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매일

사회매일

의대생들 "감귤 낳은 게 죄"..제주항공 참사 유족 조롱 파문

 의사·의대생 전용 익명 커뮤니티 '메디스태프'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족을 조롱하는 게시물이 올라와 사회적 공분을 사고 있다. 

 

2일 한 제보자 A씨는 SNS를 통해 "의료인이라는 사람들이 이런 끔찍한 글을 쓴다는 것이 믿기지 않아 내부 폭로를 결심했다"며 해당 커뮤니티의 충격적인 게시물과 댓글들을 공개했다. 

 

논란이 된 게시물은 제주항공 참사에서 어머니를 잃은 20대 아들의 사연을 다룬 인터뷰 기사였다. 해당 청년은 사고 현장 근처 텐트에서 의사 국가고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이를 본 일부 의대생들이 집단행동 불참을 비난하며 고인과 유족을 모욕하는 댓글을 무차별적으로 달았다. "감귤 낳은 게 이미 죄"(감귤은 수련의 복귀자를 비하하는 은어), "자식이 죄인인데 벌은 부모가 받았다" 등 인성을 의심케 하는 발언들이 수두룩했다. 

 


제보자 A씨는 "의사가 되겠다는 사람들이 타인의 고통은 안중에도 없이 이런 비인간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분노했다. 특히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져야 할 예비 의료인들이 오히려 슬픔에 빠진 유족을 조롱하고 비하하는 모습에 깊은 우려를 느낀다"고 지적했다. 일부 커뮤니티 회원들이 자제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으나, 오히려 이를 반박하고 조롱하는 댓글이 이어지며 논란은 더욱 증폭됐다.

 

이에 경찰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희생자와 유족을 모욕하는 악성 온라인 게시물에 대한 전면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현재까지 희생자와 유족을 비하하거나 음해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과 댓글 107건을 삭제·차단 조치했으며, 특히 유족 관련 모욕성 게시글을 작성한 것으로 확인된 3명의 작성자에 대한 신원 추적이 진행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고인과 유족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 엄정하게 수사하여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의료계 집단행동 과정에서 나타난 극단적 분위기가 인간의 기본적인 윤리마저 망각하게 만든 것"이라며 "의사라는 직업은 무엇보다 인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필수.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의대 교육과정에서 인성과 윤리 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