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금값 3000달러로 폭락!... 대형 증권사가 경고한 '골드러시의 종말'

 국제 금 시세는 뉴욕상품거래소 기준으로 지난해 초 트라이온스당 1800달러대에서 올해 4월 3300달러대까지 꾸준히 상승해왔다. 그러나 4월 이후부터는 상승세가 멈추고 등락을 반복하는 횡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금 가격 상승세에 제동이 걸린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대신증권이 18일 발표한 '유동성 확장 속 금(Gold)을 막아서는 비트코인과 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개인 투자자들이 금 투자에서 비트코인과 은으로 자금을 옮기면서 금 가격 상승세가 둔화됐다. 중국 개인 투자자들은 올해 상반기 동안 금 현물 ETF를 통해 63톤에 달하는 금을 매입했는데, 이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이 매입한 금 물량의 무려 30배에 달하는 규모다.

 

중국 정부는 개인 자금이 주식과 부동산이 아닌 부가가치가 창출되지 않는 금으로 유입되는 것이 경기 부양책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했다. 이에 5월부터 시중 은행들에게 신용카드 현금 서비스 및 신용대출을 통한 금 매입을 단속하도록 지시했다. 중국 부자들의 금 매입이 중단되자 국제 금 가격 상승세도 함께 둔화되기 시작했다.

 


금은 전통적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에 대한 불신이 높은 부자들이 리스크 헤지를 위해 보유하는 자산이다. 이러한 금의 대체재로는 비트코인과 은, 백금이 있다. 그러나 이들 자산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금 가격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형성될 때 상승하는 반면, 비트코인은 실제 유동성이 시장에 투입될 때 강세를 보인다. 2020년 8월 글로벌 팬데믹으로 유동성이 확대되었을 때처럼, 실제 시장에 유동성이 늘어나면 금의 헤지 수요는 비트코인으로 이탈하는 경향이 있다.

 

은과 백금은 금과 마찬가지로 리스크 헤지 자산이지만, 동시에 제조업 수요가 각각 58%와 68%를 차지하는 경기 민감 자산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 자산은 제조업 PMI(구매 관리자 지수)가 반등하기 직전에 상승하는 패턴을 보인다. 현재 각국 중앙은행들이 정책금리를 인하해 유동성이 확장되는 상황에서, 늘어난 유동성은 글로벌 제조업 PMI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중국 인민은행은 유동성을 1.3조 달러에서 1.5조 달러로 추가 투입할 계획이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투자은행들이 4~6조 달러의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SLR(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규제 완화를 추진 중이다.

 

최진영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제조업 반등이 은과 백금의 성과가 금을 압도하기 시작한 이유"라며 "유동성 장세에서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위축되기 때문에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온스당 3000달러까지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결국 현재의 시장 환경에서는 금보다 은과 백금,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자산이 더 나은 성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핫플 등극하더니…별마당 도서관, 세계 10대 관광 혁신 프로젝트 선정

하나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한국 관광의 위상을 세계 무대에 다시 한번 각인시키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트립닷컴 그룹이 지난 5월 말 개최한 '인비전.2025 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에서 신설을 발표한 '관광 혁신상'은 전 세계 관광 산업의 미래를 이끌 창의적 아이디어와 성공 사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창설된 권위 있는 프로그램이다. 심사는 트립닷컴 내 예약 증가 및 소셜미디어 확산 등 인지도 제고 효과,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글로벌 공개 투표, 그리고 국제 관광기관 전문가 심사라는 세 가지 엄격한 기준으로 이뤄졌다.수백 개의 후보작 중 최종 10개 프로젝트에 이름을 올린 별마당 도서관은 각 수상작에 수여되는 6만 달러(약 8천만 원)의 상금과 함께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몰입형 공연 '스피어 애프터라이프 쇼', 사우디아라비아의 에코 럭셔리 리조트 '셰바라 리조트', 영국 런던의 '킹스크로스역' 등 세계적인 명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문학과 예술, 여행을 결합한 '예술 혁신' 사례로 주목받았다.별마당 도서관은 13m 높이의 웅장한 서가와 7만여 권의 장서가 인상적인 도심 속 열린 문화공간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설계되어 방문객들에게 편안하고 풍요로운 문화 경험을 선사한다. 매주 명사 초청 강연,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일상 속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서울을 대표하는 포토 스팟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미 트립닷컴 AI 추천 목록인 '트립.베스트'에도 소개될 만큼 글로벌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었다.홍종민 트립닷컴 한국지사장은 "별마당 도서관은 문화적 경험과 시각적 감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도시형 관광 콘텐츠의 모범 사례"라며, "한국 대표 명소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것은 매우 뜻깊으며, 한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여행지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라고 강조했다.이번 수상은 한국 관광의 지속적인 성장세와 맞물려 더욱 의미를 더한다. 한국 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외래 관광객 수는 2022년 319만 명에서 2023년 1103만 명, 2024년에는 1636만 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등 3년 연속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별마당 도서관의 이번 세계적 인정은 K-관광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리고 글로벌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