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中발 '대리 임신 로봇'이 가져올 출산 혁명

 중국의 한 로봇 기업이 세계 최초로 '대리 임신 로봇'을 개발 중이라고 밝혀 관심을 모으고 있다. 11일 신경보 등 중국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선전룽강촹반카이와로봇'의 창업자이자 대표인 장치펑 박사는 최근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1년 안에 대리 임신 로봇을 선보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장치펑 대표는 싱가포르 난양공대 박사 출신으로, 그가 개발 중인 로봇은 기존의 시험관 아기 시술이나 대리모 임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법을 취한다고 설명했다. 이 '로봇 엄마'는 단순히 자궁 환경을 모방하는 수준을 넘어, 인간의 임신부터 분만까지의 전 과정을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장 대표는 이 기술이 단순한 인큐베이터가 아니라, 인간과 유사한 로봇 체내에 내장된 장치에서 아기가 성장하는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 기술이 기본적으로 인큐베이터를 로봇 복부에 결합한 형태라고 설명하면서, 시제품이 1년 안에 출시될 예정이며 가격은 10만 위안(약 1935만원) 이하로 책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소식에 대한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은 극명하게 나뉘었다. 소셜미디어 웨이보(중국판 엑스) 등에서는 이 로봇을 구매하고 싶다는 의견이 다수 등장했으며, 일부 네티즌들은 가격이 더 비싸도 괜찮다며 적극적인 환영 의사를 표명했다. 이는 중국의 저출산 문제와 함께, 다양한 이유로 자연 임신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이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한 네티즌의 "임신 로봇이 성공적으로 나온다면 생명과학의 혁명적 진전이 될 것이고, 아이를 갖기 어려운 특정 집단에는 아이를 낳을 새로운 경로를 열어주겠지만, 그 전복성은 전례 없는 윤리·법률·사회적 도전을 가져올 것"이라는 의견이 많은 공감을 얻었다.

 

이러한 우려는 인공 생명 창조에 관한 윤리적 논쟁, 인간 생식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질문,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 보편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인공 임신과 출산이 자연적인 과정을 대체할 경우, 모성의 의미와 가족 구조에 근본적인 변화가 올 수 있다는 점도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중국은 최근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대리 임신 로봇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이 실제로 상용화되기까지는 기술적 과제뿐만 아니라 사회적 합의와 법적 규제 마련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상황이다.

 

장치펑 대표가 예고한 대로 1년 안에 시제품이 공개될 경우, 이는 생명공학과 로봇 기술의 융합이 가져온 새로운 지평을 보여주는 사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인간 생식의 미래에 대한 전 세계적인 논의를 촉발할 가능성도 크다.

 

밤에는 불빛 터널, 낮에는 꽃 천국! 고석정 꽃밭, 가을에 안 가면 손해

하여 방문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마쳤다.고석정 꽃밭은 올가을 방문객들에게 짙은 가을 분위기를 선사하고자 천일홍, 백일홍, 코키아, 코스모스, 버베나, 핑크뮬리, 가우라, 억새, 해바라기 등 총 10가지 품종의 가을꽃을 심었다. 특히 붉게 물든 코키아와 바람에 일렁이는 핑크뮬리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드넓은 꽃밭을 거닐며 오색찬란한 꽃들의 향연 속에서 일상의 스트레스를 잊고 진정한 힐링을 경험할 수 있다.올해는 더욱 풍성한 즐길 거리가 추가되었다. 철원군의 귀여운 캐릭터 '철궁이'와 '철루미'를 활용한 아기자기한 토피어리가 곳곳에 설치되어 색다른 포토존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다채로운 먹거리 부스와 아이들이 좋아하는 깡통열차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즐길 거리도 대폭 확충되어 온 가족이 함께 행복한 추억을 만들 수 있다.고석정 꽃밭의 가을밤은 더욱 특별하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그리고 추석 연휴 기간에는 야간 개장을 통해 환상적인 야경을 선보인다. 덩굴식물 불빛 터널과 우산 조명 터널은 물론, 캐릭터 조형물과 미디어아트가 어우러져 낮과는 또 다른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관람객들에게 잊지 못할 밤을 선사할 예정이다.2021년 첫선을 보인 고석정 꽃밭은 짧은 기간 동안 누적 관광객 200만 명을 훌쩍 넘어서며 명실상부한 철원의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김종석 시설관리사업소장은 "고석정 꽃밭에서 아름다운 가을 풍경 속에서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란다"며 방문을 독려했다. 이번 가을, 고석정 꽃밭에서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