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1분기 외환거래 '사상 최대'.."하루 평균 104조 오갔다"

 올해 1분기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 보고서에서 외환거래 규모가 하루 평균 727억6000만 달러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 분기보다 50억2000만 달러 증가한 수치로, 2008년 통계 개편 이후 가장 큰 거래 규모로 기록되었다. 특히, 외환거래 규모의 증가는 연초의 계절적 요인 외에도 외국인의 채권 투자가 확대되고, 환율 급등락에 따른 환위험 헤지 수요가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1분기 외환거래 규모가 급증한 이유는 여러 요인들이 결합된 결과로 분석된다. 통상적으로 외환거래는 연초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연말 결산을 맞이한 4분기의 거래 축소와 대비되며, 1분기에는 거래가 늘어나는 계절적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올해의 경우, 외국인의 국내증권 투자, 특히 채권 투자가 크게 늘어난 것이 외환거래 확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분기 동안 외국인의 국내 채권 자금 순유입액은 71억 달러로, 지난해 4분기보다 35억1000만 달러 증가한 수치다. 이는 외환거래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채권 투자자들의 높은 수요가 외환거래의 활성화를 이끌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외환거래는 주로 채권 수요에 따라 증가했으며, 특히 원화로 직접 채권을 구매하기보다는 선물환 거래를 통한 채권 매입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1분기 동안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환위험 헤지 수요도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4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은 1398.7원이었으나, 올해 1분기에는 1452.9원으로 54.2원 급등했다. 환율 급등은 기업과 투자자들로 하여금 환위험을 줄이기 위한 헤지 거래를 촉발시켰으며, 이는 외환거래 확대의 또 다른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상품별로 살펴보면, 현물환 거래 규모는 279억40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23억 달러 증가했다. 현물환 거래에서 원·달러 거래는 203억5000만 달러로, 4.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448억1000만 달러로 6.5% 증가했으며, 그 중에서도 외환스와프 거래는 299억3000만 달러로 7.3% 증가했다. 선물환 거래(134억1000만 달러)는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거래가 증가하면서 3.3% 늘었다. 이러한 거래 규모의 증가는 외환시장에서의 활발한 움직임을 나타내며, 특히 외환파생상품 거래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은행별로는 외국은행 지점(외은지점)의 거래 규모가 402억2000만 달러로 전 분기보다 9.6% 증가한 반면, 국내은행의 거래 규모는 325억4000만 달러로 4.8% 증가했다. 외은지점의 거래가 상대적으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참여가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이번 1분기 외환거래 규모가 급증한 것은 단순히 계절적 요인만이 아니라 외국인의 국내 채권 투자 확대와 환위험 헤지 수요의 증가, 그리고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경제 규모의 성장과 더불어 외환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1분기에는 외국인의 채권 투자와 고환율에 따른 위험 헤지 수요가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결론적으로, 2025년 1분기 외환거래의 급증은 한국 경제의 외환시장 활성화와 관련된 중요한 지표로, 외환거래 확대와 더불어 환율 상승, 외국인의 투자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향후 외환거래는 계속해서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외환파생상품과 같은 거래가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