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인삼·김치 울고 라면 웃었다! K-푸드 '맵부심' 수출액 9조원 돌파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은 K-푸드의 '매운맛'이 대한민국 수출 지형을 뒤흔들고 있다. 올해 상반기 'K-푸드+(농식품·농산업)' 수출액이 무려 9조원을 돌파하며 역대급 실적을 갈아치운 가운데, 그 중심에는 '불티나게 팔린' 라면이 있었다. 이제 라면은 인삼과 김치라는 한국의 오랜 상징을 넘어, K-푸드 수출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우뚝 섰다.

 

농림축산식품부가 3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K-푸드+ 수출액은 66억7000만 달러(약 9조665억원)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1%의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냈다. 특히 농식품 수출액이 51억6000만 달러(약 7조150억원)로 8.4% 급증하며 전체 성장을 견인했으며, 농기자재·스마트팜 등 농산업 수출도 15억 달러(약 2조원)로 3.1% 증가하며 든든한 뒷받침이 되었다.

 

이러한 K-푸드 돌풍의 최전선에는 단연 '라면'이 있었다. 상반기 라면 수출액은 전년 대비 24%나 치솟은 7억3170만 달러(약 9950억원)를 기록, 사상 최초로 1조원 달성을 눈앞에 두며 모두를 놀라게 했다. 이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던 수치로, 전통적인 '수출 효자'였던 인삼·김치 등 신선식품 전체 수출액(약 9700억원)을 가뿐히 뛰어넘는 압도적인 성과다. 중국, 미국, 아세안 시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었으며, 독립국가연합(CIS)에서는 무려 54.5%라는 경이로운 성장률을 기록하며 K-라면의 매운맛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농식품부는 매운 크림라면 등 혁신적인 신제품과 유럽, 아세안 등 신시장 개척 노력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라면의 성공은 단순히 라면에 그치지 않았다. 한식에 대한 글로벌 인지도가 높아지고 매운맛 라면의 인기가 치솟으면서, 고추장·쌈장·불고기 소스 등 소스류 수출액도 18.4% 증가한 2억2840만 달러(약 3104억원)를 기록했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 128.5%라는 경이로운 증가율을 보이며 K-소스의 잠재력을 보여줬다. 아이스크림 역시 미국의 대형 유통매장 판매 확대와 캐나다로의 식물성 아이스크림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23.1% 늘어난 6550만 달러(약 890억원)어치가 수출되며 K-푸드의 다변화를 이끌었다.

 

물론 모든 품목이 순항한 것은 아니다. 신선식품 중 닭고기와 유자는 선전했지만, 인삼(-14.2%)과 김치(-0.7%) 등 일부 전통 품목은 다소 주춤하며 K-푸드 수출의 무게 중심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농산업 분야에서는 동물용의약품(51%), 농약(22.4%), 종자(14.1%) 등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미래 농업 수출의 청신호를 밝혔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연말까지 140억 달러(약 19조원) 수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출기업의 상품 개발 지원부터 해외 온·오프라인 판촉, 관세·비관세장벽 해소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매운맛'으로 세계인의 입맛을 홀린 K-푸드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앞으로 어떤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갈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홀인원보다 중요한 건 식후경! 골프장 밥, 굿샷보다 더한 감동!

허기를 달래는 기능적인 식사에 그쳤던 클럽하우스 메뉴는 이제 골프 경험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며, 서울, 경기, 제주 등 전국 주요 골프장들이 앞다투어 프리미엄 F&B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골프 인구의 다변화가 자리한다. 과거 비즈니스 목적의 중장년층 남성 중심에서 최근 젊은 세대와 가족 단위 이용객의 유입이 급증하면서, 클럽하우스 식사에 대한 기대치와 요구사항이 크게 달라진 것이다. 이들은 건강하고 신선한 재료는 물론, 시각적으로도 아름답고 특별한 미식 경험을 추구하며, 단조로운 식단을 탈피한 공유형 메뉴와 경험형 다이닝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다. 단순히 배를 채우는 것을 넘어, 라운딩의 여운을 즐기고 동반자들과 소통하는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다이닝을 원하는 것이다. 제주도에 위치한 명문 골프장인 더 시에나 제주 컨트리클럽은 제주의 풍부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차별화된 미식 경험을 골퍼들에게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봄에는 제주의 명물인 흑돼지로 만든 육전을 무료로 제공하는 깜짝 이벤트를 진행하여 방문객들에게 잊지 못할 추억과 만족감을 선사했다. 더 시에나 제주 컨트리클럽 관계자는 "제주의 신선한 식재료만을 엄선하여 한 상 가득 푸짐하게 담아내는 편백찜은 출시 이후 클럽하우스의 시그니처 메뉴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고 설명했다. 이 편백찜은 흑돼지 항정살, 등갈비, 오겹살, 가브리살, 뽈살 수육 등 다양한 부위의 흑돼지는 물론, 제주 제철 해산물인 전복, 랍스터, 돌문어, 새우 등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골퍼들이 라운드 후 지친 몸에 활력을 불어넣고 에너지를 충전하는 데 최적의 메뉴로 꼽힌다. 신선한 재료의 풍미와 건강까지 생각한 구성은 미식가들의 입맛까지 사로잡고 있다.수도권 대표 명문 골프장으로 손꼽히는 중부CC 역시 클럽하우스 다이닝의 품격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이곳은 기존의 정형화된 식사 메뉴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프리미엄 단품 요리와 섬세하게 구성된 코스 메뉴를 선보이며 미식의 즐거움을 더하고 있다. 연잎 해삼 삼겹살찜, 블랜빈 소스 전가복, 한우사태 전복 냉채, 부추 등심 탕수육, 관자 크림 뇨끼 등 이름만 들어도 군침 도는 메뉴들은 단순한 식사를 넘어 하나의 예술 작품과 같은 미식 경험을 제공한다. 각 메뉴는 최고급 식재료를 사용하여 전문 셰프의 손길로 정성껏 조리되며, 플레이팅 또한 고급 레스토랑 못지않은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이는 골퍼들이 라운딩 전후로 편안하고 럭셔리한 분위기 속에서 최상의 미식을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한 결과이다.더 시에나 그룹 관계자는 "클럽하우스 식사는 이제 단순히 배를 채우는 행위를 넘어, 골프 외적인 만족도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골프장의 식음 이벤트, 계절별 특성을 살린 코스 메뉴, 그리고 와인 페어링과 같은 섬세하고 전략적인 미식 접근 방식이 앞으로 골프장 선택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골프장들은 코스 관리와 서비스 품질 경쟁을 넘어, 클럽하우스 다이닝을 통해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며 골퍼들에게 더욱 풍성하고 기억에 남는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이제 클럽하우스는 단순한 식당이 아닌, 골프의 즐거움을 완성하는 미식의 성지로 거듭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