겨우 상황을 말렸다. 공난숙은 의식을 차린 박경신에게 "차정원도, 주영채도 만난 적 없습니다"라는 거짓 진술을 강요하며 사건을 일단락시켰다. 한편, 가짜 딸의 수목장까지 확인한 한혜라는 진태석(최종환)에게 딸이 죽었다는 소식을 전하며 오열했다. 자신을 위로하는 진태석을 향해 "당신 때문이야!"라고 원망을 쏟아내던 한혜라는 이내 "내가 잠깐 어떻게 됐었나 봐요"라며 사과했지만, 속으로는 "당신이 거짓말한 거라면, 절대 용서 못 해"라며 칼을 갈고 있었다.

 

차정원에게 자신의 삶을 맡기고 떠났던 진짜 주영채가 돌아오면서 극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패션쇼 현장에서 한혜라, 진세훈과 함께 있는 차정원의 모습을 목격한 주영채는 자신의 엄마 공난숙마저 차정원의 편에 서서 박경신을 협박하는 모습에 충격을 받았다. 결국 주영채는 "박경신부터 처리하고 내 자리 찾을게. 기다려"라며 차정원을 향한 선전포고를 날렸고, 복도에서 마주친 진세훈을 향해 "비주얼이 내 스타일이긴 하네"라며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어 앞으로의 전개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켰다.

 

내년 한국인 여행지 1위, '도쿄·오사카' 아니었다…476% 폭증한 '이곳'의 정체는?

유지하겠다는 응답(44%)을 넘어, 올해보다 더 자주, 더 많이 떠나겠다는 적극적인 여행객도 36%에 달했다. 주목할 점은 예산 계획의 변화다. 무조건 저렴한 곳만 찾는 '가성비 여행'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10명 중 7명 이상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돈을 여행에 쓸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항공권과 숙박에 더 과감히 투자하겠다는 응답자도 31%나 되었다. 이는 여행의 '양'뿐만 아니라 '질'을 높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그렇다면 이들이 선택한 여행지는 어디일까? 놀랍게도 정답은 도쿄나 파리 같은 대도시가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시선은 이제 덜 알려졌지만 특별한 매력을 간직한 일본의 소도시로 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아름다운 단풍으로 유명한 '아사히카와'의 검색량은 전년 대비 무려 476%나 폭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오키나와의 숨은 보석'이라 불리는 '미야코지마' 역시 247% 상승하며 그 뒤를 이었다.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다. 중국의 '충칭'(245%), 아프리카의 섬나라 모리셔스의 '포트루이스'(148%), 이탈리아 남부의 '바리'(87%) 등 기존의 인기 여행지 공식을 벗어난 이색적인 장소들이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남들이 다 가는 곳을 따라가는 여행이 아닌, 나만의 취향과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맞춤형 여행'이 대세가 되었음을 의미한다.여행의 목적 또한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여행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에서 인증샷을 남기는 행위를 넘어섰다. 새로운 트렌드의 선두에는 '마트어택'이 있다. 비싼 맛집 대신 현지 슈퍼마켓을 공략해 그 나라의 진짜 식문화를 경험하려는 흐름으로, 한국인 여행객의 절반 이상이 이를 즐기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MZ세대 사이에서는 '여·만·추(여행에서의 만남을 추구)'가 새로운 코드로 떠올랐다. 여행지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로맨틱한 인연을 기대하는 이들이 10명 중 4명에 달할 정도.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가거나 현지 서점을 탐방하는 '책스케이프' 역시 큰 인기다. 이미 한국인 응답자의 63%가 책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을 떠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 습득 방식의 변화가 있다. 과거 여행 책자나 블로그가 하던 역할은 이제 '유튜브'가 대신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61%가 유튜브를 통해 여행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으며, 특히 Z세대에게는 유튜브(70%)와 인스타그램(56%)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결국 2026년의 여행은 정해진 코스를 따르는 단체 관광이 아닌, 유튜브에서 발견한 이색적인 숙소(아부다비)나 현지 식재료(이탈리아 바리) 등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출발하는 '나만의 여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