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오지말라 했잖아.." 스페인 폭증한 관광객으로 '몸살'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 여러 지역에서 과잉관광(오버투어리즘) 문제로 인한 불만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스페인을 찾은 외국 관광객 수가 올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 통계청은 올해 1월~7월까지 스페인을 방문한 외국 관광객 수는 약 5340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높아졌다고 밝혔다. 특히 휴가철인 7월 한 달 동안에는 1090만명이 스페인을 찾았으며 지난해 대비 7.3% 늘어난 수치이다.

 

관광객들이 스페인에서 지출한 금액은 711억 유로(약 105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7월 한 달 동안의 지출은 155억 유로(약 23조원)로 지난해 7월보다 12% 증가하여 7월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광객의 출신 국가별로는 영국인이 가장 많았고, 총 1050만명이 스페인을 방문했다. 프랑스인과 독일인은 각각 700만명, 680만명이었으며 관광객이 스페인 방문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 내 인기 관광지는 카탈루냐 지역의 바르셀로나(1150만명), 마요르카 섬이 있는 발레아레스 제도(870만명), 카나리아 제도(870만명 미만), 발렌시아(680만명 미만) 순이었다.

 

현재 관광업은 스페인 국내총생산(GDP)의 약 14%를 차지하지만 관광객 수의 증가에 따라 주택난, 교통난, 환경 오염 등 문제가 악화되고 있다. 이 문제로 바르셀로나, 말라가, 카나리아 제도 등 인기 휴양지에서는 주민들이 과잉 관광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편 과잉관광 문제는 스페인만의 문제가 아니며, 스위스 알프스, 일본 도쿄 등도 관광객 수를 제한하기 위해 세금 부과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도시와 호텔 등급에 따라 관광세를 인상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대 25유로(약 3만7000원)까지 부과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 찬사…3만명 몰려가 직접 달려본 마라톤 코스

형 등 유명인으로 구성된 출연진들은 지난 10일 방송에서 세계 7대 메이저 마라톤으로 공식 등극한 'TCS 시드니 마라톤' 완주에 도전했다. 이들은 시드니의 상징인 하버브리지를 직접 발로 달리며 오페라하우스 앞 결승선을 통과하는 감동적인 여정을 선보이며, 단순한 도시를 넘어 스포츠의 성지로 거듭난 시드니의 역동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했다.이번 방송의 핵심인 TCS 시드니 마라톤은 올해를 기점으로 보스턴, 런던, 뉴욕, 도쿄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애보트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 대회로 공식 승격되었다. 이는 시드니가 세계적인 스포츠 도시로서의 입지를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 호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이 국제 마라톤 대회에는 100여 개국에서 3만 3천여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모여 장관을 이뤘다. 특히 하버브리지와 서큘러키, 오페라하우스를 잇는 코스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라톤 코스'라는 찬사를 받으며, 단순한 기록 경쟁을 넘어 도시의 풍광을 만끽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마라톤의 뜨거운 열기 이후, 방송은 도전적인 여정과 대비되는 평화롭고 낭만적인 호주의 모습을 담아냈다. 출연진은 시드니 근교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헌터밸리와 포트스테판으로 이동해 진정한 휴식을 즐겼다.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산지인 헌터밸리에서는 150개가 넘는 와이너리 중 한 곳을 방문하고 열기구를 체험하며 목가적인 풍경 속에서 미식과 여유를 만끽했다. 이어 포트스테판의 광활한 모래언덕과 천연 해변에서는 돌고래 크루즈를 포함한 다채로운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며 호주 대자연이 주는 모험과 휴식을 동시에 경험했다.결과적으로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는 단순한 연예인들의 여행기를 넘어, 하나의 도시가 품을 수 있는 경험의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은지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의 중심에서 느끼는 짜릿한 성취감부터, 대자연 속에서 누리는 평화로운 휴식과 미식의 즐거움까지, 스포츠, 자연, 도시 문화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진정한 매력을 한국 시청자들에게 각인시켰다. 이는 새로운 여행지에 대한 영감과 동기를 부여하며, 호주 여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