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다시 들썩이는 수도권 부동산, 서울 아파트값 2% 폭등

 지난달 수도권 민간 아파트 분양가가 전월 대비 크게 상승하면서 부동산 시장에 다시 한 번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5월 15일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수도권 민간 아파트의 3.3㎡(평)당 평균 분양가는 2893만2000원으로 전월(2837만4000원) 대비 55만8000원(1.96%) 올랐다. 특히 서울의 분양가 상승세가 두드러져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4549만8000원으로 한 달 만에 121만4000원(2.74%) 급등했다. 서울을 제외한 인천과 경기도도 각각 1%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수도권 전체의 분양가 상승을 이끌었다.

 

전국적으로는 3.3㎡당 평균 분양가가 575만5000원으로 집계돼 전월 대비 0.62%(3만5000원) 상승했다. 평당 가격으로 환산하면 1902만5000원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분양가 격차는 여전히 크게 벌어지고 있는데, 수도권은 평당 2893만2000원으로 나타났으나 비수도권 주요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평당 1860만8000원으로 소폭 하락(0.29%)했고, 기타 지방은 평당 1562만600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60㎡ 이하 소형 면적이 평당 4601만원, 61~~85㎡가 4607만9000원, 86~~102㎡가 4969만6000원, 102㎡ 초과 대형 면적이 4859만5000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부터 서울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11월 평당 분양가가 4700만원대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12월에는 잠시 하락세를 보였다. 이후 올해 초부터 다시 분양가가 상승하기 시작해 3월은 신규 분양 단지 공백으로 가격 변동이 없었지만, 4월에는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와 수요자의 이목을 끌었다.

 

수도권 내에서는 인천과 경기도의 분양가 상승도 눈에 띈다. 인천은 3.3㎡당 1865만5000원에서 1885만3000원으로 1% 상승했고, 경기도는 2218만2000원에서 2244만6000원으로 1.19% 상승했다. 이처럼 수도권 전역에서 분양가 상승이 나타나는 배경에는 주택 공급 부족,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등의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지역별로 분양가 변동 폭이 상이하다.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평당 분양가가 전월 대비 0.29% 소폭 하락한 1860만8000원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지방은 평당 1562만6000원으로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가장 눈에 띄는 상승률을 기록한 곳은 전북으로, 3.3㎡당 1212만2000원에서 1257만9000원으로 3.76% 올라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부산은 2213만2000원에서 2194만7000원으로 0.84% 하락했고, 강원도 역시 1472만4000원에서 1459만5000원으로 0.87% 하락해 지역별로 온도차가 컸다.

 

분양 물량 면에서는 지난 3월 전국 신규 민간아파트 분양 세대 수가 1만5210세대로 집계돼 전월(6590세대) 대비 두 배 이상(8620세대) 급증했다. 다만 전년 동월(1만7847세대)과 비교하면 약 2637세대가 줄어든 수치다. 서울은 3월 분양 단지가 없었으나 4월에 1156세대를 새롭게 분양하며 분양 시장에 복귀했다. 인천과 경기도는 1만963세대를 분양해 전국 신규 분양 물량의 72%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하다. 이 지역들은 전월 대비 8617세대, 전년 동월 대비 3649세대 증가하는 등 활발한 분양이 진행 중이다.

 

 

 

반면 5대 광역시 및 세종시는 1842세대를 분양해 전월(400세대) 대비 분양 물량이 크게 늘었지만, 지난해 4월보다는 3756세대 줄었다. 기타 지방은 1249세대로 전월(3844세대) 대비 크게 줄어들며 지역별로 분양량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이 같은 분양가 상승과 분양 물량 증가는 최근 수도권 부동산 시장의 수요 증가와 맞물려 있다. 공급 부족 문제와 재료비 상승, 그리고 인플레이션 등이 분양가 상승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서울의 고분양가 현상은 주택 구매자들의 부담을 크게 높이고 있으며,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실수요자뿐 아니라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긴장감이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 분양가 추이와 신규 분양 물량의 변화가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분양 시장의 활발한 움직임이 지속될 경우, 주택 가격 상승 압력이 더욱 강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기관들은 공급 확대와 분양가 안정화 정책을 동시에 추진하며, 시장 불안 요인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소비자들도 신중한 투자 판단과 자금 계획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번 발표된 분양가격 동향은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인 66%가 모르는 '여름휴가 비용 절감 꿀팁'... 스카이스캐너 리포트 대공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여행 시기와 인기 여행지, 항공권 가격 등 여름휴가를 계획하는 여행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정보들을 총망라했다.스카이스캐너가 한국인 여행객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흥미로운 결과가 드러났다. 응답자의 70%는 여름휴가지의 날씨 예보를 미리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여행에 대한 설렘과 기대감이 크게 높아진다고 답했다. 이는 많은 여행객들이 실제 여행 전부터 여행지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며 여행의 즐거움을 미리 만끽한다는 것을 보여준다.여행 비용에 관한 질문에서는 응답자의 66%가 비용 절감을 위해 휴가 일정을 조정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동시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52%)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여름휴가 시기를 모르겠다"고 응답해, 많은 이들이 가성비 좋은 여행을 원하면서도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됐다.이러한 여행객들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스카이스캐너는 자사의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25년 가장 저렴한 여름휴가 주간은 '7월 첫째 주(6월 30일부터 7월 6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여름 성수기가 시작되기 전인 7월 초반에 여행을 떠날수록 비용 부담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특히 요일별로는 '월요일'이 왕복 항공권 중간 요금 49만9293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이는 주말을 피해 출발하는 것이 항공권 가격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보여준다.현재 여름휴가 예약 현황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50%)이 "아직 여행 상품을 예약하지 않았지만, 적극적으로 찾고 있다"고 답했다. 아직 예약을 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는 "어디로 갈지 결정하지 못했으며 여행지에 대한 영감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41%로 가장 많았다. 이는 많은 여행객들이 여행지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제시카 민 스카이스캐너 여행전문가는 "한국인 여행객 3명 중 1명(31%)이 여름휴가를 준비할 때 가장 어려운 점으로 '항공편이나 호텔 가격 비교'를 꼽았다"며, "이번 리포트를 통해 여행자들이 더 효율적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고 설명했다.그는 또한 스카이스캐너 앱의 유용한 기능도 소개했다. 항공권 검색 시 '특정 날짜'를 선택하면 평균가보다 더 저렴한 날짜가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일정 조정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위시리스트' 기능을 활용하면 원하는 항공편을 간편하게 비교하고 가격 변동 알림을 자동으로 받을 수 있어, 최적의 시점에 예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스카이스캐너의 이번 리포트는 단순한 여행 정보를 넘어 데이터에 기반한 실질적인 여행 계획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여행객들이 더 스마트하고 경제적인 여름휴가를 계획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여행 비용에 민감한 요즘 시대에, 최적의 여행 시기와 목적지를 선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