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금값 고공행진, 연내 60만원 찍나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과 신흥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에 국제 금값이 연일 상승세다. 여기에 국내는 고환율, 정국 불안까지 겹치면서 금값 상승 폭을 더욱 키우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제 금 시세는 지난해 11월 말 돈(3.75g) 당 44만 7900원에서 이달 13일 47만 7000만원으로 6.5%나 급등했다. 같은 기간 표준금거래소의 금 소매가격은 50만 3000원에서 54만 1000원으로 7.5%나 뛰어올랐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한다. 트럼프 당선인의 예측 불가능한 정책 행보가 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하면서 안전자산인 금으로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금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각광받는 점도 금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아울러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달러 패권에 대항하기 위해 금 매입을 재개한 것도 금값 상승세에 힘을 보태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진 것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금리는 기회비용 개념으로 금에 적용되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지면 금의 상대적인 투자 매력도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국내 금값은 국제 금값 상승과 더불어 원/달러 환율 급등, 정국 불안까지 겹치면서 상승폭이 더욱 두드러진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상 지연 가능성과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다. 

 

이와 함께 12월 들어 대통령 탄핵안 가결, 국무총리 탄핵 추진 등 정국 혼란까지 심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월가에서는 올해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는 한 돈으로 환산하면 6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이다. JP모건, 골드만삭스, 씨티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금을 최선호 투자 자산 중 하나로 꼽으며 금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호텔 예약 불가능? 올여름 숙박시설이 '만실'된 놀라운 현상의 배후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냉방 시설이 완비된 쇼핑 공간이 '도심 속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호텔업계에 따르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영향으로 주요 휴가지 숙박 시설의 예약률이 급증하고 있다. 롯데리조트 속초는 여름 성수기인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객실이 거의 만실 상태에 이르렀으며, 부산 L7해운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예약률이 16% 포인트 높아졌다.특히 호텔 내에서 모든 식사와 활동을 해결할 수 있는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호텔 제주의 올인클루시브 패키지는 7월 판매량이 전월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이 패키지는 2박 전용 상품으로 조식과 석식은 물론, 수영장 풀카페에서 치킨, 자장면, 피자 등의 메뉴를 즐길 수 있는 혜택이 포함되어 있다.호텔신라도 제주와 부산 지역 호텔에서 수영장 식음매장의 짬뽕, 칵테일 등이 포함된 패키지 상품이 호응을 얻고 있다. 서울신라호텔의 경우 투숙 기간 무제한 야외 수영장 이용과 30만원 상당의 호텔 내 식음료 혜택이 제공되는 3연박 패키지가 목표치를 50% 초과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조선호텔앤리조트의 부산 지역 호텔들도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예약률이 작년 동기간 투숙률보다 5% 높아졌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강원, 제주 소재 켄싱턴호텔과 리조트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만실이 예상되며, 강원도의 설악밸리와 설악비치는 이미 객실이 모두 채워졌고, 제주권과 경상권도 예약률이 90%를 넘어섰다.도심 속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폭염 특수를 누리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7월 1일부터 13일까지 매출과 방문객이 각각 15%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매출도 각각 13.7%, 13.5% 늘었다. 특히 7월 11일과 12일 한낮 기온이 36도까지 오르자 에어컨이 가동되는 백화점으로 소비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여름 정기세일 또한 쇼핑객 증가에 한몫했다. 백화점 3사는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수백 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했으며, 이른 무더위와 여름 휴가철 쇼핑 수요가 맞물려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대형마트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마트는 7월 초반 13일간 매출과 방문객이 전년 동기 대비 5%씩 증가했고,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매장 트레이더스는 방문객이 15%나 급증했다.폭염으로 인해 냉방 관련 상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롯데하이마트의 에어컨과 선풍기 매출은 7월 초반 13일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0%, 80%가량 증가했으며, 다이소의 휴대용 선풍기 매출은 두 배 이상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