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사우디, 이란인 마약 사범 사형에 이란 발칵..화해 '물거품 되나'

 사우디아라비아가 마약 밀수 혐의로 이란인 6명을 처형하면서 양국 관계가 다시 긴장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1일(현지시간) 사우디 국영 통신사 SPA와 AFP 통신에 따르면, 사우디 내무부는 해시시(농축 대마)를 밀반입한 이란 국적자들에 대한 사형을 담맘에서 집행했다고 발표했다.

 

중동 최대 규모의 마약 시장을 보유한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시리아 등지의 친이란 무장세력과 연계된 마약 밀수 문제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우디는 국제사회의 비판으로 한동안 마약사범에 대한 사형 집행을 중단했다가 2022년 11월부터 이를 재개했다.

 

AFP 통신은 사우디의 연간 사형 집행 건수가 2022년 170건에서 2023년 최소 338건으로 크게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지난해 처형된 사형수 중 외국인이 129명, 마약 관련 사범이 117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우디가 중국, 이란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사형을 집행하는 국가라는 점을 보여준다.

 


사우디의 실질적 통치자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는 2022년 한 언론 인터뷰에서 살인이나 다수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 범죄를 제외하고는 사형을 선고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사형 집행 건수는 오히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국제사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이번 처형과 관련해 이란 외무부는 즉각 반발했다. 이란은 자국민 처형이 국제법을 위반한 것이라며 사우디 대사를 초치해 강력히 항의했다. 이슬람 수니파의 맹주인 사우디와 시아파의 종주국인 이란은 오랫동안 종파 갈등과 중동 지역 패권을 두고 대립해왔다.

 

양국은 2016년 사우디가 시아파 성직자를 처형한 것을 계기로 단교했다가, 2023년 3월 중국의 중재로 외교관계를 복원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이란인 처형 사태로 양국 관계가 다시 악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