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오지말라 했잖아.." 스페인 폭증한 관광객으로 '몸살'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 여러 지역에서 과잉관광(오버투어리즘) 문제로 인한 불만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스페인을 찾은 외국 관광객 수가 올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페인 통계청은 올해 1월~7월까지 스페인을 방문한 외국 관광객 수는 약 5340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높아졌다고 밝혔다. 특히 휴가철인 7월 한 달 동안에는 1090만명이 스페인을 찾았으며 지난해 대비 7.3% 늘어난 수치이다.

 

관광객들이 스페인에서 지출한 금액은 711억 유로(약 105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했다. 7월 한 달 동안의 지출은 155억 유로(약 23조원)로 지난해 7월보다 12% 증가하여 7월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관광객의 출신 국가별로는 영국인이 가장 많았고, 총 1050만명이 스페인을 방문했다. 프랑스인과 독일인은 각각 700만명, 680만명이었으며 관광객이 스페인 방문을 크게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 내 인기 관광지는 카탈루냐 지역의 바르셀로나(1150만명), 마요르카 섬이 있는 발레아레스 제도(870만명), 카나리아 제도(870만명 미만), 발렌시아(680만명 미만) 순이었다.

 

현재 관광업은 스페인 국내총생산(GDP)의 약 14%를 차지하지만 관광객 수의 증가에 따라 주택난, 교통난, 환경 오염 등 문제가 악화되고 있다. 이 문제로 바르셀로나, 말라가, 카나리아 제도 등 인기 휴양지에서는 주민들이 과잉 관광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편 과잉관광 문제는 스페인만의 문제가 아니며, 스위스 알프스, 일본 도쿄 등도 관광객 수를 제한하기 위해 세금 부과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도시와 호텔 등급에 따라 관광세를 인상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대 25유로(약 3만7000원)까지 부과될 수 있다.

 

아직 신라·롯데는 시작도 안했다…미리 보는 2025 크리스마스 '케이크 전쟁'

하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단순한 디저트를 넘어 연말의 특별한 분위기를 완성하는 ‘작은 사치’의 상징으로 자리 잡은 호텔 케이크 시장의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워커힐, 인터컨티넨탈, 포시즌스 등 주요 호텔들이 먼저 화려한 라인업을 공개하며 본격적인 흥행몰이에 나섰다. 이들은 최고급 재료와 예술적인 디자인을 앞세워 브랜드의 자존심을 건 한판 승부를 예고하고 있다.올해 공개된 라인업 중 현재까지 최고가 타이틀은 워커힐 호텔앤리조트가 차지했다. 프랑스어로 ‘하얀 겨울의 빛’을 뜻하는 ‘뤼미에르 블랑슈’ 케이크는 무려 38만 원에 달한다. 눈 덮인 겨울 마을을 연상시키는 화이트초콜릿 장식이 특징인 이 케이크는, 지난해 서울신라호텔이 트러플과 명품 디저트 와인을 넣어 40만 원에 선보였던 최고가 케이크의 아성에 도전한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역시 회전목마를 형상화한 50개 한정판 ‘메리고라운드’ 케이크를 35만 원에, 포시즌스 호텔 서울은 블랙 트러플 크림을 넣은 30만 원짜리 ‘다이아몬드 포시즌스 리프’를 내놓으며 초고가 경쟁에 불을 지폈다.하지만 모든 호텔 케이크가 혀를 내두를 가격인 것은 아니다. 호텔들은 초고가 시그니처 케이크로 브랜드 이미지를 과시하는 동시에, 보다 합리적인 가격대의 제품들도 함께 선보이며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파라다이스 호텔앤리조트는 약 32cm 높이의 거대한 생딸기 케이크 ‘딸기트리’를 14만 원에, 우체통 모양의 ‘산타 포스트박스’를 10만 원에 출시했다. 그랜드하얏트서울은 ‘초콜릿 바나나 율 로그’ 등 10만 원대 케이크는 물론, ‘페스티브 스타라이트’와 같은 3만~4만 원대의 쁘띠 케이크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라인업을 구성해 부담 없이 호텔 디저트를 즐기고 싶은 고객들을 공략하고 있다.이처럼 호텔들이 매년 케이크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크리스마스 케이크가 단순한 상품을 넘어 호텔의 자존심과 이미지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기 때문이다. 한 호텔업계 관계자는 “크리스마스 케이크는 매년 큰 관심을 끄는 만큼, 호텔의 제과 기술력과 창의성을 집약해 선보이는 작품과도 같다”며 “고가의 케이크 외에도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특별한 연말 분위기를 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직 롯데호텔, 신라호텔, 조선호텔 등 전통의 강자들이 출사표를 던지지 않은 상황이라, 이들이 과연 어떤 케이크로 시장의 판도를 흔들고 새로운 최고가 기록을 경신할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