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매일

사회매일

마늘밭이 사라진다! 고령화로 무너지는 농업의 현실

 경남 남해군 설천면의 한 마늘밭에서 김정선(78) 할머니가 홀로 마늘을 수확하고 있다. 과거 0.66㏊ 규모로 마늘을 재배하던 김 할머니는 이제 혼자 남아 0.03㏊ 정도만 겨우 관리하고 있다. 김 할머니는 "이제는 몸이 성치 않아 올해가 마지막"이라며, 고령화로 인한 농업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설천면 덕신마을은 한때 '장수마을'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주민 수가 급격히 줄었다. 2007년에는 113가구가 있었으나 현재는 107가구 173명만 남았다. 마늘밭 역시 67년 전에는 마을 앞 농경지의 70~80%를 차지했으나, 현재는 20%로 줄었다. 남해군 마늘팀 관계자는 "농경지가 작아 기계 도입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남해군의 마늘 재배 면적은 2004년 1548㏊에서 2023년 440㏊로 급감했다. 대신 시금치 재배가 늘어나 20년 전 255㏊였던 면적이 현재 약 900㏊로 증가했다. 이는 마늘 재배 면적의 두 배에 달한다.

 

제주에서도 마늘 재배 면적이 크게 줄었다. 2013년 2733㏊였던 재배 면적은 2023년 1113㏊로 감소했고, 생산량도 절반으로 줄었다. 농민들은 인건비 상승과 기후 변화로 인한 벌마늘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에서는 마늘 대신 양파, 콜라비, 브로콜리 등 수익성이 좋은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경남연구원의 이문호 박사는 "고령화로 인해 국내산 마늘 생산이 축소되고 있다"며 "식량 안보 차원에서 적정 수준의 생산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늘 농업의 위기는 남해군과 제주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심각한 상황이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 찬사…3만명 몰려가 직접 달려본 마라톤 코스

형 등 유명인으로 구성된 출연진들은 지난 10일 방송에서 세계 7대 메이저 마라톤으로 공식 등극한 'TCS 시드니 마라톤' 완주에 도전했다. 이들은 시드니의 상징인 하버브리지를 직접 발로 달리며 오페라하우스 앞 결승선을 통과하는 감동적인 여정을 선보이며, 단순한 도시를 넘어 스포츠의 성지로 거듭난 시드니의 역동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했다.이번 방송의 핵심인 TCS 시드니 마라톤은 올해를 기점으로 보스턴, 런던, 뉴욕, 도쿄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애보트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 대회로 공식 승격되었다. 이는 시드니가 세계적인 스포츠 도시로서의 입지를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 호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이 국제 마라톤 대회에는 100여 개국에서 3만 3천여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모여 장관을 이뤘다. 특히 하버브리지와 서큘러키, 오페라하우스를 잇는 코스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라톤 코스'라는 찬사를 받으며, 단순한 기록 경쟁을 넘어 도시의 풍광을 만끽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마라톤의 뜨거운 열기 이후, 방송은 도전적인 여정과 대비되는 평화롭고 낭만적인 호주의 모습을 담아냈다. 출연진은 시드니 근교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헌터밸리와 포트스테판으로 이동해 진정한 휴식을 즐겼다.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산지인 헌터밸리에서는 150개가 넘는 와이너리 중 한 곳을 방문하고 열기구를 체험하며 목가적인 풍경 속에서 미식과 여유를 만끽했다. 이어 포트스테판의 광활한 모래언덕과 천연 해변에서는 돌고래 크루즈를 포함한 다채로운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며 호주 대자연이 주는 모험과 휴식을 동시에 경험했다.결과적으로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는 단순한 연예인들의 여행기를 넘어, 하나의 도시가 품을 수 있는 경험의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은지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의 중심에서 느끼는 짜릿한 성취감부터, 대자연 속에서 누리는 평화로운 휴식과 미식의 즐거움까지, 스포츠, 자연, 도시 문화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진정한 매력을 한국 시청자들에게 각인시켰다. 이는 새로운 여행지에 대한 영감과 동기를 부여하며, 호주 여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