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파나소닉, 70년 만에 TV 사업 '백기'

 '일본 기술력의 자존심'으로 불리던 파나소닉 TV가 70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한때 'Made in Japan'의 상징과도 같았던 일본 TV는 한국과 중국의 거센 추격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백기를 든 것이다.

 

1952년 TV 사업에 첫 발을 내딛은 파나소닉은 1970~80년대 '나쇼날' 브랜드로 전 세계 가전 시장을 호령했다. 당시 파나소닉 TV는 뛰어난 화질과 내구성을 자랑하며 국내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TV는 역시 나쇼날'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LCD TV 시장을 주도하기 시작하면서 파나소닉의 아성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뒤늦게 LCD TV 시장에 뛰어든 파나소닉은 한국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따라잡지 못하고 가격 경쟁에 매달리는 악순환에 빠졌다.

 

"한 번 잃어버린 기술 격차는 좀처럼 따라잡기 힘들다"는 업계의 정설을 파나소닉도 피해갈 수는 없었다. 2010년대에는 중국 업체들까지 저가 공세에 가세하면서 파나소닉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졌다.

 


파나소닉은 OLED TV 시장 진출 등 자구 노력을 기울였지만, 이미 격차가 벌어진 기술력을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015년에는 소니와 합작으로 OLED 패널 생산 업체 'JOLED'를 설립하며 반격을 노렸지만, 생산 수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2023년 파산이라는 쓴맛을 봤다.

 

결국 파나소닉은 2022년 북미 시장에서 TV 판매를 중단한 데 이어, 2023년에는 자국 시장에서도 철수 수순을 밟게 됐다. 전문가들은 파나소닉의 몰락을 "신기술 개발보다는 단기적인 가격 경쟁에 치중한 결과"라고 분석하며, "변화에 뒤처진 일본 제조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한때 세계 TV 시장을 석권했던 일본은 이제 한국과 중국에 왕좌를 내주고 쓸쓸한 퇴장을 준비하고 있다. 파나소닉의 몰락은 "영원한 승자는 없다"는 냉혹한 시장 경제의 논리를 다시 한번 증명하고 있다.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주인공들이 제주에?... 9월 제주에서 벌어지는 충격적 만남

타 인 제주)를 개최한다고 12일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K-팝과 K-콘텐츠를 사랑하는 전 세계 한류 팬들에게 제주의 로컬 문화와 연계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첫째 날인 9월 12일에는 방탄소년단(BTS) 멤버 진이 tvN 프로그램 '핸썸가이즈' 촬영 당시 방문했던 서귀포시 신효동의 '베케 정원'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이날 행사에서는 제주어로 부르는 K-팝 스타 노래, K-팝 스타의 안무 배우기, 가야금과 아카펠라로 듣는 K-팝 메들리 콘서트 등 한류 팬들이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또한 팬아트 전시회, 전통 보자기를 활용한 워크숍, 신효마을 투어 등을 통해 팬덤과 지역사회가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둘째 날인 9월 13일에는 제주목 관아에서 K-드라마와 K-컬처를 테마로 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를 주제로 한 선흘 할망 작품 전시와 제주목 관아 도슨트 투어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호랑이(더피)를 모티브로 한 작호도 만들기 체험과 저승사자 의상을 입고 네 컷 사진을 찍는 이벤트도 마련되어 한류 팬이라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특별히 이번 행사에서는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노력도 엿볼 수 있다. 제주관광공사는 티웨이항공, 휠체어 전문 여행사와 협력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K-팝 팬들을 제주로 특별 초청하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장애인 팬들에게도 한류 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포용적인 문화 행사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행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공식 인스타그램(@purplefesta2025)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지될 예정이다. 관심 있는 한류 팬들은 공식 SNS를 통해 최신 소식을 확인할 수 있다.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올해 처음 열리는 이 행사는 당초 BTS 팬덤을 타깃으로 기획했다가 K-팝과 K-콘텐츠를 사랑하는 세계 한류 팬으로 대상을 넓혀 추진하게 됐다"며 "참가자들에게 제주 로컬문화와 연결된 새로운 팬덤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특별한 추억을 선물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한류 콘텐츠와 제주의 지역 문화를 결합하여 글로벌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제주 관광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