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버킨백이 11만원?" 월마트발 '위킨백' 열풍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에르메스의 버킨백과 유사한 디자인의 가방이 월마트에서 11만 원대에 판매되며 전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위킨(Wirkin)'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이 가방은 현재 전량 매진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고 CNN이 1일 보도했다.

 

에르메스의 버킨백은 영국 출신 배우이자 가수였던 고 제인 버킨의 이름을 딴 제품으로, 장인들이 40시간 이상 공들여 제작하는 최고급 수제 가방이다. 가격대가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에 이르며, 단순히 구매 의사만으로는 구입이 불가능하다. 에르메스의 다른 제품들을 꾸준히 구매하는 '구매 실적'이 있어야만 구입 기회가 주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월마트가 선보인 '위킨백'은 버킨백과 유사한 디자인을 78달러(약 11만원)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특히 소셜미디어를 통한 입소문이 큰 역할을 했다. 틱톡의 한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80달러면 버킨을 가진 척할 수 있다"며 "이러면 누가 진짜 버킨백에 돈을 쓰겠나"라는 영상을 게재해 화제를 모았다.

 


최근 온라인 쇼핑의 편의성과 저렴한 배송비, 그리고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도)' 중시 트렌드가 맞물리면서 저가 대체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도 위킨백 열풍의 배경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명품 업계와 패션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우려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명품 애호가들은 위킨백의 인기가 "패스트 패션을 조장하고 장인정신과 예술성을 무시하는 행위"라고 비판하고 있다. 일부 비평가들은 모조품을 사용하는 것을 "굴욕적인 행위"라고까지 표현하며, 진품과 모조품의 품질 차이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버킨백의 경우 단순한 가방 이상의 의미를 지닌 럭셔리 아이템으로, 장인들의 수작업으로 완성되는 고급스러운 품질과 희소성이 핵심 가치라는 점에서, 대량 생산되는 저가 모조품의 유행이 브랜드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호캉스·온천만 있으면 만족도 폭발...? 여행객들이 '관광'을 포기하는 이유

HCSI) 결과에 따르면, 7일 미만의 단기 여행이 7일 이상의 장기 여행보다 현저히 높은 만족도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는 하나투어가 지난해 패키지 여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특히 단기 여행 중에서도 지역별 만족도는 '시코쿠 4일'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치앙마이 5일'이 2위, '오키나와 4일'이 3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근거리 여행지의 인기를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는 바쁜 현대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짧고 집중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여행 테마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지속가능한 여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힐링휴양', '다이닝·미식', '관광+자유', '관광' 순으로 이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모든 비행시간대에서 호캉스, 온천호텔, 충분한 자유시간 등을 포함한 '힐링휴양' 테마 상품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다는 것이다. 이는 여행객들이 패키지 여행을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확실한 휴식과 재충전을 원한다는 심리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비행시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4시간~8시간'의 중거리 비행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고, '4시간 미만'의 근거리와 '8시간 이상'의 장거리 비행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4시간~8시간 비행 구간에서는 4일, 5일, 6일 순으로 일정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 비행시간대에 속하는 여행지 중에서는 치앙마이, 다낭, 라오스 등 동남아시아 지역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이러한 조사 결과는 최근 여행 시장에서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퀵턴(Quick Turn)' 여행 트렌드와도 일맥상통한다. 퀵턴은 짧은 기간 동안 빠르게 다녀오는 여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 사이에서 주말이나 연휴를 활용한 짧은 해외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다.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여행객들 사이에서 근거리·단기간 여행이 확고한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며 "퀵턴 여행의 인기와 더불어 주 4일제 시행 가능성도 논의되면서 단거리 여행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이러한 여행 트렌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여행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짧지만 질 높은 휴식을 추구하는 여행객들의 니즈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검증된 패키지 여행 상품을 통해 효율적으로 휴식을 취하려는 현대인들의 실용적인 여행 방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