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다시 들썩이는 수도권 부동산, 서울 아파트값 2% 폭등

 지난달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가 전월 대비 크게 상승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다시 한 번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5월 15일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수도권 민간 아파트의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2893만2000원으로 전월(2837만4000원) 대비 55만8000원(1.96%) 올랐다. 특히 서울의 분양가 상승세가 두드러져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4549만8000원으로 한 달 만에 121만4000원(2.74%) 급등했다. 서울을 제외한 인천과 경기도도 각각 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수도권 전체의 분양가 상승을 이끌었다.

 

전국적으로는 3.3㎡당 평균 분양가가 575만5000원으로 집계돼 전월 대비 0.62%(3만5000원) 상승했다. 평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1902만5000원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분양가 격차는 여전히 크게 벌어지고 있는데, 수도권은 평당 2893만2000원으로 나타났으나 비수도권 주요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평당 1860만8000원으로 소폭 하락(0.29%)했고, 기타 지방은 평당 1562만600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60㎡ 이하 소형 면적이 평당 4601만원, 61~~85㎡가 4607만9000원, 86~~102㎡가 4969만6000원, 102㎡ 초과 대형 면적이 4859만50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부터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11월 평당 분양가가 4700만원대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12월에는 잠시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 올해 초부터 다시 분양가가 상승하기 시작해 3월은 신규 분양 단지 공백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지만, 4월에는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와 수요자의 이목을 끌었다.

 

수도권 내에서는 인천과 경기도의 분양가 상승도 눈에 띈다. 인천은 3.3㎡당 1865만5000원에서 1885만3000원으로 1% 상승했고, 경기도는 2218만2000원에서 2244만6000원으로 1.19% 상승했다. 이처럼 수도권 전역에서 분양가 상승이 나타나는 배경에는 주택 공급 부족,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등의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지역별로 분양가 변동 폭이 상이하다.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평당 분양가가 전월 대비 0.29% 소폭 하락한 1860만8000원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지방은 평당 1562만6000원으로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가장 눈에 띄는 상승률을 기록한 곳은 전북으로, 3.3㎡당 1212만2000원에서 1257만9000원으로 3.76%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부산은 2213만2000원에서 2194만7000원으로 0.84% 하락했고, 강원도 역시 1472만4000원에서 1459만5000원으로 0.87% 하락해 지역별로 온도차가 컸다.

 

분양 물량 면에서는 지난 3월 전국 신규 민간아파트 분양 세대 수가 1만5210세대로 집계돼 전월(6590세대) 대비 두 배 이상(8620세대) 급증했다. 다만 전년 동월(1만7847세대)과 비교하면 약 2637세대가 줄어든 수치다. 서울은 3월 분양 단지가 없었으나 4월에 1156세대를 새롭게 분양하며 분양 시장에 복귀했다. 인천과 경기도는 1만963세대를 분양해 전국 신규 분양 물량의 72%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하다. 이 지역들은 전월 대비 8617세대, 전년 동월 대비 3649세대 증가하는 등 활발한 분양이 진행 중이다.

 

 

 

반면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1842세대를 분양해 전월(400세대) 대비 분양 물량이 크게 늘었지만, 지난해 4월보다는 3756세대 줄었다. 기타 지방은 1249세대로 전월(3844세대) 대비 크게 줄어들며 지역별로 분양량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이 같은 분양가 상승과 분양 물량 증가는 최근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수요 증가와 맞물려 있다. 공급 부족 문제와 재료비 상승, 그리고 인플레이션 등이 분양가 상승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서울의 고분양가 현상은 주택 구매자들의 부담을 크게 높이고 있으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긴장감이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 분양가 추이와 신규 분양 물량의 변화가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분양 시장의 활발한 움직임이 지속될 경우, 주택 가격 상승 압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공급 확대와 분양가 안정화 정책을 동시에 추진하며, 시장 불안 요인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소비자들도 신중한 투자 판단과 자금 계획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번 발표된 분양가격 동향은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핫플 등극하더니…별마당 도서관, 세계 10대 관광 혁신 프로젝트 선정

하나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한국 관광의 위상을 세계 무대에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트립닷컴 그룹이 지난 5월 말 개최한 '인비전.2025 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에서 신설을 발표한 '관광 혁신상'은 전 세계 관광 산업의 미래를 이끌 창의적 아이디어와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창설된 권위 있는 프로그램이다. 심사는 트립닷컴 내 예약 증가 및 소셜미디어 확산 등 인지도 제고 효과,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글로벌 공개 투표, 그리고 국제 관광기관 전문가 심사라는 세 가지 엄격한 기준으로 이뤄졌다.수백 개의 후보작 중 최종 10개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린 별마당 도서관은 각 수상작에 수여되는 6만 달러(약 8천만 원)의 상금과 함께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몰입형 공연 '스피어 애프터라이프 쇼', 사우디아라비아의 에코 럭셔리 리조트 '셰바라 리조트', 영국 런던의 '킹스크로스역' 등 세계적인 명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문학과 예술, 여행을 결합한 '예술 혁신' 사례로 주목받았다.별마당 도서관은 13m 높이의 웅장한 서가와 7만여 권의 장서가 인상적인 도심 속 열린 문화공간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설계되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하고 풍요로운 문화 경험을 선사한다. 매주 명사 초청 강연,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일상 속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서울을 대표하는 포토 스팟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미 트립닷컴 AI 추천 목록인 '트립.베스트'에도 소개될 만큼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었다.홍종민 트립닷컴 한국지사장은 "별마당 도서관은 문화적 경험과 시각적 감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도시형 관광 콘텐츠의 모범 사례"라며, "한국 대표 명소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것은 매우 뜻깊으며, 한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여행지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강조했다.이번 수상은 한국 관광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맞물려 더욱 의미를 더한다. 한국 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외래 관광객 수는 2022년 319만 명에서 2023년 1103만 명, 2024년에는 1636만 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3년 연속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별마당 도서관의 이번 세계적 인정은 K-관광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글로벌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