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일자리 미끼" 러시아의 섬뜩한 병력 충원법

 러시아가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 국민들을 상대로 '취업 사기'를 벌여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할 병력을 모집하고 있다는 충격적인 외신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현지 시각 9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는 공장 등에서 일할 노동자를 구한다는 허위 광고로 구직자들을 유인한 뒤, 모스크바에 도착하면 강압적으로 러시아군 입대를 강요하고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보낸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카메룬 출신 장 오나나(36)는 심문 과정에서 샴푸 공장 취업 광고를 보고 러시아행을 택했으나, 공장이 아닌 러시아군과 계약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5주간의 짧은 군사훈련 후 바로 최전선에 투입됐다. 오나나는 훈련 당시 짐바브웨, 방글라데시, 브라질 국적의 외국인 10여 명과 함께였다고 전했다. 세네갈 출신 말릭 디오프(25)는 러시아 유학 중 전투가 아닌 식기 세척 업무로 월 5,700달러(약 772만원)의 고수익을 약속받고 입대했지만, 그 역시 최전선에 배치된 후 탈영하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됐다.

 

이처럼 취업 사기 방식으로 러시아군에 입대해 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된 외국인의 정확한 수는 현재 파악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일부 외국인은 전선 투입의 위험을 알면서도 자국에서의 낮은 소득 때문에 러시아군의 높은 급여(카메룬 부사관 월 약 11만원 vs 러시아군 월 약 260만원)를 보고 자원입대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최근 한 카메룬 군인은 SNS에 자신의 급여 명세서를 올리며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러시아에 가서 죽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카메룬에서는 러시아군에 입대한 뒤 연락이 끊긴 친인척의 생사를 묻는 글들이 SNS에 잇따르고 있어 현지 사회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카메룬 정부는 현직 군인이 군을 이탈해 러시아로 가는 사례가 늘자 군인의 해외 출국 규제를 강화하는 조치를 취했다.

 

러시아는 심지어 군수품 제조 공장에 외국인 여성들까지 동원하는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해 4월 우크라이나군이 모스크바 동부 옐라부가 산업단지의 드론 제조 공장을 폭격했을 때 아프리카 출신 여성 노동자 여러 명이 부상당했는데, 이들은 자신이 일하는 장소가 우크라이나의 공격 목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러시아가 전쟁 수행에 필요한 병력과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취약한 개발도상국 국민들을 기만적인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이 전쟁의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국제사회의 관심과 보호 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애인도 섬으로 바다로... 기아가 무료로 제공하는 특별한 여행

,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이재강 사단법인 그린라이트 회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동약자 섬·바다 여행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기아는 기존의 '초록여행' 프로그램에 섬·바다 여행을 추가하여 장애인들의 여행 경험 지원 범위를 확대한다. 새롭게 추가된 섬·바다 여행 프로그램은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변산반도 국립공원 체험과 한려해상 국립공원 체험 두 가지 코스로 운영되며, 2027년 10월까지 3년간 총 150팀이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기아는 협약 발표 당일부터 8월 섬·바다 여행 프로그램에 참여할 8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들은 장애인 1명을 필수로 포함해 최대 4인 1팀을 구성하여 '초록여행' 홈페이지를 통해 변산반도와 한려해상 중 한 곳을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이 프로그램에 선정된 참가자들에게는 장애인 편의장치가 장착된 카니발 1대를 최대 3박 4일 동안 무료로 제공하며, 유류비와 여행경비도 지원된다. 필요한 경우 운전기사와 수어 통역사도 함께 지원받을 수 있어 이동약자들의 여행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 국립공원공단은 1박 2일 숙박과 함께 섬 트레킹, 요트 투어와 같은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의 운영을 담당한다.기아의 초록여행은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을 위해 특수 제작한 차량을 무료로 대여해주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2012년 첫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약 10만 명이 이용했다. 기아 관계자는 "장애인들에게 보다 다채로운 여행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추진했다"며 "앞으로도 PBV 기반 이동약자 전용 차량인 PV5 WAV를 초록여행에 투입하는 등 장애인의 이동권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기아는 '인류의 안전하고, 자유롭고, 지속가능한 삶에 기여한다'는 사회공헌 미션 아래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다문화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하모니움', 갯벌 생태보호를 위한 '갯벌식생복원', 지역사회 가축분뇨 문제 해결을 위한 '가축분뇨 친환경처리'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아프리카 등지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그린라이트 프로젝트'와 해양 폐플라스틱 수거 및 재자원화를 위한 '오션클린업' 등의 프로젝트를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