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관세 41%’ 충격..美 무역 칼날 맞은 국가들

 미국 정부는 2025년 7월 31일(현지시간) 68개 국가와 유럽연합(EU)을 포함한 총 69개 경제주체에 대해 상호관세율을 새롭게 수정·발표했다. 이번 관세율 조정은 4월 2일 발표한 초안에서 크게 변경된 것으로, 대미 무역수지와 미국과 각국의 개별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됐다. 백악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을 통해 각국에 통보한 새 관세율을 공개하며, 대체로 관세 범위를 좁히고 일부 국가의 세율을 인하하는 방향으로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새로 조정된 상호관세율은 최소 10%에서 최대 41% 사이에 분포한다. 이는 4월 발표 당시 최소 10%에서 최대 50%에 이르렀던 것과 비교하면 최고세율이 9%포인트 낮아졌고, 세율 구간 자체가 좁아진 셈이다. 백악관은 이번 조정 배경에 대해 미국과 무역관계에서 적자를 기록한 국가들에는 10%의 최소 상호관세율을 적용한 반면, 대미 무역흑자를 내는 국가에는 15% 이상의 높은 관세를 부과해 무역 균형을 맞추려는 취지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전날 미국과의 무역 합의 타결에 따라 당초 25%였던 관세율이 15%로 인하됐다. 미국과 협상을 마친 일본과 유럽연합 역시 각각 10\~15%포인트 정도 세율이 내려갔다. 한국, 일본, EU 등 대미 무역흑자국 중에서는 최소 상호관세율인 15%가 적용되는 경제주체가 40개국에 달한다. 이들 국가에는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요르단, 튀르키예,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국가는 지난 7일 개별 관세율을 통보받았을 때보다 한국은 10%포인트, 일본 역시 10%포인트, EU는 15%포인트 인하된 세율을 적용받는 등 상당한 혜택을 받았다.

 

한편 26개국은 15%를 초과하는 관세율이 부과됐다. 가장 높은 세율은 시리아로 41%였으며, 라오스와 미얀마가 각각 40%, 스위스는 39%, 세르비아와 이라크는 35%였다. 또한 리비아, 알제리, 남아공, 보스니아가 각 30% 수준의 관세를 부과받았다. 인도, 카자흐스탄, 몰도바, 브루나이, 튀니지 등은 25%, 대만, 베트남,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등은 20%의 세율이 적용됐다. 동남아시아 국가인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캄보디아는 약 19%, 니카라과는 18% 수준이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이들 국가에 대해 “미국과의 무역적자 규모가 가장 큰 나라들”이라며 높은 관세 부과 이유를 밝혔다.

 

 

 

반면, 10% 관세가 적용된 국가는 영국, 브라질, 포클랜드 제도 3곳에 불과했다. 다만 브라질은 별도의 행정명령에 따라 정치적 이유로 40%포인트를 추가 부과받아 사실상 50%의 높은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이번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들은 미국에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국가들로, 기본관세인 10%만 부과된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를 “트럼프 대통령의 절제라고 볼 수 있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중국은 이번 관세율 명단에서 제외됐다. 4월 초안 당시 34%의 관세율이 예고됐으나, 5월 12일 미중 간 합의로 상호 관세를 각각 115%포인트씩 낮추기로 한 내용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백악관은 이 합의가 이번 행정명령에 반영됐음을 밝혔다.

 

이번 관세 조정으로 많은 국가가 4월 초안에 비해 관세율이 낮아졌으나 일부 국가에서는 큰 폭으로 인하됐다. 대표적으로 아프리카의 레소토는 50%에서 15%로, 캄보디아도 49%에서 19%로 약 3분의 1 수준으로 세율이 크게 감소했다. 이와 같은 조치에 대해 ‘기준 없이 고무줄 잣대가 적용된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애초 관세 발효일로 공언했던 8월 1일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발효 시점을 8월 7일 0시 1분으로 연기했다. 백악관은 이 같은 연기는 관련 기관들이 새로운 관세를 적용할 준비를 위한 기술적 시간 확보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수정된 관세율 발표는 미국의 대외 무역 정책 및 경제 전략의 일환으로, 각국과의 무역 협상 상황 및 대미 무역수지 상태를 반영한 것이다. 한국과 일본, EU 등 주요 경제권이 관세 인하의 혜택을 입었지만, 여전히 일부 국가들은 높은 관세 부담으로 인해 무역 긴장이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의 이러한 관세 정책은 무역수지 개선을 목표로 하면서도, 협상 타결을 통해 일부 국가와는 유화적인 조치를 병행하는 양면적 전략임을 보여준다. 향후 미국과 각국 간 무역관계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월드투어 티켓 구하기 실패했다면? 수영복만 입고 라이즈 직관하자!

7일부터 9일까지 3일간 캐리비안 베이 야외 파도풀에서 '워터 뮤직 풀파티' 스페셜 무대를 개최한다고 4일 발표했다.첫날인 7일에는 현재 세계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그룹 라이즈(RIIZE)가 무대에 오른다. 라이즈는 현재 월드투어를 진행 중으로, 서울 KSPO돔을 시작으로 일본, 홍콩 등 아시아 주요 도시에서 전석 매진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글로벌 대세 그룹이다. 이들의 캐리비안 베이 출연 소식은 팬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이튿날인 8일에는 유튜브에서 3100만 조회수를 기록한 히트곡 '도파민(Dopamine)'의 주인공 비트박서 윙(Wing)과 비트펠라하우스가 출연한다. 이들은 짜릿한 라이브 퍼포먼스로 워터파크의 분위기를 한층 더 달굴 예정이다.마지막 날인 9일에는 최근 워터 페스티벌의 강자로 떠오른 키스오브라이프(KISS OF LIFE)가 무대를 장식한다. 강렬한 에너지의 퍼포먼스로 '서머퀸' 이미지를 굳히고 있는 이들의 공연은 캐리비안 베이의 여름 축제를 화려하게 마무리할 것으로 기대된다.더불어 오는 16일에는 엔시티 위시(NCT WISH)가 '썸머 스테이지'라는 특별 공연을 통해 캐리비안 베이를 찾는다. 이날 오후 2시부터 6시 30분 사이에는 SNS에 관련 곡을 공유하는 고객들에게 타투 스티커를 증정하는 팬 이벤트도 마련된다.또한 14일부터 24일까지는 캐리비안 베이 곳곳과 셔틀버스 등에서 NCT WISH의 음악과 영상이 상영되어 팬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처럼 캐리비안 베이는 단순한 물놀이를 넘어 K팝 스타들과 함께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변모한다.삼성물산 관계자는 "워터 뮤직 풀파티가 열리는 파도풀에서는 매일 최대 2.4m 파도를 맞으며 유명 클럽 디제이들이 선사하는 K팝·EDM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매일 즐길 수 있다"고 소개했다. 특별 공연이 없는 날에도 방문객들은 수준 높은 음악과 함께 워터파크를 즐길 수 있다는 의미다.한편, 캐리비안 베이는 오는 24일까지 '투파크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 기간 동안 캐리비안 베이를 방문한 고객은 당일 오후 에버랜드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매주 캐리비안 베이와 에버랜드를 모두 방문한 고객 중 1명을 추첨해 순금 5돈 한정판 금화를 선물하는 특별 이벤트도 마련되어 있어 방문객들에게 추가적인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이번 '워터 뮤직 풀파티'는 무더위를 시원하게 날려줄 물놀이와 함께 최고의 K팝 아티스트들의 공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로, 여름 휴가를 계획 중인 이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