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다시 열린 '삼천피' 시대..개미는 팔고 기관은 샀다

 20일, 코스피 지수가 3년 5개월 만에 장중 기준 3,000선을 돌파하면서 이른바 ‘삼천피’ 시대가 재개됐다. 이는 2021년 1월 6일 코로나19 팬데믹 중에 처음 돌파한 이후 1,265일 만의 일이며, 이재명 대통령 취임 17일차에 달성된 성과라는 점에서 정치권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6.09포인트(0.88%) 오른 3003.83을 기록했다. 장 초반에는 2986.52로 시작해 보합권 내에서 등락을 반복했으나, 오전 10시 45분경 3000.46을 기록하며 3,000선을 넘어섰다. 이는 2022년 1월 3일 장중 3,010.77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번 상승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이 여전한 상황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의 시장 접근성 평가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부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한 결과다. 실제로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57억 원, 67억 원을 순매수하며 시장을 끌어올렸다. 반면 개인은 장 초반 매수세에서 순매도로 돌아서며 139억 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외국인은 1,227억 원 규모로 순매수 중이다.

 

업종별로는 반도체와 2차전지, 바이오 종목군이 강세를 보이며 시장 상승을 주도했다. 삼성전자(0.51%), SK하이닉스(2.64%)는 물론, LG에너지솔루션(2.23%), 삼성바이오로직스(1.70%), 한화에어로스페이스(1.71%) 등도 오름세를 나타냈다. 다만 현대차(-0.24%), 기아(-0.20%), 두산에너빌리티(-0.98%) 등 일부 대표 제조주는 약세를 보였다.

 

 

 

업종별 상승률은 화학(1.69%), 오락문화(1.21%), 전기전자(1.17%) 순이며, 반대로 건설(-1.38%), 증권(-0.92%) 업종은 하락했다. 이는 일부 업종에서의 차익 실현 매물 출회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스닥도 코스피 못지않은 강세를 보였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6.24포인트(0.80%) 상승한 788.75를 기록했다. 장 초반에는 783.63으로 출발해 보합세를 보이다 상승 전환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에코프로비엠(3.19%), 에코프로(1.51%) 등 2차전지 관련주와 함께 레인보우로보틱스(7.14%)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알테오젠(0.26%), HLB(1.13%)도 강세를 보였다. 반면 펩트론(-0.10%), 코오롱티슈진(-3.47%) 등 일부 바이오주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금일 지수 상승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기관과 외국인의 동반 매수세가 시장 신뢰를 일정 수준 회복시킨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반도체·2차전지 업종에 대한 투자심리가 회복된 점이 코스피 3,000선 재진입의 주요 배경으로 분석된다.

 

기술적으로도 3,000선은 상징적인 지지선 혹은 저항선으로 작용해 왔으며, 이번 돌파가 향후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다만 글로벌 경제 환경의 변동성과 미 연준의 금리정책, 중동 정세 등 외부 변수에 따라 등락이 반복될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지적도 공존하고 있다.

 

여름에 오르기 좋은 명산 네 곳, 각기 다른 매력과 산행 포인트 총정리

(779m)은 비로봉, 보현봉, 문수봉, 관음봉, 나한봉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이름 그대로 오봉산이라 불린다. 남쪽으로는 소양호, 북쪽으로는 파로호가 보이는 명당에 자리해 수려한 경관을 자랑한다. 이 산이 특별한 이유는 청평사, 고려정원, 구성폭포 등 명소가 많고, 특히 내륙 산임에도 소양호를 끼고 있어 배를 타고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 청평사는 배를 이용하지 않고는 드나들기 어려워 마지막 배를 놓친 연인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긴 곳이기도 했다. 10여 년 전 오봉산 백치고개가 확대 포장되면서 이런 추억은 역사가 됐지만, 여전히 소양댐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인기가 높다. 대부분 등산객은 배후령에서 산행을 시작하며, 표고차가 크지 않아 비교적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다만 암릉이 많아 위험 구간에는 철주와 쇠줄이 설치되어 있으니 초심자들은 주의해야 한다.전라북도 변산반도의 변산(508m)은 바다와 산, 어느 쪽에서 보아도 멋진 풍광을 자랑한다. 서해를 향해 튀어나온 반도 내부 산악지대를 내변산, 바다와 접한 지역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변산의 여러 봉우리 중 가장 인기 있는 곳은 관음봉과 세봉으로, 이 두 봉우리를 잇는 산줄기가 명찰 내소사를 감싸고 있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일반적인 산행 코스는 내소사 입구 일주문에서 출발해 관음봉 삼거리, 관음봉, 세봉, 세봉 남릉을 거쳐 다시 일주문으로 돌아오는 원점회귀형이다. 직소폭포나 월명암 방면으로 넘어갈 수도 있지만, 차량을 내소사에 주차했다면 되돌아오는 길이 번거로울 수 있다.경상북도 포항시와 영덕군 경계에 위치한 내연산(710m)은 낙동정맥 줄기가 주왕산을 지나 동해안 쪽으로 뻗어 형성된 산이다. 문수산(622m), 삼지봉(내연산 정상, 710m), 향로봉(930m), 우척봉(755m)으로 능선이 이어진다. 완만한 육산이라 단조로워 보일 수 있으나, 20리에 달하는 골짜기에는 12개의 폭포가 자리하고 있다. 청하골 12폭포로 불리는 이 폭포군은 내연골 초입 상생폭포부터 시작해 보현폭, 삼보폭, 장룡폭, 무룡폭을 거쳐 제6폭포 관음폭과 제7폭포 연산폭 일대에서 계곡미의 진수를 보여준다. 산길이 순하고 뚜렷하게 이어지며, 위험 구간에는 안전시설물이 잘 갖춰져 있어 편안한 산행이 가능하다. 보경사에서 시작해 여러 폭포를 거치는 인기 코스는 천천히 걸어도 1시간 정도면 충분히 즐길 수 있다.마지막으로 운문산(1,195m)은 가지산과 함께 영남알프스 산군의 북쪽에 거대한 산줄기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산군의 능선을 따라 경북 청도군과 경주시, 경남 밀양시와 울산광역시의 경계가 이루어져 지역 문화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동과 영서를 나누는 백두대간만큼이나 이 지역에서는 중요한 산군이다. 가지산과 한 줄기로 연결된 운문산은 능선종주가 가능한 긴 산줄기지만, 대부분의 등산객은 각 봉우리를 별개의 산행지로 인식한다. 특히 산행 시작점의 고도가 낮은 운문산은 정상까지 오르는 데만 약 2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고도차가 크다. 석골사에서 시작하는 인기 코스는 물론, 밀양 남명리에서 아랫재를 통해 오르는 코스도 모두 가파른 오르막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