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금값 3000달러로 폭락!... 대형 증권사가 경고한 '골드러시의 종말'

 국제 금 시세는 뉴욕상품거래소 기준으로 지난해 초 트라이온스당 1800달러대에서 올해 4월 3300달러대까지 꾸준히 상승해왔다. 그러나 4월 이후부터는 상승세가 멈추고 등락을 반복하는 횡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금 가격 상승세에 제동이 걸린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대신증권이 18일 발표한 '유동성 확장 속 금(Gold)을 막아서는 비트코인과 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개인 투자자들이 금 투자에서 비트코인과 은으로 자금을 옮기면서 금 가격 상승세가 둔화됐다. 중국 개인 투자자들은 올해 상반기 동안 금 현물 ETF를 통해 63톤에 달하는 금을 매입했는데, 이는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PBOC)이 매입한 금 물량의 무려 30배에 달하는 규모다.

 

중국 정부는 개인 자금이 주식과 부동산이 아닌 부가가치가 창출되지 않는 금으로 유입되는 것이 경기 부양책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했다. 이에 5월부터 시중 은행들에게 신용카드 현금 서비스 및 신용대출을 통한 금 매입을 단속하도록 지시했다. 중국 부자들의 금 매입이 중단되자 국제 금 가격 상승세도 함께 둔화되기 시작했다.

 


금은 전통적으로 정부와 중앙은행에 대한 불신이 높은 부자들이 리스크 헤지를 위해 보유하는 자산이다. 이러한 금의 대체재로는 비트코인과 은, 백금이 있다. 그러나 이들 자산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금 가격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형성될 때 상승하는 반면, 비트코인은 실제 유동성이 시장에 투입될 때 강세를 보인다. 2020년 8월 글로벌 팬데믹으로 유동성이 확대되었을 때처럼, 실제 시장에 유동성이 늘어나면 금의 헤지 수요는 비트코인으로 이탈하는 경향이 있다.

 

은과 백금은 금과 마찬가지로 리스크 헤지 자산이지만, 동시에 제조업 수요가 각각 58%와 68%를 차지하는 경기 민감 자산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들 자산은 제조업 PMI(구매 관리자 지수)가 반등하기 직전에 상승하는 패턴을 보인다. 현재 각국 중앙은행들이 정책금리를 인하해 유동성이 확장되는 상황에서, 늘어난 유동성은 글로벌 제조업 PMI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중국 인민은행은 유동성을 1.3조 달러에서 1.5조 달러로 추가 투입할 계획이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투자은행들이 4~6조 달러의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도록 SLR(보완적 레버리지 비율) 규제 완화를 추진 중이다.

 

최진영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제조업 반등이 은과 백금의 성과가 금을 압도하기 시작한 이유"라며 "유동성 장세에서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위축되기 때문에 전통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온스당 3000달러까지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결국 현재의 시장 환경에서는 금보다 은과 백금, 비트코인과 같은 대체 자산이 더 나은 성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2025년 ‘핫’한 관광지로 등극한 서울 비밀 명소는?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고 12일 트립닷컴이 밝혔다. 이번 수상은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 명소인 별마당 도서관이 문학과 예술, 여행을 접목한 ‘예술 혁신’ 사례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은 결과로, 국내 관광 산업과 문화 콘텐츠의 위상을 높이는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트립닷컴 그룹은 지난 5월 말 ‘인비전.2025(Envision.2025) 글로벌 파트너 컨퍼런스’에서 관광 혁신상을 신설하며 전 세계 관광 산업을 선도할 창의적 아이디어와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상은 트립닷컴 플랫폼 내 예약 증가, 소셜미디어 확산 효과 등 인지도 제고 영향,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된 전 세계 대중 대상 공개 투표, 그리고 국제 관광기관 전문가들의 심사 세 가지 기준으로 엄격하게 평가되었다.수백 개의 후보 중 엄선된 10개 프로젝트가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됐으며, 각 프로젝트에는 6만 달러(한화 약 8,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었다. 별마당 도서관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몰입형 공연 ‘스피어 애프터라이프 쇼(Afterlife Show at the Sphere)’, 사우디아라비아의 친환경 럭셔리 리조트 ‘셰바라 리조트(Shebara Resort)’, 영국 런던의 ‘킹스크로스역(King’s Cross Station)’ 등 세계 유수의 혁신 관광 프로젝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독창적인 예술 관광 콘텐츠로서 주목받았다. 별마당 도서관은 높이 13미터에 달하는 거대한 서가와 7만여 권의 다양한 장서로 이루어진 도심 속 개방형 문화 공간이다. 누구나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방문객들이 편안하게 독서와 휴식을 즐길 수 있으며, 매주 명사 초청 강연, 공연, 전시 등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해 일상 속에서 쉽게 문화 향유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서울 시민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들에게도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서울의 대표적인 포토 스팟이자 지역 관광 활성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별마당 도서관은 트립닷컴의 AI 기반 추천 목록 ‘트립.베스트(Trip.Best)’에도 선정되어 한국 여행 명소로서의 가치를 재확인했다.트립닷컴 한국지사장 홍종민은 “별마당 도서관은 단순한 공간을 넘어 문화적 경험과 시각적 감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도시형 관광 콘텐츠”라며 “이번 수상은 한국을 대표하는 명소가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은 매우 뜻깊은 일로, 한국이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여행지로 도약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라고 강조했다.한편, 한국 관광 데이터랩에 따르면 국내 외래 관광객 수는 2022년 319만 명에서 2023년 1,103만 명으로 급증했으며, 2024년에는 1,636만 명 이상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별마당 도서관과 같은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문화 관광 콘텐츠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한국 관광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처럼 서울 강남구의 별마당 도서관이 전 세계 주요 혁신 관광 프로젝트와 나란히 선정된 것은 단순히 한 건물의 문화적 성과를 넘어 한국 관광 콘텐츠가 세계 무대에서 주목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독특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발전에 큰 동력을 제공하는 별마당 도서관의 역할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서울과 한국 전역의 문화관광자원이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