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매일

사회매일

마약은 '음성', 5명은 '석방'… 미궁 속으로 빠지는 캄보디아 송환자 사건

 캄보디아 현지 당국에 의해 구금되었다가 국내로 송환된 한국인 64명에 대한 경찰의 수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경찰청은 지난 18일 아침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한 이들 중 58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며, 이와 별개로 이미 구속영장이 집행된 1명을 포함해 총 59명의 신병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대규모 송환은 캄보디아에 거점을 둔 보이스피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조직을 일망타진하기 위한 한-캄보디아 사법 공조의 결과물로, 경찰은 송환된 이들을 상대로 범죄 가담 경위와 조직 내 역할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있다.

 

그러나 송환된 64명 전원이 사법 처리의 철퇴를 맞은 것은 아니다. 경찰은 이들 중 4명에 대해서는 범죄 혐의가 비교적 가볍거나 가담 정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구속영장을 신청하지 않고 석방 조치했다. 또한 주식 투자 사기 혐의를 받던 1명은 경찰이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검찰 단계에서 "다툼의 여지가 있다"는 이유로 기각되면서 풀려났다. 이로써 총 5명이 송환된 지 이틀 만에 자유의 몸이 되면서, 이들의 석방 배경과 향후 수사 방향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이번 사건은 단순한 사기 조직원 검거를 넘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송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찰 조사 과정에서 일부 피의자들이 충격적인 진술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조사에 응한 3~4명의 피의자들은 자신들이 사기 조직에 자발적으로 가담한 것이 아니라, 현지에서 조직원들로부터 감금당하고 상습적인 폭행에 시달렸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사실상 범죄의 가해자임과 동시에 피해자였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어, 경찰은 이들의 진술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만약 이들의 주장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사건은 단순 사기 사건에서 인신매매와 감금, 폭행이 결부된 강력 범죄로 비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경찰은 송환된 64명 전원을 대상으로 마약 투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간이시약 검사를 실시했으나 모두 음성 반응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이들이 마약 범죄에는 연루되지 않았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현재 경찰은 구속된 피의자들을 상대로 보이스피싱 조직의 총책과 자금 흐름 등 실체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는 한편, 일부 피의자들이 제기한 감금 및 폭행 피해 주장에 대해서도 면밀히 조사하며 사건의 다각적인 측면을 파헤치고 있다.

 

내년 한국인 여행지 1위, '도쿄·오사카' 아니었다…476% 폭증한 '이곳'의 정체는?

유지하겠다는 응답(44%)을 넘어, 올해보다 더 자주, 더 많이 떠나겠다는 적극적인 여행객도 36%에 달했다. 주목할 점은 예산 계획의 변화다. 무조건 저렴한 곳만 찾는 '가성비 여행'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10명 중 7명 이상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돈을 여행에 쓸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항공권과 숙박에 더 과감히 투자하겠다는 응답자도 31%나 되었다. 이는 여행의 '양'뿐만 아니라 '질'을 높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그렇다면 이들이 선택한 여행지는 어디일까? 놀랍게도 정답은 도쿄나 파리 같은 대도시가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시선은 이제 덜 알려졌지만 특별한 매력을 간직한 일본의 소도시로 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아름다운 단풍으로 유명한 '아사히카와'의 검색량은 전년 대비 무려 476%나 폭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오키나와의 숨은 보석'이라 불리는 '미야코지마' 역시 247% 상승하며 그 뒤를 이었다.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다. 중국의 '충칭'(245%), 아프리카의 섬나라 모리셔스의 '포트루이스'(148%), 이탈리아 남부의 '바리'(87%) 등 기존의 인기 여행지 공식을 벗어난 이색적인 장소들이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남들이 다 가는 곳을 따라가는 여행이 아닌, 나만의 취향과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맞춤형 여행'이 대세가 되었음을 의미한다.여행의 목적 또한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여행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에서 인증샷을 남기는 행위를 넘어섰다. 새로운 트렌드의 선두에는 '마트어택'이 있다. 비싼 맛집 대신 현지 슈퍼마켓을 공략해 그 나라의 진짜 식문화를 경험하려는 흐름으로, 한국인 여행객의 절반 이상이 이를 즐기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MZ세대 사이에서는 '여·만·추(여행에서의 만남을 추구)'가 새로운 코드로 떠올랐다. 여행지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로맨틱한 인연을 기대하는 이들이 10명 중 4명에 달할 정도.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가거나 현지 서점을 탐방하는 '책스케이프' 역시 큰 인기다. 이미 한국인 응답자의 63%가 책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을 떠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 습득 방식의 변화가 있다. 과거 여행 책자나 블로그가 하던 역할은 이제 '유튜브'가 대신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61%가 유튜브를 통해 여행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으며, 특히 Z세대에게는 유튜브(70%)와 인스타그램(56%)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결국 2026년의 여행은 정해진 코스를 따르는 단체 관광이 아닌, 유튜브에서 발견한 이색적인 숙소(아부다비)나 현지 식재료(이탈리아 바리) 등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출발하는 '나만의 여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