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마늘값 25% 폭등에 고등어 16% 급등... '서민 반찬' 비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31(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2% 상승했다. 이는 올해 1월(2.2%)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초부터 4개월 연속 2%대 초반을 유지하다가 5월에 1.9%로 잠시 떨어졌으나, 6월에 다시 2%대로 반등했다. 이번 물가 상승은 주로 식품가격 인상이 주도했으며,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으로 석유류 가격도 상승 전환했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수산물 가격도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가공식품 물가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6% 올라 2023년 11월(5.1%)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공식품이 전체 소비자물가에 미친 기여도는 0.39%포인트로, 물가 상승을 주도한 주요 요인이었다. 특히 빵(6.4%), 커피(12.4%), 햄 및 베이컨(8.1%) 등에서 큰 오름세를 보였다. 라면 가격은 지난해보다 6.9% 상승해 2023년 9월(7.2%)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석유류 가격도 0.3% 올라 다시 상승세로 전환했다. 반면 농산물 가격은 지난해보다 1.8% 하락했는데, 이는 지난해 크게 올랐던 과일 가격이 기저효과로 7.4% 떨어진 영향이 크다. 그러나 채소 가격은 마늘(24.9%)과 호박(19.9%)을 중심으로 0.2% 상승했다.

 


수산물 가격은 7.4% 올라 2023년 3월(7.4%)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고등어(16.1%), 조기(10.6%), 오징어(6.3%) 등 주요 어종에서 상승폭이 컸다. 이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양 생태계 변화와 어획량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축산물 가격은 4.3% 상승해 이전보다 상승폭이 다소 둔화됐지만, 달걀 물가는 산지가격 영향으로 6.0% 올라 여전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4% 상승했으며, 개인서비스 부문에서는 3.3%의 상승률을 보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0% 상승했다.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를 기록했다. 이는 실제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 부담이 통계상의 물가 상승률보다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물가 동향은 식품 가격 인상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가공식품과 수산물 가격의 상승세가 두드러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석유류 가격의 상승 전환과 함께 서비스 물가도 꾸준히 오르고 있어, 향후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임을 시사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가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높게 나타난 점도 주목할 만하다.

 

밤에는 불빛 터널, 낮에는 꽃 천국! 고석정 꽃밭, 가을에 안 가면 손해

하여 방문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고석정 꽃밭은 올가을 방문객들에게 짙은 가을 분위기를 선사하고자 천일홍, 백일홍, 코키아, 코스모스, 버베나, 핑크뮬리, 가우라, 억새, 해바라기 등 총 10가지 품종의 가을꽃을 심었다. 특히 붉게 물든 코키아와 바람에 일렁이는 핑크뮬리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드넓은 꽃밭을 거닐며 오색찬란한 꽃들의 향연 속에서 일상의 스트레스를 잊고 진정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올해는 더욱 풍성한 즐길 거리가 추가되었다. 철원군의 귀여운 캐릭터 '철궁이'와 '철루미'를 활용한 아기자기한 토피어리가 곳곳에 설치되어 색다른 포토존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다채로운 먹거리 부스와 아이들이 좋아하는 깡통열차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즐길 거리도 대폭 확충되어 온 가족이 함께 행복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고석정 꽃밭의 가을밤은 더욱 특별하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그리고 추석 연휴 기간에는 야간 개장을 통해 환상적인 야경을 선보인다. 덩굴식물 불빛 터널과 우산 조명 터널은 물론, 캐릭터 조형물과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져 낮과는 또 다른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2021년 첫선을 보인 고석정 꽃밭은 짧은 기간 동안 누적 관광객 200만 명을 훌쩍 넘어서며 명실상부한 철원의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김종석 시설관리사업소장은 "고석정 꽃밭에서 아름다운 가을 풍경 속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며 방문을 독려했다. 이번 가을, 고석정 꽃밭에서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