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튀긴 벌레, 고추가루에 이어 돼지곱창까지... 中 커피 시장의 기괴한 실험

 중국 쓰촨성의 작은 도시 장유(江游)에서 한 카페가 전통과 현대를 결합한 파격적인 음료로 화제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이 카페에서 선보인 신메뉴는 다름 아닌 '돼지곱창 커피'로, 삶은 돼지곱창에서 우려낸 국물을 라떼와 섞은 독특한 조합이다.

 

이 특별한 커피는 한 잔에 32위안(약 6,000원)으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고려해 입문용, 중급, 고급 세 가지 단계로 제공된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곱창의 풍미가 더욱 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24일 보도에 따르면, 이 독특한 시도는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지역 특산물을 알리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카페 사장 장위치씨는 "장유시의 유명 식당에서 직접 돼지곱창 요리를 구입해 그 국물을 라떼와 조합한다"며 "한 잔의 커피에 정확히 곱창 국물 6g을 첨가하는데, 이는 수차례 테스트를 거쳐 찾아낸 황금 비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독특한 음료의 맛을 '짠 치즈'와 비슷하게 짭짤하면서도 달콤한 풍미라고 표현했다.

 

이 파격적인 메뉴가 온라인에서 화제가 된 이후, 카페의 매출은 놀랍게도 4배 이상 증가했다. 현재 이 카페를 찾는 손님의 약 80%가 이 특이한 음료를 주문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멀리 쓰촨성 청두에서도 이 커피를 맛보기 위해 방문하는 손님들이 늘고 있다.

 


청두에서 온 한 여성 고객은 "평소 커피를 즐겨 마시는데, 곱창 커피에 대한 소문을 듣고 직접 경험해보고 싶었다"고 방문 이유를 밝혔다. 중국 북부 지역에서 온 다른 손님은 "북방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돼지곱창을 즐겨 먹지 않지만, 이렇게 조합된 맛이라면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러한 창의적인 시도는 중국 음료 시장에서 드문 일이 아니다. 장시성의 한 커피숍은 라떼에 튀긴 고추와 고춧가루를 넣은 '매운 커피'로 주목을 받았으며, 윈난성의 카페는 더 과감하게 튀긴 벌레를 커피에 섞어 SNS에서 화제를 모았다. 이처럼 중국에서는 전통 식재료와 서양의 커피 문화를 접목한 실험적인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장위치 사장의 이 대담한 시도는 단순한 마케팅 전략을 넘어, 지역 음식 문화를 새로운 방식으로 알리고 보존하려는 노력으로도 볼 수 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 독특한 커피는 장유시의 맛있는 전통 음식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하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한다.

 

돼지곱창 커피의 성공은 소비자들이 점점 더 새롭고 독특한 맛의 경험을 추구하는 현대 트렌드를 반영하는 동시에, 전통 식재료가 현대적 방식으로 재탄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라 할 수 있다.

 

'7말8초' 대한민국 대이동 예고... 강원도·제주도·부산 TOP3 차지

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여름 국내 여행을 떠난다는 응답이 52.7%로 작년보다 17%포인트나 증가했다.반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응답자는 25.9%로 전년 대비 5.2%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국내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국내 여행지 중에서는 강원도가 18.1%로 1위를 차지했지만, 작년보다는 7.8%포인트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제주도가 17.3%로 2위, 부산이 12.2%로 3위를 차지하며 인기 여행지로 자리매김했다.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동남아를 선택한 비율이 30.8%로 가장 높았고, 일본이 30.4%로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유럽을 선택한 응답자도 14.6%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휴가 시기는 7월 마지막 주(29.1%)와 8월 첫째 주(22.5%)에 집중되어, 이른바 '7말8초'에 과반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는 전통적으로 한국의 여름 휴가 성수기로, 많은 직장인들이 집중적으로 휴가를 사용하는 기간이다.예상 지출 비용을 살펴보면, 국내여행의 경우 1인당 '50만원에서 100만원' 사이를 예상한 응답자가 36.8%로 가장 많았다. 해외여행은 '100만원에서 200만원' 사이라고 답한 비율이 27.7%로 가장 높았다. 이는 해외여행이 국내여행보다 평균적으로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됨을 보여준다.여름 휴가지를 선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는 '관광지와 놀거리'(54.8%), '음식'(48.8%), '비용'(41.7%)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용 측면은 여행 계획 수립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편,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들도 30.9%에 달했다. 이들이 휴가를 계획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42.3%)이 가장 많았고, '성수기라 사람이 많을 것 같아서'(29.4%), '휴가를 가야 할 이유를 크게 못 느껴서'(22.9%)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경제적 상황이 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응답자들은 아낀 휴가 비용을 생활비(37.4%), 적금·저축(15.3%), 주식 투자(6.8%)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 대신 재정적 안정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번 조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여행 트렌드와 경제적 상황이 여름휴가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볼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 선호도가 크게 증가한 점은 국내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