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대박 실적낸 SK하이닉스, HBM 덕에 AI 시장 장악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 시장 확산과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 급증에 힘입어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회사는 2024년 매출 66조 1930억 원, 영업이익 23조 4673억 원, 당기순이익 19조 7969억 원을 달성하며 창사 이래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8년 반도체 호황기 영업이익(20조 8438억 원)을 넘어섰고, 매출은 2022년보다 21조 원 이상 증가했다.

 

특히 4분기 실적이 두드러지는데, 영업이익이 8조 8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36% 증가하며 영업이익률이 41%에 달했다. 매출은 75%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흑자로 전환했다. 이로 인해 SK하이닉스는 삼성전자를 제치고 국내 1위 기업인 삼성전자의 4분기 영업이익을 처음으로 초과했다.

 

 

회사의 실적을 견인한 주역은 HBM이다. SK하이닉스는 HBM 매출을 대폭 증가시켰고, 4.5배 이상 늘어난 HBM 매출이 전체 D램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HBM3E 12단 제품 공급을 시작한 4분기에는 D램 평균판매단가(ASP)가 10% 증가하며 최대 분기실적을 달성했다. 

 

올해도 HBM 수요는 강하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SK하이닉스는 HBM3E와 HBM4의 공급 확대를 위해 생산 라인을 강화할 계획이다. 6세대 HBM인 HBM4는 2026년부터 본격 생산될 예정이며, 고객사와의 장기계약을 통해 공급 물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또한 HBM 수요 증가에 따라 AI 관련 제품 수요의 급증을 예상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서비스와 AI 에이전트 출시가 확대되며 고성능 HBM과 고용량 서버 D램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HBM 공급 물량을 내년 상반기까지 확보하고, 2026년부터는 6세대 HBM을 공급할 준비를 마친다고 밝혔다.하지만 D램 부문은 전방 수요 부진과 고객사의 재고 조정에 따라 약세를 보일 전망이다. 특히, 중국 업체들의 DDR4 제품 공급 확대가 예상되며, SK하이닉스는 DDR5 및 LPDDR5 제품에 집중할 계획이다. DDR4와 LPDDR4 제품의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는 수익성 중심으로 생산과 재고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낸드 부문은 데이터센터용 eSSD 매출의 급증에도 불구하고 PC 및 모바일용 제품의 수요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낸드 제품의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탄력적인 투자와 생산 기조를 유지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전체 투자를 HBM과 인프라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며, 올해 인프라 투자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배당금도 1305원으로 결정했으며, 배당금 총액은 8996억 원에 달한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는 잉여현금흐름(FCF)의 50%를 추가 배당에 사용할 계획이다.

 

결국 SK하이닉스는 올해도 AI와 HBM 시장에서의 성장을 이어가며, D램과 낸드 시장에서는 신중한 대응을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성수기 NO! 늦캉스 YES! 금호리조트, 파격 혜택 전격 공개

향으로 성수기를 피해 비교적 한가한 시기에 휴가를 떠나는 ‘늦캉스족’이 늘어나자, 금호리조트는 할인 이벤트와 함께 리조트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들을 마련해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금호리조트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4일까지 ‘얼리버드 기획전’을 진행, 제주·설악·통영·화순 등 전국 4개 리조트의 객실을 회원과 비회원 모두에게 최대 35% 할인하는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 특히 주중 숙박 고객에게는 늦은 체크아웃 혜택도 제공한다. 해당 프로모션의 이용 기간은 오는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로, 추석 연휴 기간은 제외된다.또한 여행 플랫폼 트립비토즈와 협력한 ‘늦캉스 기획전’도 마련해, 8월 17일까지 전국 4개 리조트 객실을 최대 30% 할인한다. 이 중 제주리조트와 화순스파리조트는 숙박과 아쿠아나 워터파크 입장권을 함께 묶은 패키지를 최대 20% 할인하는 혜택을 제공한다. 해당 패키지의 숙박 기간은 8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다. 리조트별로는 각기 특색 있는 미식과 레저 프로그램이 여행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설악리조트에서는 8월 23일까지 야외 바비큐장인 ‘가든그릴’에서 시즌 한정 몽트비어 생맥주와 파인애플 셔벗을 판매하며, 늦여름 밤의 여유로운 시간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제주리조트 ‘오션그릴’ 이용 고객들을 대상으로 룰렛 이벤트를 진행해 친환경 리유저블백을 증정하고, DJ가 진행하는 풀파티 참여자들에게는 음료와 기프티콘 혜택을 제공해 젊은층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화순스파리조트 내 워터파크 ‘화순아쿠아나’는 8월 17일까지 야간 개장을 실시, 매일 DJ 풀파티와 버블파티를 개최해 신나는 여름밤을 선사한다. 주말에는 노천탕도 상시 운영해 힐링과 레저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통영마리나리조트는 한산도 앞바다에서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 있는 ‘선셋 요트 투어’를 운영하며, 역사와 자연 체험을 결합한 다양한 요트 투어 프로그램도 함께 선보이고 있다.금호리조트 관계자는 “최근 무더위와 성수기 혼잡을 피해 여유롭고 합리적인 휴가를 원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어, 이들을 겨냥한 ‘늦캉스’ 특화 상품을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여행 트렌드와 고객 니즈에 맞춰 매 시즌 새롭고 풍성한 즐길 거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번 기획전이 합리적인 가격과 다채로운 콘텐츠로 고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이번 금호리조트의 ‘늦캉스’ 프로모션은 여름 막바지부터 가을까지 한적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휴가를 즐기고자 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한다. 할인과 다양한 이벤트, 그리고 각 리조트의 독특한 체험 프로그램이 어우러져 여행객들이 지친 일상에서 벗어나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가족 단위 여행객과 젊은 층 모두를 아우르는 맞춤형 혜택과 프로그램은 금호리조트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이처럼 금호리조트는 시즌별 고객 수요에 맞춰 지속적으로 변화를 시도하며 국내 여행 시장에서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굳히고 있다. 앞으로도 ‘늦캉스’ 상품과 같이 트렌디하면서도 고객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는 기획전을 통해 국내외 여행객들의 발길을 유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