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초당 30마리 모기 사살! 3ms만에 표적 잡는 '킬러 레이저' 등장

 과학전문매체 뉴아틀라스에 따르면, 레이저 기술을 활용해 공중에 있는 모기를 추적하고 직접 박멸하는 혁신적인 제품이 출시되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포톤 매트릭스(Photon Matrix)'라는 이 기기는 놀라운 속도와 정확도로 모기를 감지하고 제거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첨단 모기 퇴치기는 불과 3밀리초(1천분의 1초) 만에 모기의 거리, 방향, 몸 크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작동 원리는 라이더(LiDAR) 모듈을 통해 레이저 빛을 방출한 후,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모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다. 위치가 확인되면 검류계 지향(galvanometer-directed) 레이저가 작동해 모기를 즉시 사살하는 방식이다.

 

포톤 매트릭스는 두 가지 모델로 출시된다. 베이직 에디션은 90도 각도에 3미터 범위 내에서 모기를 스캔하고 제거할 수 있으며, 프로 모델은 추적 범위가 6미터로 확장된다. 두 모델 모두 초당 최대 30마리의 모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효율적인 모기 퇴치가 가능하다. 특히 어두운 환경에서도 정상 작동하기 때문에 밤 시간 침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 안전을 위한 기능도 갖추고 있다. 이 장치는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사용해 사람이나 반려동물과 같은 큰 물체를 감지하며, 이러한 물체가 감지되면 모기 퇴치 레이저가 발사되지 않도록 설계되었다. 다만 초당 1미터보다 빠르게 날아가는 곤충은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집파리와 같은 빠른 해충에는 효과적이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전원 공급 방식은 콘센트 직접 연결이나 충전식 보조 배터리를 통해 가능하다. 보조 배터리 사용 시 베이직 모델은 한 번 충전으로 8시간, 프로 모델은 16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어 야외 활동이나 캠핑 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이 제품은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인디고고에서 기금을 모집 중이다. 펀딩 참여자는 베이직 에디션을 468달러(약 63만원), 프로 모델을 629달러(약 85만원)에 구매할 수 있으며, 향후 정식 출시 시 소비자 가격은 베이직 모델이 697달러(약 94만원), 프로 모델이 897달러(약 121만원)로 예정되어 있다.

 

유사한 기술을 적용한 제품으로는 이스라엘 스타트업 '비지고(Bzigo)'가 개발한 '아이리스(Iris)'가 있다. 그러나 아이리스는 레이저로 모기의 위치만 파악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만 있을 뿐, 포톤 매트릭스처럼 모기를 직접 제거하는 기능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첨단 모기 퇴치 기술은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 모기가 매개하는 질병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모기로 인한 질병 부담이 큰 열대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역대급 폭염에 ‘호캉스 대탈출’ 시작

호텔 내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올인클루시브(All-Inclusive)' 패키지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업계는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과 짧은 휴가 기간, 그리고 호캉스 선호 트렌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 같은 흐름이 나타났다고 분석하고 있다.14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부산, 속초, 제주 등 대표적인 여름 피서지의 호텔과 리조트는 7월 말~8월 초 사이 객실 예약이 대부분 마감된 상태다. 특히 조식, 룸서비스, 수영장 이용이 포함된 바우처형 패키지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리조트 속초는 해당 기간 예약률이 만실에 가까운 수준을 보였으며, 부산의 L7해운대 호텔은 지난해보다 예약률이 16%포인트 상승했다. 롯데호텔 제주 역시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판매량이 전달보다 두 배 늘어나는 등 소비자 반응이 뜨겁다.올인클루시브 패키지는 숙박 외에도 조식과 석식, 수영장, 간식, 다양한 액티비티까지 포함돼 있는 고급형 상품이다. 롯데호텔 제주가 선보인 2박 전용 올인클루시브 패키지에는 풀카페에서 치킨, 피자, 자장면 등 중 1가지 메뉴를 하루 2회 제공하는 구성도 포함돼 있어, 호텔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완전한 휴가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호텔에서만 머무르며 휴식을 즐기는' 이른바 '호캉스족'의 수요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호텔신라 역시 제주의 신라스테이 플러스 이호테우와 제주신라호텔, 부산 해운대 신라스테이에서 수영장 내 식음료를 포함한 패키지 판매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서울신라호텔은 투숙 기간 중 횟수 제한 없이 야외 수영장 이용이 가능하고, 룸서비스 및 레스토랑 이용권 30만원 상당이 포함된 3박 패키지를 출시했는데, 목표 예약률을 50% 초과할 정도로 반응이 뜨겁다.조선호텔앤리조트가 운영하는 웨스틴조선부산과 그랜드조선부산의 7월 말~8월 초 예약률도 지난해보다 5%포인트 상승했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켄싱턴 호텔 강원·제주 지점들 또한 이 시기 모두 만실 상태에 접어들었다. 특히 다양한 실내외 활동이 포함된 올인클루시브 패키지가 공통적으로 높은 판매율을 기록하고 있어 소비자 수요가 뚜렷하다는 것을 방증한다.소노호텔앤리조트의 비발디파크, 델피노, 쏠비치 등도 같은 기간 만실이며, 워터파크 오션월드를 함께 운영하는 홍천 비발디파크의 경우, 조식과 워터파크, 인피니티풀을 모두 포함한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예약이 예상보다 50% 이상 더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 다습한 날씨 탓에 야외 이동을 꺼리는 휴가객들이 호텔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패키지를 선호하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다.한편,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528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5년 하계휴가 실태 및 경기 전망'에 따르면, 기업들이 지정한 여름휴가 시점은 ‘7월 하순’(49.4%), ‘8월 초순’(42.2%)에 집중됐고, 휴가 일수는 ‘3일’이 42.5%로 가장 많았다. '5일 이상'은 32.6%로 나타났다. 이처럼 짧은 휴가 기간이 특정 시점에 집중되며 호캉스 트렌드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여기에 더해 2025년 여름은 역대급 폭염이 예고되고 있다. 기상청은 북태평양 고기압과 티베트 고기압의 영향으로 7월 초부터 이어지는 이례적 폭염이 7월 말~8월 초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이 시기는 평년에도 가장 더운 시기인 만큼, 무더위에 야외 활동을 기피하는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기상청은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만큼, 외출과 야외활동은 자제하고 음식 위생 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러한 폭염 속 호텔 패키지 상품은 단순한 사치가 아니라 여름철 건강과 안전까지 고려한 선택으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