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파나소닉, 70년 만에 TV 사업 '백기'

 '일본 기술력의 자존심'으로 불리던 파나소닉 TV가 70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한때 'Made in Japan'의 상징과도 같았던 일본 TV는 한국과 중국의 거센 추격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백기를 든 것이다.

 

1952년 TV 사업에 첫 발을 내딛은 파나소닉은 1970~80년대 '나쇼날' 브랜드로 전 세계 가전 시장을 호령했다. 당시 파나소닉 TV는 뛰어난 화질과 내구성을 자랑하며 국내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TV는 역시 나쇼날'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 기업들이 LCD TV 시장을 주도하기 시작하면서 파나소닉의 아성은 흔들리기 시작했다. 뒤늦게 LCD TV 시장에 뛰어든 파나소닉은 한국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을 따라잡지 못하고 가격 경쟁에 매달리는 악순환에 빠졌다.

 

"한 번 잃어버린 기술 격차는 좀처럼 따라잡기 힘들다"는 업계의 정설을 파나소닉도 피해갈 수는 없었다. 2010년대에는 중국 업체들까지 저가 공세에 가세하면서 파나소닉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졌다.

 


파나소닉은 OLED TV 시장 진출 등 자구 노력을 기울였지만, 이미 격차가 벌어진 기술력을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015년에는 소니와 합작으로 OLED 패널 생산 업체 'JOLED'를 설립하며 반격을 노렸지만, 생산 수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2023년 파산이라는 쓴맛을 봤다.

 

결국 파나소닉은 2022년 북미 시장에서 TV 판매를 중단한 데 이어, 2023년에는 자국 시장에서도 철수 수순을 밟게 됐다. 전문가들은 파나소닉의 몰락을 "신기술 개발보다는 단기적인 가격 경쟁에 치중한 결과"라고 분석하며, "변화에 뒤처진 일본 제조업의 현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지적했다.

 

한때 세계 TV 시장을 석권했던 일본은 이제 한국과 중국에 왕좌를 내주고 쓸쓸한 퇴장을 준비하고 있다. 파나소닉의 몰락은 "영원한 승자는 없다"는 냉혹한 시장 경제의 논리를 다시 한번 증명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다" 찬사…3만명 몰려가 직접 달려본 마라톤 코스

형 등 유명인으로 구성된 출연진들은 지난 10일 방송에서 세계 7대 메이저 마라톤으로 공식 등극한 'TCS 시드니 마라톤' 완주에 도전했다. 이들은 시드니의 상징인 하버브리지를 직접 발로 달리며 오페라하우스 앞 결승선을 통과하는 감동적인 여정을 선보이며, 단순한 도시를 넘어 스포츠의 성지로 거듭난 시드니의 역동적인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했다.이번 방송의 핵심인 TCS 시드니 마라톤은 올해를 기점으로 보스턴, 런던, 뉴욕, 도쿄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애보트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 대회로 공식 승격되었다. 이는 시드니가 세계적인 스포츠 도시로서의 입지를 공인받았음을 의미한다. 호주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이 국제 마라톤 대회에는 100여 개국에서 3만 3천여 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모여 장관을 이뤘다. 특히 하버브리지와 서큘러키, 오페라하우스를 잇는 코스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라톤 코스'라는 찬사를 받으며, 단순한 기록 경쟁을 넘어 도시의 풍광을 만끽하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마라톤의 뜨거운 열기 이후, 방송은 도전적인 여정과 대비되는 평화롭고 낭만적인 호주의 모습을 담아냈다. 출연진은 시드니 근교의 대표적인 여행지인 헌터밸리와 포트스테판으로 이동해 진정한 휴식을 즐겼다.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와인 산지인 헌터밸리에서는 150개가 넘는 와이너리 중 한 곳을 방문하고 열기구를 체험하며 목가적인 풍경 속에서 미식과 여유를 만끽했다. 이어 포트스테판의 광활한 모래언덕과 천연 해변에서는 돌고래 크루즈를 포함한 다채로운 해양 액티비티를 즐기며 호주 대자연이 주는 모험과 휴식을 동시에 경험했다.결과적으로 '뛰어야 산다 in 시드니'는 단순한 연예인들의 여행기를 넘어, 하나의 도시가 품을 수 있는 경험의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은지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의 중심에서 느끼는 짜릿한 성취감부터, 대자연 속에서 누리는 평화로운 휴식과 미식의 즐거움까지, 스포츠, 자연, 도시 문화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뉴사우스웨일즈주의 진정한 매력을 한국 시청자들에게 각인시켰다. 이는 새로운 여행지에 대한 영감과 동기를 부여하며, 호주 여행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