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한국, 쿠데타 일어나나?" 외신들, '계엄령 선포'에 韓 민심 '분노' 보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철회는 외신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례적인 계엄령이 한국 국민을 분노하게 만들었다고 보도했고, 블룸버그는 한국이 민주주의 원칙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이 사건이 한국의 금융시장과 국제 외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계엄령이 북한의 군사행동을 자극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AP통신은 야당 의회를 향한 상징적 조치라고 분석했다. 

 

일본 언론도 이 사건을 중요하게 다루며, 한국의 정치적 갈등을 강조했다. BBC는 계엄군에 맞선 서울 시민들의 저항을 조명했다. 

 

영국 가디언과 프랑스 AFP는 윤 대통령의 정치적 위기에 대해 비판하며, 한국의 민주주의에 미친 영향을 우려했다.

 

서울, 제주 찍고 삿포로, 다낭으로..설 연휴 여행 트렌드 '뚜렷'

25일29일) 기간 해외여행 예약 데이터 분석 결과, 작년 음력 설(2월 9일12일) 대비 국내발 해외여행 예약률은 73.15%, 해외발 한국여행 예약률은 18.16%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항공, 숙소, 액티비티 예약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로, 연휴 기간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준다.특히 올해 설 연휴 시작일인 25일 예약 건수는 작년 설 연휴 시작일(2월 8일) 대비 84.23% 급증하며 긴 연휴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평균 여행 기간 역시 늘어난 추세다. 국내 여행객의 해외여행 평균 체류 기간은 8.1일, 해외여행객의 한국 체류 기간은 7.6일로, 장거리 여행객 증가와 더불어 여유로운 일정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국내 여행객에게 가장 인기 있는 여행지는 단연 일본이었다.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 주요 도시가 상위권을 휩쓸었고, 방콕, 상하이, 홍콩 등 근거리 여행지도 꾸준한 인기를 보였다. 특히 삿포로, 나트랑, 호치민, 다낭 등 겨울 특수를 누리는 여행지들이 상위권에 오르며 눈길을 끌었다.해외 여행객들에게는 서울, 제주, 부산 등 주요 도시가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하지만 겨울 레저를 즐기려는 수요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우도, 해운대 블루라인파크, 남이섬 등 인기 관광지와 더불어 비발디파크가 투어·티켓 예약 순위 5위 안에 오르며 겨울 스포츠를 즐기려는 해외 여행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이번 설 연휴는 길어진 연휴 기간과 더불어 억눌렸던 여행 수요가 폭발하며 여행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