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다시 들썩이는 수도권 부동산, 서울 아파트값 2% 폭등

 지난달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가 전월 대비 크게 상승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다시 한 번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5월 15일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수도권 민간 아파트의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2893만2000원으로 전월(2837만4000원) 대비 55만8000원(1.96%) 올랐다. 특히 서울의 분양가 상승세가 두드러져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4549만8000원으로 한 달 만에 121만4000원(2.74%) 급등했다. 서울을 제외한 인천과 경기도도 각각 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수도권 전체의 분양가 상승을 이끌었다.

 

전국적으로는 3.3㎡당 평균 분양가가 575만5000원으로 집계돼 전월 대비 0.62%(3만5000원) 상승했다. 평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1902만5000원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분양가 격차는 여전히 크게 벌어지고 있는데, 수도권은 평당 2893만2000원으로 나타났으나 비수도권 주요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평당 1860만8000원으로 소폭 하락(0.29%)했고, 기타 지방은 평당 1562만600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60㎡ 이하 소형 면적이 평당 4601만원, 61~~85㎡가 4607만9000원, 86~~102㎡가 4969만6000원, 102㎡ 초과 대형 면적이 4859만50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부터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11월 평당 분양가가 4700만원대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12월에는 잠시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 올해 초부터 다시 분양가가 상승하기 시작해 3월은 신규 분양 단지 공백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지만, 4월에는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와 수요자의 이목을 끌었다.

 

수도권 내에서는 인천과 경기도의 분양가 상승도 눈에 띈다. 인천은 3.3㎡당 1865만5000원에서 1885만3000원으로 1% 상승했고, 경기도는 2218만2000원에서 2244만6000원으로 1.19% 상승했다. 이처럼 수도권 전역에서 분양가 상승이 나타나는 배경에는 주택 공급 부족,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등의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지역별로 분양가 변동 폭이 상이하다.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평당 분양가가 전월 대비 0.29% 소폭 하락한 1860만8000원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지방은 평당 1562만6000원으로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가장 눈에 띄는 상승률을 기록한 곳은 전북으로, 3.3㎡당 1212만2000원에서 1257만9000원으로 3.76%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부산은 2213만2000원에서 2194만7000원으로 0.84% 하락했고, 강원도 역시 1472만4000원에서 1459만5000원으로 0.87% 하락해 지역별로 온도차가 컸다.

 

분양 물량 면에서는 지난 3월 전국 신규 민간아파트 분양 세대 수가 1만5210세대로 집계돼 전월(6590세대) 대비 두 배 이상(8620세대) 급증했다. 다만 전년 동월(1만7847세대)과 비교하면 약 2637세대가 줄어든 수치다. 서울은 3월 분양 단지가 없었으나 4월에 1156세대를 새롭게 분양하며 분양 시장에 복귀했다. 인천과 경기도는 1만963세대를 분양해 전국 신규 분양 물량의 72%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하다. 이 지역들은 전월 대비 8617세대, 전년 동월 대비 3649세대 증가하는 등 활발한 분양이 진행 중이다.

 

 

 

반면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1842세대를 분양해 전월(400세대) 대비 분양 물량이 크게 늘었지만, 지난해 4월보다는 3756세대 줄었다. 기타 지방은 1249세대로 전월(3844세대) 대비 크게 줄어들며 지역별로 분양량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이 같은 분양가 상승과 분양 물량 증가는 최근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수요 증가와 맞물려 있다. 공급 부족 문제와 재료비 상승, 그리고 인플레이션 등이 분양가 상승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서울의 고분양가 현상은 주택 구매자들의 부담을 크게 높이고 있으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긴장감이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 분양가 추이와 신규 분양 물량의 변화가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분양 시장의 활발한 움직임이 지속될 경우, 주택 가격 상승 압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공급 확대와 분양가 안정화 정책을 동시에 추진하며, 시장 불안 요인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소비자들도 신중한 투자 판단과 자금 계획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번 발표된 분양가격 동향은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성수기 NO! 늦캉스 YES! 금호리조트, 파격 혜택 전격 공개

향으로 성수기를 피해 비교적 한가한 시기에 휴가를 떠나는 ‘늦캉스족’이 늘어나자, 금호리조트는 할인 이벤트와 함께 리조트별 특색 있는 프로그램들을 마련해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금호리조트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4일까지 ‘얼리버드 기획전’을 진행, 제주·설악·통영·화순 등 전국 4개 리조트의 객실을 회원과 비회원 모두에게 최대 35% 할인하는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 특히 주중 숙박 고객에게는 늦은 체크아웃 혜택도 제공한다. 해당 프로모션의 이용 기간은 오는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로, 추석 연휴 기간은 제외된다.또한 여행 플랫폼 트립비토즈와 협력한 ‘늦캉스 기획전’도 마련해, 8월 17일까지 전국 4개 리조트 객실을 최대 30% 할인한다. 이 중 제주리조트와 화순스파리조트는 숙박과 아쿠아나 워터파크 입장권을 함께 묶은 패키지를 최대 20% 할인하는 혜택을 제공한다. 해당 패키지의 숙박 기간은 8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다. 리조트별로는 각기 특색 있는 미식과 레저 프로그램이 여행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설악리조트에서는 8월 23일까지 야외 바비큐장인 ‘가든그릴’에서 시즌 한정 몽트비어 생맥주와 파인애플 셔벗을 판매하며, 늦여름 밤의 여유로운 시간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제주리조트 ‘오션그릴’ 이용 고객들을 대상으로 룰렛 이벤트를 진행해 친환경 리유저블백을 증정하고, DJ가 진행하는 풀파티 참여자들에게는 음료와 기프티콘 혜택을 제공해 젊은층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화순스파리조트 내 워터파크 ‘화순아쿠아나’는 8월 17일까지 야간 개장을 실시, 매일 DJ 풀파티와 버블파티를 개최해 신나는 여름밤을 선사한다. 주말에는 노천탕도 상시 운영해 힐링과 레저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통영마리나리조트는 한산도 앞바다에서 아름다운 일몰을 감상할 수 있는 ‘선셋 요트 투어’를 운영하며, 역사와 자연 체험을 결합한 다양한 요트 투어 프로그램도 함께 선보이고 있다.금호리조트 관계자는 “최근 무더위와 성수기 혼잡을 피해 여유롭고 합리적인 휴가를 원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어, 이들을 겨냥한 ‘늦캉스’ 특화 상품을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변화하는 여행 트렌드와 고객 니즈에 맞춰 매 시즌 새롭고 풍성한 즐길 거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번 기획전이 합리적인 가격과 다채로운 콘텐츠로 고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이번 금호리조트의 ‘늦캉스’ 프로모션은 여름 막바지부터 가을까지 한적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휴가를 즐기고자 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한다. 할인과 다양한 이벤트, 그리고 각 리조트의 독특한 체험 프로그램이 어우러져 여행객들이 지친 일상에서 벗어나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가족 단위 여행객과 젊은 층 모두를 아우르는 맞춤형 혜택과 프로그램은 금호리조트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이처럼 금호리조트는 시즌별 고객 수요에 맞춰 지속적으로 변화를 시도하며 국내 여행 시장에서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굳히고 있다. 앞으로도 ‘늦캉스’ 상품과 같이 트렌디하면서도 고객의 다양한 취향을 충족시키는 기획전을 통해 국내외 여행객들의 발길을 유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