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금값 고공행진, 연내 60만원 찍나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과 신흥국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에 국제 금값이 연일 상승세다. 여기에 국내는 고환율, 정국 불안까지 겹치면서 금값 상승 폭을 더욱 키우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제 금 시세는 지난해 11월 말 돈(3.75g) 당 44만 7900원에서 이달 13일 47만 7000만원으로 6.5%나 급등했다. 같은 기간 표준금거래소의 금 소매가격은 50만 3000원에서 54만 1000원으로 7.5%나 뛰어올랐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한다. 트럼프 당선인의 예측 불가능한 정책 행보가 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하면서 안전자산인 금으로 투자 수요가 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금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각광받는 점도 금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아울러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달러 패권에 대항하기 위해 금 매입을 재개한 것도 금값 상승세에 힘을 보태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진 것도 금값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금리는 기회비용 개념으로 금에 적용되기 때문에 금리가 낮아지면 금의 상대적인 투자 매력도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국내 금값은 국제 금값 상승과 더불어 원/달러 환율 급등, 정국 불안까지 겹치면서 상승폭이 더욱 두드러진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금리 인상 지연 가능성과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연일 연고점을 경신하고 있다. 

 

이와 함께 12월 들어 대통령 탄핵안 가결, 국무총리 탄핵 추진 등 정국 혼란까지 심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월가에서는 올해 금값이 온스당 30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는 한 돈으로 환산하면 60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이다. JP모건, 골드만삭스, 씨티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금을 최선호 투자 자산 중 하나로 꼽으며 금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핫플 등극하더니…별마당 도서관, 세계 10대 관광 혁신 프로젝트 선정

하나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한국 관광의 위상을 세계 무대에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트립닷컴 그룹이 지난 5월 말 개최한 '인비전.2025 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에서 신설을 발표한 '관광 혁신상'은 전 세계 관광 산업의 미래를 이끌 창의적 아이디어와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창설된 권위 있는 프로그램이다. 심사는 트립닷컴 내 예약 증가 및 소셜미디어 확산 등 인지도 제고 효과,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글로벌 공개 투표, 그리고 국제 관광기관 전문가 심사라는 세 가지 엄격한 기준으로 이뤄졌다.수백 개의 후보작 중 최종 10개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린 별마당 도서관은 각 수상작에 수여되는 6만 달러(약 8천만 원)의 상금과 함께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몰입형 공연 '스피어 애프터라이프 쇼', 사우디아라비아의 에코 럭셔리 리조트 '셰바라 리조트', 영국 런던의 '킹스크로스역' 등 세계적인 명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문학과 예술, 여행을 결합한 '예술 혁신' 사례로 주목받았다.별마당 도서관은 13m 높이의 웅장한 서가와 7만여 권의 장서가 인상적인 도심 속 열린 문화공간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설계되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하고 풍요로운 문화 경험을 선사한다. 매주 명사 초청 강연,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일상 속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서울을 대표하는 포토 스팟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미 트립닷컴 AI 추천 목록인 '트립.베스트'에도 소개될 만큼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었다.홍종민 트립닷컴 한국지사장은 "별마당 도서관은 문화적 경험과 시각적 감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도시형 관광 콘텐츠의 모범 사례"라며, "한국 대표 명소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것은 매우 뜻깊으며, 한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여행지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강조했다.이번 수상은 한국 관광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맞물려 더욱 의미를 더한다. 한국 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외래 관광객 수는 2022년 319만 명에서 2023년 1103만 명, 2024년에는 1636만 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3년 연속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별마당 도서관의 이번 세계적 인정은 K-관광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글로벌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