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엔비디아만 믿고 Go" SK하이닉스, HBM 덕에 9조 시대 열어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선두주자로 입지를 굳혔다. 회사는 24일 공시를 통해 2024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22조2320억 원, 영업이익 9조2129억 원, 순이익 6조996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41%, 순이익률은 31%에 달하며, 분기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 성적이다.

 

이번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돈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증권가 컨센서스였던 매출 20조7186억 원, 영업이익 9조648억 원을 모두 초과했다. SK하이닉스는 실적 개선의 주요 원인으로 인공지능(AI) 시장 확장에 따른 메모리 수요 급증, 그리고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12단 제품의 본격적인 출하 확대를 꼽았다.

 

특히 AI에 특화된 HBM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빛을 발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AI 모델 학습과 추론에 필요한 고성능 메모리를 적극 구매함에 따라,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에서 기대를 뛰어넘는 출하량을 기록했다. 회사는 "업계 최고 수준의 AI 메모리 경쟁력과 수익성 중심의 경영이 어우러져 최고 실적을 견인했다"고 밝혔다.

 

재무 건전성도 개선됐다. 2분기 말 기준 현금성 자산은 17조 원으로 전 분기 대비 2조7000억 원 늘었으며, 순차입금은 4조1000억 원 감소했다. 차입금 비율은 25%, 순차입금 비율은 6% 수준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HBM 제품 출하를 올해 전년 대비 약 2배로 늘려 안정적인 실적 기조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차세대 제품인 HBM4도 고객사의 요구 시점에 맞춰 적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준비 중이며, 관련 테스트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서버용 LPDDR 기반 모듈 공급을 연내 시작할 예정이며, 현재 16Gb로 공급 중인 AI GPU용 GDDR7 제품은 24Gb로 확장해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낸드플래시 부문도 수익성 중심의 보수적 투자 기조를 유지하면서, QLC 기반 고용량 기업용 SSD와 321단 낸드 기반 신제품 개발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AI 중심 메모리 시장의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수요 가시성이 높은 HBM 제품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투자 계획을 상향 조정했다. 올해 투자는 대부분 HBM 생산용 장비 확보에 집중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규모는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와 협의해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청주 M15X 공장은 예정대로 올해 4분기 가동을 시작하고,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D램 생산에 들어간다. 용인 공장은 2027년 2분기 준공 예정이다.

 

중국 시장에 대한 전략도 유지된다.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도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공장을 핵심 생산 거점으로 계속 활용할 계획임을 밝혔다. 특히 HBM 생산이 확대되면서 구형 D램의 공급이 줄어든 상황에서, 중국 공장은 레거시 D램 생산지로서 역할을 강화하게 된다. 단기적으로 가격 급등세를 보이는 레거시 D램 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엔비디아와의 협력도 강화된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에 맞춰 개발한 ‘H20’에 들어가는 8단 HBM을 납품 중이며, 하반기에는 중국향 AI 가속기 신제품 ‘RTX Pro(B40)’용 GDDR7 24Gb 제품도 출시할 예정이다. 이는 AI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와 고객 다변화를 겨냥한 포석이다.

 

SK하이닉스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기술력뿐 아니라 파트너십 기반의 공급 전략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같은 주요 고객과의 협력을 통해 최적의 제품 믹스와 공급 시점, 가격 전략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SK하이닉스는 단순한 회복세를 넘어, AI 시대 메모리 중심 기업으로의 진화를 본격화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AI 수요를 중심으로 한 고성능·고부가 메모리 시장에서 선제적 투자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전망이다.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주인공들이 제주에?... 9월 제주에서 벌어지는 충격적 만남

타 인 제주)를 개최한다고 12일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K-팝과 K-콘텐츠를 사랑하는 전 세계 한류 팬들에게 제주의 로컬 문화와 연계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첫째 날인 9월 12일에는 방탄소년단(BTS) 멤버 진이 tvN 프로그램 '핸썸가이즈' 촬영 당시 방문했던 서귀포시 신효동의 '베케 정원'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이날 행사에서는 제주어로 부르는 K-팝 스타 노래, K-팝 스타의 안무 배우기, 가야금과 아카펠라로 듣는 K-팝 메들리 콘서트 등 한류 팬들이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또한 팬아트 전시회, 전통 보자기를 활용한 워크숍, 신효마을 투어 등을 통해 팬덤과 지역사회가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둘째 날인 9월 13일에는 제주목 관아에서 K-드라마와 K-컬처를 테마로 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를 주제로 한 선흘 할망 작품 전시와 제주목 관아 도슨트 투어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호랑이(더피)를 모티브로 한 작호도 만들기 체험과 저승사자 의상을 입고 네 컷 사진을 찍는 이벤트도 마련되어 한류 팬이라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특별히 이번 행사에서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노력도 엿볼 수 있다. 제주관광공사는 티웨이항공, 휠체어 전문 여행사와 협력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K-팝 팬들을 제주로 특별 초청하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 팬들에게도 한류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포용적인 문화 행사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행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 인스타그램(@purplefesta2025)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지될 예정이다. 관심 있는 한류 팬들은 공식 SNS를 통해 최신 소식을 확인할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올해 처음 열리는 이 행사는 당초 BTS 팬덤을 타깃으로 기획했다가 K-팝과 K-콘텐츠를 사랑하는 세계 한류 팬으로 대상을 넓혀 추진하게 됐다"며 "참가자들에게 제주 로컬문화와 연결된 새로운 팬덤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특별한 추억을 선물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류 콘텐츠와 제주의 지역 문화를 결합하여 글로벌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제주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