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경제

생활경제

최태원 '기사회생'…SK그룹 운명 가른 대법원, '노태우 비자금'에 철퇴

 세기의 이혼 소송으로 불리며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재산분할 다툼이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대법원이 1조 4000억 원에 육박하는 재산을 분할하라고 명령한 2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기 때문이다. 이번 대법원 판결의 핵심은 항소심이 노 관장의 재산 형성 기여를 인정하며 결정적 근거로 삼았던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300억 원'의 성격을 '불법원인급여'로 규정했다는 점이다. 즉, 뇌물 등 불법적인 원인으로 제공된 자금은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없으며, 이를 재산분할 과정에서 기여분으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는 명확한 법리를 제시한 것이다. 이로써 SK그룹의 지배구조까지 흔들 수 있었던 천문학적 규모의 재산분할 판결은 원점에서 재검토될 운명에 놓였다.

 

대법원은 노 전 대통령이 1991년경 최 회장 측에 300억 원가량의 돈을 지원했다는 사실관계 자체는 인정될 여지가 있더라도, 그 돈의 출처가 대통령 재직 중 수수한 뇌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 국가의 추징을 피하기 위해 사돈 혹은 자녀에게 거액의 뇌물을 숨기도록 지원한 행위는 그 자체로 선량한 풍속과 사회질서에 정면으로 반하는 반사회적·반윤리적 행위라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다. 따라서 이러한 불법 자금을 기반으로 한 노 관장 측의 기여 주장은 법적으로 보호받을 가치가 없다고 못 박았다. 설령 노 관장이 직접 돈의 반환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재산분hal에서 자신의 기여로 주장한다 하더라도 그 불법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이를 기여 내용으로 참작한 원심 판결에는 법리를 오해한 중대한 잘못이 있다고 지적했다.

 


대법원의 이번 판결로 최태원 회장 측은 한숨 돌리게 되었다. 최 회장 측 변호인은 "항소심의 법리 오해와 사실 오인이 시정될 수 있게 되어 다행"이라며 법원의 판결을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SK가 노태우 정권의 비자금을 통해 성장했다'는 항소심의 판단이 대법원에 의해 명백한 오류로 바로잡혔다는 점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판결을 계기로 그간 SK그룹의 성장을 둘러싸고 제기되었던 억측과 오해가 해소되기를 기대한다며, 아직 재판이 끝난 것이 아닌 만큼 앞으로의 파기환송심에 최선을 다해 임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대법원은 2심이 인정한 위자료 20억 원에 대해서는 법리 오해나 재량의 한계를 벗어난 부분이 없다며 그대로 확정했다.

 

1988년 결혼하여 슬하에 세 자녀를 둔 두 사람의 파경은 2015년 최 회장이 혼외자의 존재를 고백하며 세상에 알려졌다. 이후 2017년 최 회장이 이혼 조정을 신청하며 시작된 법적 다툼은 1심에서 위자료 1억 원과 재산분할 665억 원, 2심에서 위자료 20억 원과 재산분할 1조 3808억 원이라는 극과 극의 판결을 거치며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제 사건은 서울고등법원으로 돌아가 대법원이 제시한 새로운 법리에 따라 재산분할 규모를 다시 산정하게 된다. '비자금 300억'이라는 핵심 연결고리가 끊어진 만큼, 파기환송심에서는 노 관장의 기여도를 어떤 방식으로 재평가할지를 두고 양측의 더욱 치열한 법리 다툼이 예상된다.

 

내년 한국인 여행지 1위, '도쿄·오사카' 아니었다…476% 폭증한 '이곳'의 정체는?

유지하겠다는 응답(44%)을 넘어, 올해보다 더 자주, 더 많이 떠나겠다는 적극적인 여행객도 36%에 달했다. 주목할 점은 예산 계획의 변화다. 무조건 저렴한 곳만 찾는 '가성비 여행'의 시대는 저물고 있다. 10명 중 7명 이상이 올해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돈을 여행에 쓸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특히 항공권과 숙박에 더 과감히 투자하겠다는 응답자도 31%나 되었다. 이는 여행의 '양'뿐만 아니라 '질'을 높이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그렇다면 이들이 선택한 여행지는 어디일까? 놀랍게도 정답은 도쿄나 파리 같은 대도시가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시선은 이제 덜 알려졌지만 특별한 매력을 간직한 일본의 소도시로 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검색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아름다운 단풍으로 유명한 '아사히카와'의 검색량은 전년 대비 무려 476%나 폭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오키나와의 숨은 보석'이라 불리는 '미야코지마' 역시 247% 상승하며 그 뒤를 이었다. 비단 일본뿐만이 아니다. 중국의 '충칭'(245%), 아프리카의 섬나라 모리셔스의 '포트루이스'(148%), 이탈리아 남부의 '바리'(87%) 등 기존의 인기 여행지 공식을 벗어난 이색적인 장소들이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남들이 다 가는 곳을 따라가는 여행이 아닌, 나만의 취향과 이야기를 담을 수 있는 곳을 찾아 떠나는 '맞춤형 여행'이 대세가 되었음을 의미한다.여행의 목적 또한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여행은 단순히 유명 관광지에서 인증샷을 남기는 행위를 넘어섰다. 새로운 트렌드의 선두에는 '마트어택'이 있다. 비싼 맛집 대신 현지 슈퍼마켓을 공략해 그 나라의 진짜 식문화를 경험하려는 흐름으로, 한국인 여행객의 절반 이상이 이를 즐기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MZ세대 사이에서는 '여·만·추(여행에서의 만남을 추구)'가 새로운 코드로 떠올랐다. 여행지에서 새로운 친구를 사귀거나 로맨틱한 인연을 기대하는 이들이 10명 중 4명에 달할 정도. 문학 작품의 배경이 된 장소를 찾아가거나 현지 서점을 탐방하는 '책스케이프' 역시 큰 인기다. 이미 한국인 응답자의 63%가 책에서 영감을 받아 여행을 떠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정보 습득 방식의 변화가 있다. 과거 여행 책자나 블로그가 하던 역할은 이제 '유튜브'가 대신하고 있다. 전체 응답자의 61%가 유튜브를 통해 여행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으며, 특히 Z세대에게는 유튜브(70%)와 인스타그램(56%)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결국 2026년의 여행은 정해진 코스를 따르는 단체 관광이 아닌, 유튜브에서 발견한 이색적인 숙소(아부다비)나 현지 식재료(이탈리아 바리) 등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사에서 출발하는 '나만의 여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