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매일

사회매일

선관위 관리 허술함에 '부정선거' 의혹 확산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 과정에서 투표용지 관리 부실 문제가 불거지면서 온라인상에서 부정선거 음모론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5월 29일 서울 신촌동 사전투표소에서 투표용지를 받은 관외선거인의 대기줄이 투표소 밖까지 이어지는 상황이 발생했으며, 일부 선거인이 대기줄에서 이탈하는 사례도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부정선거 가능성을 제기하는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선관위가 관리하는 것을 보면 부정선거라는 말이 나와도 뭐라 못하겠다", "투표용지가 밖에서 돌아다닌다는 것은 진짜 심각한 문제다", "이제는 대놓고 부정선거를 하려 하냐" 등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불신으로 인해 사전투표 대신 6월 3일 본투표에 참여하겠다는 의견도 늘고 있다. 한 이용자는 "오늘 사전투표 하려 했는데 불안해서 하겠냐. 차라리 본투표 날 투표하겠다"고 밝혔으며, 다른 이용자도 "사전투표는 부정선거 당할까봐 못하겠다"며 본투표 참여 의사를 드러냈다.

 

한편, '클린선거시민행동'과 '부정선거부패방지대' 등 부정선거 주장 단체들은 사전투표 기간 동안 투표소 앞에서 '감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클린선거시민행동은 서울 관내 사전투표소 45곳에 이어 60곳에서 집회를 신고했으며, 이들은 투표소 출입구에서 오가는 인원을 수기로 기록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이러한 감시 활동에 동참하겠다는 의견도 확산되고 있다. "이렇게라도 나라를 지켜야겠다", "가짜표를 만들어서 집어넣어도 모르는 것 아니냐", "선거가 끝날 때까지 확실한 증거를 잡아야 한다" 등의 글이 게시되고 있다.

 

이러한 부정선거 음모론의 확산은 실제 과격 행동으로 이어지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5월 27일 부정선거 의혹 확인을 위해 대선 개표소 예정지에 침입한 30대 남성이 체포됐으며, 서울 구로구 선관위 건물에 침입한 50대 남성과 60대 여성도 '사전투표함 감시 목적'으로 침입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선관위는 경찰청에 특별 협조를 요청해 대선 사전투표소마다 정복경찰관을 배치했으며, 투표소 주변 순찰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선거인이 집중되는 300여개 사전투표소에 대해서는 돌발 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을 위한 전담 경찰관 배치를 경찰청과 협의한 상태다.

 

밤에는 불빛 터널, 낮에는 꽃 천국! 고석정 꽃밭, 가을에 안 가면 손해

하여 방문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고석정 꽃밭은 올가을 방문객들에게 짙은 가을 분위기를 선사하고자 천일홍, 백일홍, 코키아, 코스모스, 버베나, 핑크뮬리, 가우라, 억새, 해바라기 등 총 10가지 품종의 가을꽃을 심었다. 특히 붉게 물든 코키아와 바람에 일렁이는 핑크뮬리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드넓은 꽃밭을 거닐며 오색찬란한 꽃들의 향연 속에서 일상의 스트레스를 잊고 진정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올해는 더욱 풍성한 즐길 거리가 추가되었다. 철원군의 귀여운 캐릭터 '철궁이'와 '철루미'를 활용한 아기자기한 토피어리가 곳곳에 설치되어 색다른 포토존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다채로운 먹거리 부스와 아이들이 좋아하는 깡통열차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즐길 거리도 대폭 확충되어 온 가족이 함께 행복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고석정 꽃밭의 가을밤은 더욱 특별하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그리고 추석 연휴 기간에는 야간 개장을 통해 환상적인 야경을 선보인다. 덩굴식물 불빛 터널과 우산 조명 터널은 물론, 캐릭터 조형물과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져 낮과는 또 다른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2021년 첫선을 보인 고석정 꽃밭은 짧은 기간 동안 누적 관광객 200만 명을 훌쩍 넘어서며 명실상부한 철원의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김종석 시설관리사업소장은 "고석정 꽃밭에서 아름다운 가을 풍경 속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며 방문을 독려했다. 이번 가을, 고석정 꽃밭에서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