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원룸도 ‘억소리’..숨막히는 서울 1인 가구

 지난 5월 서울 지역의 원룸 평균 월세가 전월보다 4만 원 오른 72만 원으로 나타나면서 올해 들어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26일 발표한 ‘5월 다방여지도’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전용면적 33㎡ 이하 연립·다세대 원룸을 대상으로 보증금 1,000만 원 기준의 월세를 분석한 결과다. 월세뿐만 아니라 전세 보증금도 동반 상승하면서 서울 임대 시장의 전반적인 가격 오름세가 확인됐다.

 

우선 서울 전체 평균 월세는 72만 원으로, 이는 전월 대비 6.0% 증가한 수치다. 특히 용산구는 평균 102만 원으로 서울 자치구 중 월세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조사됐다. 서울 평균(72만 원)을 100%로 환산할 경우 용산구의 평균 월세는 약 141% 수준에 해당하며, 강남구는 127%, 서초구와 성동구는 각각 112%, 동작구는 110%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중구(107%), 강서구와 중랑구(각 106%), 금천구와 영등포구(각 105%), 강동구(102%) 등 총 11개 자치구가 서울 평균을 웃도는 월세 수준을 보였다. 이는 해당 지역들이 교통 접근성, 개발 호재, 대학가 밀집 등으로 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세 시장도 함께 들썩였다. 같은 면적 기준 원룸의 평균 전세보증금은 2억1,841만 원으로, 전월 대비 587만 원(2.8%) 상승했다. 서초구는 평균 2억7,258만 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높은 전세가를 기록했으며, 이는 서울 평균보다 5,417만 원이나 높은 금액이자 전체 평균의 125%에 달하는 수치다. 그 다음으로는 강남구가 서울 평균 대비 119% 수준, 광진구와 용산구가 109%, 중구 104%, 성동구와 송파구 102%, 마포구는 101%로 각각 집계됐다. 총 8개 자치구가 평균보다 높은 전세 보증금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서울에서 실제 거래된 임대 사례를 토대로 전·월세 전환율을 반영해 산출한 결과다. 특히 월세는 보증금 1억 원 미만 거래를 대상으로 집계했으며, 전세는 모든 거래를 포함했다. 분석 대상이 되는 연립·다세대 원룸은 서울 청년층과 1\~2인 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주택 유형으로, 임대 가격의 등락은 곧바로 해당 계층의 주거 부담으로 이어지는 만큼 시장 변화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 같은 월세 및 전세 동반 상승세에 대해 “매물 부족과 전세 기피 심리, 청년층 중심의 단기 임대 수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진단한다. 최근 금리 변동성 확대와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는 분위기가 강해졌고, 이에 따라 전·월세 가격 모두 상승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용산, 강남, 서초 등 인기 지역은 개발 호재와 고급 주거 수요가 맞물리며 가격 상승을 주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같은 흐름은 서울 전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정부와 지자체의 선제적인 임대시장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민과 청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임대 주택 공급 확대와 임대료 상한제와 같은 정책적 조치의 필요성이 다시금 제기되는 가운데, 서울 임대 시장의 향후 방향성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밤에는 불빛 터널, 낮에는 꽃 천국! 고석정 꽃밭, 가을에 안 가면 손해

하여 방문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고석정 꽃밭은 올가을 방문객들에게 짙은 가을 분위기를 선사하고자 천일홍, 백일홍, 코키아, 코스모스, 버베나, 핑크뮬리, 가우라, 억새, 해바라기 등 총 10가지 품종의 가을꽃을 심었다. 특히 붉게 물든 코키아와 바람에 일렁이는 핑크뮬리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드넓은 꽃밭을 거닐며 오색찬란한 꽃들의 향연 속에서 일상의 스트레스를 잊고 진정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올해는 더욱 풍성한 즐길 거리가 추가되었다. 철원군의 귀여운 캐릭터 '철궁이'와 '철루미'를 활용한 아기자기한 토피어리가 곳곳에 설치되어 색다른 포토존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다채로운 먹거리 부스와 아이들이 좋아하는 깡통열차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즐길 거리도 대폭 확충되어 온 가족이 함께 행복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고석정 꽃밭의 가을밤은 더욱 특별하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그리고 추석 연휴 기간에는 야간 개장을 통해 환상적인 야경을 선보인다. 덩굴식물 불빛 터널과 우산 조명 터널은 물론, 캐릭터 조형물과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져 낮과는 또 다른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2021년 첫선을 보인 고석정 꽃밭은 짧은 기간 동안 누적 관광객 200만 명을 훌쩍 넘어서며 명실상부한 철원의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김종석 시설관리사업소장은 "고석정 꽃밭에서 아름다운 가을 풍경 속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며 방문을 독려했다. 이번 가을, 고석정 꽃밭에서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