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안 먹고, 안 입고' 극한 지출 차단 나선 소비자들에 유통가는 '전쟁터'

 치솟는 물가에 장바구니는 가벼워지고, 유통업계는 '초저가' 경쟁에 돌입했다.

 

최근 극심한 고물가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유통업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소비자들은 생필품 구매 횟수를 줄이고, 외식 대신 집밥을 선택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이에 유통업계는 '초저가'를 무기로 소비자들의 발길을 붙잡기 위한 혈투를 벌이고 있다.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한탄이 현실이 된 시대, 소비자들은 '노바이(No Buy)'족을 자처하며 소비 자체를 줄이고 있다.

 

30대 직장인 A씨는 치솟는 물가에 장 보는 횟수를 이주일에 한 번으로 줄였다. A씨는 "예전에는 일주일에 한 번 대형마트에서 장을 봤지만, 이제는 사치처럼 느껴진다"며 "온라인으로 필요한 것만 구입해 생활비를 아끼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쌀을 포함한 곡물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3.3% 상승하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채소와 과일 가격도 각각 8.2%, 17% 급등하며 장바구니 물가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특히 채소 가격 상승률은 202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 위축은 대형마트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대형마트의 월별 구매 건수와 단가는 대부분 전년 대비 감소했다. 설 명절, 여름 휴가철, 추석 등 대목 효과도 사라졌다.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면서 대형마트를 찾는 횟수 자체가 줄어든 것이다.

 

벼랑 끝에 선 유통업계는 '초저가'를 무기로 생존 전략을 펼치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자체브랜드(PB) 상품 확대다. 이마트는 PB 브랜드 '노브랜드'를 통해 국산 콩나물과 콩두부를 시중 가격보다 최대 40%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PB 라면 '이춘삼', '이해봉'의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PB 상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롯데마트 역시 PB 브랜드 '오늘좋은', '요리하다'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대규모 할인 행사도 상시화되고 있다.

 

이마트는 월 단위 가격 파격 행사와 분기별 가격 역주행 행사를 진행하며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물가 잡기 캠페인'을 통해 매주 3개 품목을 초저가에 판매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3고' 현상이 지속되면서 소비 심리 위축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의 '초저가'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극심한 경기 침체로 '정말 싸다'고 느껴지지 않으면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지 않는다"며 "가격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밤에는 불빛 터널, 낮에는 꽃 천국! 고석정 꽃밭, 가을에 안 가면 손해

하여 방문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고석정 꽃밭은 올가을 방문객들에게 짙은 가을 분위기를 선사하고자 천일홍, 백일홍, 코키아, 코스모스, 버베나, 핑크뮬리, 가우라, 억새, 해바라기 등 총 10가지 품종의 가을꽃을 심었다. 특히 붉게 물든 코키아와 바람에 일렁이는 핑크뮬리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드넓은 꽃밭을 거닐며 오색찬란한 꽃들의 향연 속에서 일상의 스트레스를 잊고 진정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올해는 더욱 풍성한 즐길 거리가 추가되었다. 철원군의 귀여운 캐릭터 '철궁이'와 '철루미'를 활용한 아기자기한 토피어리가 곳곳에 설치되어 색다른 포토존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다채로운 먹거리 부스와 아이들이 좋아하는 깡통열차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즐길 거리도 대폭 확충되어 온 가족이 함께 행복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고석정 꽃밭의 가을밤은 더욱 특별하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그리고 추석 연휴 기간에는 야간 개장을 통해 환상적인 야경을 선보인다. 덩굴식물 불빛 터널과 우산 조명 터널은 물론, 캐릭터 조형물과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져 낮과는 또 다른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2021년 첫선을 보인 고석정 꽃밭은 짧은 기간 동안 누적 관광객 200만 명을 훌쩍 넘어서며 명실상부한 철원의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김종석 시설관리사업소장은 "고석정 꽃밭에서 아름다운 가을 풍경 속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며 방문을 독려했다. 이번 가을, 고석정 꽃밭에서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