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매일

사회매일

부산시, 가족 책 읽기 도서관 개설로 독서 문화 활성화

 부산시교육청이 야간까지 문을 여는 초등학교 도서관을 개설하여 가족 친화적 독서 환경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번 정책은 부산의 학부모와 자녀들이 함께 책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가족 책 읽기’ 사업과 독서체인지 프로그램 시행을 위해 평일 저녁과 주말에 학생과 학부모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도서관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학부모들이 퇴근 후나 주말에 가벼운 마음으로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다. 

 

도서관 운영 시간은 평일은 4시 30분부터 밤 10시까지, 주말은 오후 1시부터 밤 9시까지로 예상되며, 성소연 기획조정과장은 “부산지역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총 15곳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은 가족 단위 방문객을 위해 도서관 환경을 개선하는데도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특구 예산을 활용해 도서관에 조명과 안락한 독서 공간 등의 시설을 보완할 예정이며, 가로등과 CCTV 등의 시설도 보강할 예정이다. 

 

도서관 개방 사업이 본격화되면 독서 문화 정착을 위해 추진된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될 예정이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번 사업으로 독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학교 도서관이 소통과 공감의 친화적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아직 신라·롯데는 시작도 안했다…미리 보는 2025 크리스마스 '케이크 전쟁'

하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단순한 디저트를 넘어 연말의 특별한 분위기를 완성하는 ‘작은 사치’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호텔 케이크 시장의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워커힐, 인터컨티넨탈, 포시즌스 등 주요 호텔들이 먼저 화려한 라인업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흥행몰이에 나섰다. 이들은 최고급 재료와 예술적인 디자인을 앞세워 브랜드의 자존심을 건 한판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올해 공개된 라인업 중 현재까지 최고가 타이틀은 워커힐 호텔앤리조트가 차지했다. 프랑스어로 ‘하얀 겨울의 빛’을 뜻하는 ‘뤼미에르 블랑슈’ 케이크는 무려 38만 원에 달한다. 눈 덮인 겨울 마을을 연상시키는 화이트초콜릿 장식이 특징인 이 케이크는, 지난해 서울신라호텔이 트러플과 명품 디저트 와인을 넣어 40만 원에 선보였던 최고가 케이크의 아성에 도전한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역시 회전목마를 형상화한 50개 한정판 ‘메리고라운드’ 케이크를 35만 원에, 포시즌스 호텔 서울은 블랙 트러플 크림을 넣은 30만 원짜리 ‘다이아몬드 포시즌스 리프’를 내놓으며 초고가 경쟁에 불을 지폈다.하지만 모든 호텔 케이크가 혀를 내두를 가격인 것은 아니다. 호텔들은 초고가 시그니처 케이크로 브랜드 이미지를 과시하는 동시에, 보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들도 함께 선보이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파라다이스 호텔앤리조트는 약 32cm 높이의 거대한 생딸기 케이크 ‘딸기트리’를 14만 원에, 우체통 모양의 ‘산타 포스트박스’를 10만 원에 출시했다. 그랜드하얏트서울은 ‘초콜릿 바나나 율 로그’ 등 10만 원대 케이크는 물론, ‘페스티브 스타라이트’와 같은 3만~4만 원대의 쁘띠 케이크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라인업을 구성해 부담 없이 호텔 디저트를 즐기고 싶은 고객들을 공략하고 있다.이처럼 호텔들이 매년 케이크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크리스마스 케이크가 단순한 상품을 넘어 호텔의 자존심과 이미지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한 호텔업계 관계자는 “크리스마스 케이크는 매년 큰 관심을 끄는 만큼, 호텔의 제과 기술력과 창의성을 집약해 선보이는 작품과도 같다”며 “고가의 케이크 외에도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특별한 연말 분위기를 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롯데호텔, 신라호텔, 조선호텔 등 전통의 강자들이 출사표를 던지지 않은 상황이라, 이들이 과연 어떤 케이크로 시장의 판도를 흔들고 새로운 최고가 기록을 경신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