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환율 폭등에 외환보유액 비상..외환보유액 ‘찔끔’ 증가

우리나라의 3월 외환보유액이 석 달 만에 증가했으나 4100억 달러를 회복하는 데는 실패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외환보유액은 4096억6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4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이는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증가와 달러 약세에 따른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 증가 영향이 컸다. 그러나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 등으로 달러가 빠져나가면서 4100억 달러를 돌파하지 못했다.

 

외환보유액이 두 달 연속 4100억 달러를 밑돌면서 심리적 지지선인 4000억 달러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전쟁과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이 지속되면서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환율 방어를 위해 외환보유액이 사용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3월 말 원·달러 환율은 금융위기 수준인 1470원대를 돌파했으며, 31일 종가는 1474.0원으로 2009년 3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외환보유액 증가의 주요 요인은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증가와 미국 달러화 약세다. 통상적으로 분기 말에는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준수를 위해 금융기관들이 외화예수금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달러 인덱스가 3월 중 약 3% 하락하면서 유로화(4.1%), 파운드화(2.7%), 호주달러화(0.7%), 엔화(0.2%) 등이 상승했고, 이에 따라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 달러 환산액이 증가했다.

 

 

 

그러나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거래는 외환보유액 증가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12월 500억 달러였던 국민연금 외환스와프 한도가 650억 달러로 확대되었고, 이 거래를 통해 국민연금이 외화를 조달하면서 외환보유액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 다만, 만기 시 다시 환원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영향을 덜 미칠 것으로 보인다.

 

외환보유액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유가증권은 3615억3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41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 예치금은 241억7000만 달러로 38억4000만 달러 감소했다. SDR(특별인출권)은 149억8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억4000만 달러 증가했고, IMF포지션(41억9000만 달러)과 금(47억9000만 달러)은 변동이 없었다.

 

한은 관계자는 "분기 말 효과로 외화예수금이 증가하면서 외환보유액이 반등했지만, 4월에는 다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외환보유액 수준은 대응 여력이 충분하다는 판단이지만, 대내외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편,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올해 2월 기준으로 세계 9위를 기록했다. 같은 달 홍콩이 4164억 달러를 기록하며 다시 8위로 올라섰고, 한국은 2023년 6월 이후 10개월 만에 되찾았던 8위 자리를 다시 내줬다. 세계 1위는 중국(3조2272억 달러), 2위 일본(1조2533억 달러), 3위 스위스(9238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10위인 독일(4067억 달러)의 격차는 25억 달러로 좁혀졌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과 국내 경제 리스크를 고려할 때 외환보유액 관리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글로벌 경제 둔화 등의 요인이 원·달러 환율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향후 외환당국의 대응과 외환보유액 운용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90분간 '생각 제로' 상태 유지... 한강 멍때리기 대회 우승팀은 누구?

쟁률인 57대 1을 기록하며 대회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대회장에 들어서자 참가자들의 다양한 멍때리기 자세가 눈길을 끌었다. 어떤 이는 허공을 바라보며 초점 없는 눈빛으로 완벽한 무념무상의 상태를 추구했고, 또 다른 이는 준비해온 인형을 뚫어지게 응시했다.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모아 마치 기도하듯 깊은 멍 상태에 빠져드는 참가자도 있었다."사연 하나하나가 너무 절절해서 뽑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대회 기획자 웁쓰양의 말처럼, 올해 지원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직업군과 연령대를 아우르고 있었다. 구급대원, 교도관, 회사원, 학생 등 일상에서 쉴 틈 없이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멍때리기'라는 특별한 휴식을 찾아 모여든 것이다.경기도 수원시에서 온 신승빈 씨는 "평소 슬퍼도 웃어야 하는 삐에로 같은 직업이라 멍은 잘 때릴 것 같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서울 옥청초등학교 4학년 김주아 양은 "수업 시간에 멍때리다가 선생님 말씀을 못 들은 적도 있다"며 "1등할 자신이 있어서 아빠에게 신청해 달라고 했다"고 천진난만하게 참가 계기를 밝혔다.대회는 총 90분간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움직임이나 표정 변화, 졸음, 잡념 등이 감지되면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시작 후 15분이 지났을 때 첫 탈락자가 발생했고, 이를 기점으로 참가자들이 하나둘 탈락하기 시작했다. 심사위원들은 참가자들의 심박수 변화와 집중도를 면밀히 관찰하며 순위를 매겼다.대회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명상 전문가 박지원 씨는 "멍때리기는 단순히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게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는 시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대인들이 끊임없이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고 정보를 소비하는 생활 속에서 진정한 휴식을 취하기 어렵다"며 "멍때리기는 뇌를 쉬게 하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설명했다.치열한 경쟁 끝에 최종 우승은 3인조 밴드 '고요한 밤'이 차지했다. 이들은 심박수 기록과 관객 투표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아 멍때리기 최고수로 인정받았다. 우승팀 리더 김태환 씨는 "밴드 활동과 일상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잠시 내려놓고 싶었다"며 "멍때리는 동안 오히려 새로운 음악적 영감이 떠올랐다"고 소감을 전했다.대회에 참가한 모든 이들은 비록 순위는 갈렸지만, 일상의 분주함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는 데 의미를 두었다. 주최 측은 "현대 사회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시간'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참가자들에게 진정한 휴식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다"며 내년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