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K-반도체 맏형 삼성전자, 2분기 '굴욕'..하반기는 내꺼야!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시장 전망치를 크게 밑도는 4조6천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어닝쇼크'에 빠졌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55.94% 급감한 수치이자, 시장 컨센서스(6조69억원)를 23.4% 하회하는 결과다. 분기 영업이익은 2023년 4분기 이후 최저치이며, 2분기 기준으로는 2년 만에 가장 낮은 실적이다. 매출액은 74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이번 실적 부진의 주된 원인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부진이다. 특히 재고자산 가치 하락에 따른 수천억원 규모의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이 반영되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줄었다. 

 

삼성전자 측은 "DS는 재고 충당 및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이익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메모리 사업은 일회성 비용으로 실적이 하락했으나,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은 고객별 평가 및 출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비메모리 사업 역시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와 라인 가동률 저하로 실적이 부진했으나, 하반기 점진적 수요 회복으로 적자 축소를 기대하고 있다.

 

반도체 외 다른 사업부문도 녹록지 않았다. 전사 실적을 이끌었던 모바일경험(MX) 사업부는 갤럭시 S25 출시 효과 소멸로 비수기에 진입했으며, TV와 가전 사업도 수요 위축과 관세 부담, 시장 경쟁 심화로 수익성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서는 DS 부문 영업이익을 1조원대로 추정하며, MX·네트워크 사업부가 2조원대, 디스플레이 6~7천억원, TV·가전 4~5천억원, 하만 3~4천억원 수준으로 예상했다.

 


다만, 2분기가 실적의 저점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반기에는 메모리 가격 상승과 함께 반도체 업황이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또한,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등 다른 사업부도 성수기에 진입하며 실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D램 업황이 가격 상승 구간으로 진입해 전사 실적을 이끌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노근창 현대차증권 리서치센터장 역시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2분기가 바닥일 것으로 보이며 점진적인 개선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HBM3E 12단 제품의 AMD 공급과 파운드리 신규 거래처 확보 등이 하반기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호텔 예약 불가능? 올여름 숙박시설이 '만실'된 놀라운 현상의 배후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면서 냉방 시설이 완비된 쇼핑 공간이 '도심 속 피서지'로 각광받고 있다.호텔업계에 따르면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폭염 영향으로 주요 휴가지 숙박 시설의 예약률이 급증하고 있다. 롯데리조트 속초는 여름 성수기인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객실이 거의 만실 상태에 이르렀으며, 부산 L7해운대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예약률이 16% 포인트 높아졌다.특히 호텔 내에서 모든 식사와 활동을 해결할 수 있는 '올인클루시브' 패키지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호텔 제주의 올인클루시브 패키지는 7월 판매량이 전월 대비 두 배로 증가했다. 이 패키지는 2박 전용 상품으로 조식과 석식은 물론, 수영장 풀카페에서 치킨, 자장면, 피자 등의 메뉴를 즐길 수 있는 혜택이 포함되어 있다.호텔신라도 제주와 부산 지역 호텔에서 수영장 식음매장의 짬뽕, 칵테일 등이 포함된 패키지 상품이 호응을 얻고 있다. 서울신라호텔의 경우 투숙 기간 무제한 야외 수영장 이용과 30만원 상당의 호텔 내 식음료 혜택이 제공되는 3연박 패키지가 목표치를 50% 초과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조선호텔앤리조트의 부산 지역 호텔들도 7월 26일부터 8월 3일까지 예약률이 작년 동기간 투숙률보다 5% 높아졌다. 이랜드파크가 운영하는 강원, 제주 소재 켄싱턴호텔과 리조트는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만실이 예상되며, 강원도의 설악밸리와 설악비치는 이미 객실이 모두 채워졌고, 제주권과 경상권도 예약률이 90%를 넘어섰다.도심 속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폭염 특수를 누리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7월 1일부터 13일까지 매출과 방문객이 각각 15%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의 매출도 각각 13.7%, 13.5% 늘었다. 특히 7월 11일과 12일 한낮 기온이 36도까지 오르자 에어컨이 가동되는 백화점으로 소비자들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여름 정기세일 또한 쇼핑객 증가에 한몫했다. 백화점 3사는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수백 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최대 50% 할인 행사를 진행했으며, 이른 무더위와 여름 휴가철 쇼핑 수요가 맞물려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대형마트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마트는 7월 초반 13일간 매출과 방문객이 전년 동기 대비 5%씩 증가했고, 이마트의 창고형 할인매장 트레이더스는 방문객이 15%나 급증했다.폭염으로 인해 냉방 관련 상품 수요도 크게 늘었다. 롯데하이마트의 에어컨과 선풍기 매출은 7월 초반 13일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0%, 80%가량 증가했으며, 다이소의 휴대용 선풍기 매출은 두 배 이상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