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트럼프, '탈달러 가만히 안 둬"..또 100% 관세 경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브릭스(BRICS) 국가들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발송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브릭스 회원국들이 미국 달러를 대체할 새로운 통화를 만들거나 다른 통화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지 않으면 100% 관세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달러화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국가들이 이를 시도한다면, 미국은 더 이상 가만히 지켜보기만 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강화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으며, 달러를 대체하려는 브릭스 국가들의 시도를 저지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그는 "브릭스 국가들이 국제 무역에서 달러를 대체할 가능성은 없다"며, "이를 시도하는 국가들은 100% 관세를 부과받고, 결국 미국과 작별을 고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릭스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비서방 신흥 경제국들의 모임으로, 최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등 새로운 회원국들을 영입하고 역내 통화를 활용하는 방향으로 세력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브릭스는 회원국 간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결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달러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강화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브릭스 국가들이 미국의 경제 제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무역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지난해 11월에도 브릭스 국가들에게 "달러 패권에 도전하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지며,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지키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또한, 미국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결제시스템에서 러시아를 제외시키고, 달러를 무기화하여 경제 제재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위안화나 밀수출을 통해 무역을 이어가고 있으며, 중국도 달러를 대체하려는 시도를 강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중국의 위안화가 대체통화로 떠오르는 것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달러는 여전히 전 세계 외환 거래의 90%를 차지하는 등 국제 거래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각국은 탈달러 움직임을 보이며 세계 중앙은행 외환보유액에서 달러 비중이 2000년 70% 이상에서 2023년 58%로 줄어들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고율의 관세 정책을 통해 각국이 다시 달러화 비중을 늘리도록 압박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러한 경제 정책은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가 약화될 경우, 미국의 세계 경제에서의 영향력이 약화될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이를 통해 다른 국가들이 달러를 대체하려는 시도를 막고, 세계 경제에서의 미국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브릭스 국가들이 트럼프의 발언에 강력히 반응하며 맞대응을 예고했다. 중국과 러시아, 인도 등 주요 회원국들은 미국의 압박에 대해 자국의 경제적 독립성을 강조하며, 미국의 100% 관세 경고에 단호히 반발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의 지나친 경제 제재는 오히려 세계 경제의 다극화를 촉진할 뿐"이라며, "우리는 BRICS 차원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달러에 의존하지 않는 글로벌 결제 시스템 구축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은 위안화를 비롯한 자국 통화의 국제화를 목표로, 이미 다수의 국가들과 거래에서 달러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협력하고 있다.

 

러시아도 강경하게 대응했다. 러시아의 경제부는 "미국이 국제적인 경제 제재를 강화하면서 세계 경제에서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우리는 새로운 경제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BRICS 내에서 달러를 대체할 시스템을 추진하는데 전념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의 경제 제재를 경험하면서 중국, 인도와의 무역에서 위안화나 자국 화폐를 사용하고 있다.

 

인도의 경제 전문가들도 트럼프의 발언을 비판하며, "미국이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강화하려는 시도는 세계 경제의 분열을 초래할 뿐"이라고 경고했다. 인도는 BRICS 내에서 자국의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디지털 화폐와 새로운 결제 시스템을 개발하여 탈달러화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브릭스 회원국들은 트럼프의 100% 관세 경고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경제적 주권을 지키기 위한 움직임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BRICS 내에서의 통화 협력과 디지털 화폐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미국의 경제 제재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또한, 브릭스 국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르헨티나 등 새로운 회원국을 추가하며 글로벌 경제에서의 영향력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이들은 각국의 통화를 활용한 무역 결제 시스템을 확립하여, 미국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경제에서 달러의 독점적 지위를 도전하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트럼프의 강경한 발언에도 불구하고, 브릭스 국가들의 협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국은 미국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며, 세계 경제의 패권을 쥐기 위한 경쟁에 나설 준비를 하고 있다.

 

월드투어 티켓 구하기 실패했다면? 수영복만 입고 라이즈 직관하자!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캐리비안 베이 야외 파도풀에서 '워터 뮤직 풀파티' 스페셜 무대를 개최한다고 4일 발표했다.첫날인 7일에는 현재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그룹 라이즈(RIIZE)가 무대에 오른다. 라이즈는 현재 월드투어를 진행 중으로, 서울 KSPO돔을 시작으로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전석 매진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글로벌 대세 그룹이다. 이들의 캐리비안 베이 출연 소식은 팬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이튿날인 8일에는 유튜브에서 3100만 조회수를 기록한 히트곡 '도파민(Dopamine)'의 주인공 비트박서 윙(Wing)과 비트펠라하우스가 출연한다. 이들은 짜릿한 라이브 퍼포먼스로 워터파크의 분위기를 한층 더 달굴 예정이다.마지막 날인 9일에는 최근 워터 페스티벌의 강자로 떠오른 키스오브라이프(KISS OF LIFE)가 무대를 장식한다. 강렬한 에너지의 퍼포먼스로 '서머퀸' 이미지를 굳히고 있는 이들의 공연은 캐리비안 베이의 여름 축제를 화려하게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된다.더불어 오는 16일에는 엔시티 위시(NCT WISH)가 '썸머 스테이지'라는 특별 공연을 통해 캐리비안 베이를 찾는다. 이날 오후 2시부터 6시 30분 사이에는 SNS에 관련 곡을 공유하는 고객들에게 타투 스티커를 증정하는 팬 이벤트도 마련된다.또한 14일부터 24일까지는 캐리비안 베이 곳곳과 셔틀버스 등에서 NCT WISH의 음악과 영상이 상영되어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처럼 캐리비안 베이는 단순한 물놀이를 넘어 K팝 스타들과 함께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변모한다.삼성물산 관계자는 "워터 뮤직 풀파티가 열리는 파도풀에서는 매일 최대 2.4m 파도를 맞으며 유명 클럽 디제이들이 선사하는 K팝·EDM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매일 즐길 수 있다"고 소개했다. 특별 공연이 없는 날에도 방문객들은 수준 높은 음악과 함께 워터파크를 즐길 수 있다는 의미다.한편, 캐리비안 베이는 오는 24일까지 '투파크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기간 동안 캐리비안 베이를 방문한 고객은 당일 오후 에버랜드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매주 캐리비안 베이와 에버랜드를 모두 방문한 고객 중 1명을 추첨해 순금 5돈 한정판 금화를 선물하는 특별 이벤트도 마련되어 있어 방문객들에게 추가적인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이번 '워터 뮤직 풀파티'는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줄 물놀이와 함께 최고의 K팝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로, 여름 휴가를 계획 중인 이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