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매일

사회매일

마늘밭이 사라진다! 고령화로 무너지는 농업의 현실

 경남 남해군 설천면의 한 마늘밭에서 김정선(78) 할머니가 홀로 마늘을 수확하고 있다. 과거 0.66㏊ 규모로 마늘을 재배하던 김 할머니는 이제 혼자 남아 0.03㏊ 정도만 겨우 관리하고 있다. 김 할머니는 "이제는 몸이 성치 않아 올해가 마지막"이라며, 고령화로 인한 농업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설천면 덕신마을은 한때 '장수마을'로 알려졌으나 현재는 주민 수가 급격히 줄었다. 2007년에는 113가구가 있었으나 현재는 107가구 173명만 남았다. 마늘밭 역시 67년 전에는 마을 앞 농경지의 70~80%를 차지했으나, 현재는 20%로 줄었다. 남해군 마늘팀 관계자는 "농경지가 작아 기계 도입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했다.

 

남해군의 마늘 재배 면적은 2004년 1548㏊에서 2023년 440㏊로 급감했다. 대신 시금치 재배가 늘어나 20년 전 255㏊였던 면적이 현재 약 900㏊로 증가했다. 이는 마늘 재배 면적의 두 배에 달한다.

 

제주에서도 마늘 재배 면적이 크게 줄었다. 2013년 2733㏊였던 재배 면적은 2023년 1113㏊로 감소했고, 생산량도 절반으로 줄었다. 농민들은 인건비 상승과 기후 변화로 인한 벌마늘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에서는 마늘 대신 양파, 콜라비, 브로콜리 등 수익성이 좋은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경남연구원의 이문호 박사는 "고령화로 인해 국내산 마늘 생산이 축소되고 있다"며 "식량 안보 차원에서 적정 수준의 생산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늘 농업의 위기는 남해군과 제주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심각한 상황이다.

 

4050, 교복 입고 설악산 수학여행 떠나는 기막힌 이유

1월 한 달간, 장기 침체에 빠진 설악동 관광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025 설악동 활성화 프로그램-추억감성여행'을 총 4회에 걸쳐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관광 상품을 넘어, 아련한 향수를 자극하는 '레트로' 감성과 설악산의 수려한 자연 및 속초 고유의 지역 자원을 결합한 1박 2일 체류형 체험 콘텐츠다. 한 팀당 약 15명, 총 60명 규모로 진행되는 이 실험적인 여행이 과연 설악동의 부활을 이끄는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이번 '추억감성여행'의 핵심 콘셉트는 바로 '다시 떠나는 수학여행'이다. 참가자들은 빛바랜 사진 속에서나 볼 법한 옛 교복을 맞춰 입고, 마치 학창 시절로 돌아간 듯한 설렘을 안고 1박 2일의 여정을 시작한다. 여행의 동선은 속초와 설악동의 매력을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짜였다. 실향민의 애환이 서린 아바이마을을 전문 해설사와 함께 둘러보고, 직접 함경도식 만두를 빚으며 그들의 문화를 체험한다. 이어서 설악산의 백미로 꼽히는 케이블카에 탑승해 울긋불긋한 단풍과 어우러진 권금성의 절경을 감상하고, 활기 넘치는 속초관광수산시장을 방문해 동해의 싱싱한 먹거리를 맛본다. 이튿날에는 고즈넉한 사찰에서 불교 문화를 체험하고, 만추의 정취가 물씬 풍기는 설악산 단풍길을 트레킹하며 여행의 대미를 장식한다.속초시가 이처럼 '추억'을 전면에 내세운 데에는 분명한 목적이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특정 세대만을 겨냥하는 것이 아니라, 중장년층과 젊은 세대를 모두 아우르는 영리한 전략을 구사한다. 교복을 입고 떠나는 수학여행이라는 콘셉트는 40~60대 중장년층에게는 아련한 향수와 함께 젊은 날의 추억을 소환하는 감동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동시에, 옛것에서 새로움과 재미를 찾는 '뉴트로(New-tro)' 트렌드에 열광하는 20~30대 젊은 세대에게는 독특하고 이색적인 체험형 콘텐츠로 매력을 어필한다. 이처럼 세대를 초월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추억감성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부모와 자녀가 함께 소통하고 즐기는 특별한 시간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된다.나아가 이번 프로그램은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상권 활성화라는 실질적인 목표를 품고 있다. 참가자들의 숙박을 설악동 내 숙박 단지와 직접 연계하고, 식사 및 체험 활동을 지역 업체들과 함께 진행함으로써 관광객의 소비가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도록 설계했다. 이병선 속초시장은 "11월의 속초는 가을 여행의 최적기"라며, "이번 여행은 단순한 관광을 넘어 세대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자연과 문화를 함께 즐기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과연 수십 년의 추억을 소환하는 이번 감성 여행이 깊은 침체의 늪에 빠진 설악동에 새로운 희망의 바람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그 결과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