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외국인 ‘사자’ 행진 계속..코스피, 2,790선 돌파

 5일 국내 증시는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경기 및 증시 부양책 기대감이 시장을 지배하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외국인의 지속적인 순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하며,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21분 현재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5.61포인트(0.92%) 오른 2,796.45를 기록하며 전날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수는 장 초반 2,790.33으로 출발해 2,790선에서 견고한 흐름을 유지 중이다.

 

전날 코스피는 2.66%의 급등세를 보이며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했다. 이날은 현충일(6일)로 인한 휴장을 하루 앞두고 있는 데다, 전일 급등에 따른 단기 부담도 있었지만, 상승 동력을 잃지 않는 모습이다. 외국인은 전날 1조 원 이상을 순매수한 데 이어 이날도 1,659억 원어치를 사들이며 '사자' 행보를 지속하고 있다. 반면, 개인은 304억 원, 기관은 1,304억 원어치를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외국인의 매수세가 시장 전체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외환시장에서는 원화 강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0원 내린 1,363.5원에 개장하며 원화 강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이는 외국인 자금 유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전날 미국 뉴욕 증시는 혼조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22% 하락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0.01%, 0.32% 상승하는 데 그쳤다. 미국의 5월 민간 고용 증가 수치가 2023년 3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ISM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예상치를 밑돌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시간으로 6일 밤 발표 예정인 미국의 5월 고용보고서 결과에 대한 시장의 민감도도 한층 높아지는 상황이다.

 

국내 증시에서는 대형 기술주와 정책 수혜 기대 종목들이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주 가운데 SK하이닉스가 3.45% 오르며 강세를 주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역시 0.35% 상승세다. 방산과 중공업 종목들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3.55%), 한화오션(2.73%), HD현대중공업(1.64%)도 상승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IT 및 플랫폼 대장주인 NAVER 역시 1.83% 상승 중이다.

 

 

 

원전 관련주는 체코 두코바니 원전 최종 수주 소식에 폭등세를 보이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5.28%, 한전산업은 17.54%, 한전기술은 7.69%, 성광벤드는 무려 11.44%나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체코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 간 최종 계약 체결이 확인되면서 해당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반면 금융 및 증권주는 차익 실현 매물의 영향으로 약세다. KB금융은 1.95% 하락했고, 신한지주도 2.00% 떨어졌다. 상상인증권은 무려 6.50% 하락하며 시장 대비 부진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가 2.78% 오르며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고, 일반서비스(1.61%), IT서비스(1.58%), 운송장비(1.56%), 전기전자(1.32%) 등의 업종도 두드러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증권(-0.66%), 통신(-0.24%), 음식료담배(-0.17%) 업종은 다소 약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도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수는 3.05포인트(0.41%) 오른 753.26을 기록 중이며, 장 초반 751.59로 출발한 이후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453억 원어치를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55억 원, 61억 원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삼천당제약이 9.16%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고, 리노공업(4.82%), 펄어비스(1.82%), 펩트론(1.80%), 에이비엘바이오(1.31%), 에스엠(1.25%) 등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알테오젠(-1.71%), 레인보우로보틱스(-1.75%) 등 일부 종목은 하락세다.

 

전반적으로 이날 증시는 정부 정책 기대감과 외국인 자금 유입, 원화 강세 등이 맞물리며 강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과 미국 고용지표 발표 등 대외 변수에 대한 경계심도 여전해, 향후 지수 흐름은 외국인 매수 지속 여부와 글로벌 경기 지표에 대한 반응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핫플 등극하더니…별마당 도서관, 세계 10대 관광 혁신 프로젝트 선정

하나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한국 관광의 위상을 세계 무대에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트립닷컴 그룹이 지난 5월 말 개최한 '인비전.2025 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에서 신설을 발표한 '관광 혁신상'은 전 세계 관광 산업의 미래를 이끌 창의적 아이디어와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창설된 권위 있는 프로그램이다. 심사는 트립닷컴 내 예약 증가 및 소셜미디어 확산 등 인지도 제고 효과,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글로벌 공개 투표, 그리고 국제 관광기관 전문가 심사라는 세 가지 엄격한 기준으로 이뤄졌다.수백 개의 후보작 중 최종 10개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린 별마당 도서관은 각 수상작에 수여되는 6만 달러(약 8천만 원)의 상금과 함께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몰입형 공연 '스피어 애프터라이프 쇼', 사우디아라비아의 에코 럭셔리 리조트 '셰바라 리조트', 영국 런던의 '킹스크로스역' 등 세계적인 명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문학과 예술, 여행을 결합한 '예술 혁신' 사례로 주목받았다.별마당 도서관은 13m 높이의 웅장한 서가와 7만여 권의 장서가 인상적인 도심 속 열린 문화공간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설계되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하고 풍요로운 문화 경험을 선사한다. 매주 명사 초청 강연,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일상 속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서울을 대표하는 포토 스팟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미 트립닷컴 AI 추천 목록인 '트립.베스트'에도 소개될 만큼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었다.홍종민 트립닷컴 한국지사장은 "별마당 도서관은 문화적 경험과 시각적 감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도시형 관광 콘텐츠의 모범 사례"라며, "한국 대표 명소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것은 매우 뜻깊으며, 한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여행지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강조했다.이번 수상은 한국 관광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맞물려 더욱 의미를 더한다. 한국 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외래 관광객 수는 2022년 319만 명에서 2023년 1103만 명, 2024년에는 1636만 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3년 연속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별마당 도서관의 이번 세계적 인정은 K-관광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글로벌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