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글로벌

이게 뭐라고…스타벅스 컵 하나에 머리채 잡고 '난투극', 미국은 지금 전쟁 중

 미국 스타벅스가 연말 한정판으로 선보인 곰 모양 유리컵 '베어리스타 콜드컵'이 출시와 동시에 미국 전역을 뒤흔드는 '대란'의 중심에 섰다. 초록색 모자를 쓴 곰이 스타벅스 로고가 새겨진 컵을 앙증맞게 들고 있는 디자인의 이 컵은 개당 29.95달러, 우리 돈으로 약 4만 4천 원에 판매됐다. 하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폭발적인 인기에 출시 첫날 새벽부터 매장 앞은 컵을 손에 넣으려는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뤘고, 문을 열자마자 순식간에 동이 나면서 수많은 이들이 빈손으로 발길을 돌려야만 했다.

 

컵을 구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사투는 그야말로 전쟁을 방불케 했다. 소셜미디어에는 "새벽 3시에 일어나 '오픈런'을 감행했지만 결국 실패했다"는 허탈한 후기가 봇물처럼 쏟아졌다. 자신을 16세라고 밝힌 시드니 토마스는 무려 여덟 군데의 매장을 돌아다닌 끝에 간신히 컵 하나를 손에 넣을 수 있었다며, "이 컵을 너무나 갖고 싶었고, 얻기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할 생각이었다"고 말해 그 치열했던 분위기를 짐작하게 했다. 단순한 상품을 넘어, 반드시 손에 넣어야만 하는 '사냥감'이 된 셈이다.

 


과열된 인기는 결국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추태로까지 번졌다. 일부 매장에서는 마지막 남은 컵을 차지하기 위해 고객들 사이에 고성이 오가고 거친 몸싸움까지 벌어지는 영상이 촬영되어 온라인상에 빠르게 퍼져나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웃돈을 붙여 되파는 '리셀러'들도 기승을 부렸다. 정가 4만 원대의 컵이 온라인 중고 장터에서는 최대 20배에 가까운 550달러, 약 80만 원에 거래되는 등 비정상적인 시장이 형성됐다. 이를 지켜본 누리꾼들은 "다 큰 어른들이 컵 하나 때문에 싸우는 게 한심하다", "그냥 인터넷으로 다른 예쁜 곰돌이 컵을 사면 될 일"이라며 혀를 찼다.

 

결국 한정판 컵을 둘러싼 소비자들의 불만과 항의가 빗발치자 스타벅스는 공식적으로 고개를 숙였다. 스타벅스 측은 사과문을 통해 "이번 신제품에 대한 수요가 우리의 기대를 훨씬 뛰어넘었다"고 설명하며, "많은 고객에게 실망감을 안겨드린 점에 대해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연말의 즐거운 분위기를 위해 출시했을 한정판 상품이 오히려 소비자들의 분노와 실망감만 키우고, 추악한 암시장까지 형성하는 결과를 낳으면서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게 됐다.

 

밀양아리랑이 돈이 된다고?…'노래하는 창의도시' 선포한 밀양의 큰 그림

햇살문화캠퍼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도시의 문화·사회·경제가 만나 함께 빛나는 햇살 문화 엑스포'라는 주제 아래, 단순한 지역 축제를 넘어 밀양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장으로 기획되었다. 방치될 수 있었던 폐교 캠퍼스를 새로운 문화 거점으로 재탄생시키고, 시민과 예술인,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밀양의 문화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세계와 연결되는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특히 이번 엑스포는 밀양의 국제적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행사 기간 중 열린 문화유산 국제 콘퍼런스는 '오래된 미래, 문화유산을 통한 도시의 미래 전망'을 주제로 5개국 12개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깊이 있는 논의를 펼쳤다. 이 자리에서 밀양시는 '유네스코 창의 도시 밀양'이라는 담대한 비전을 선포하며 문화도시로서의 포부를 공식화했다. 나아가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및 몽골 국립문화유산센터와 문화유산 보호 및 전승을 위한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유산을 세계와 함께 지키고 발전시켜 나갈 실질적인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국제적 교류의 장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문화예술 행사도 엑스포 기간 내내 펼쳐졌다. 밀양대페스타와 연계하여 '기억, 로컬, 미래'를 주제로 열린 공연과 전시에는 무려 80개 단체가 참여해 햇살문화캠퍼스 곳곳을 활기로 가득 채웠다. 밀양의 정체성을 담은 주제공연 '날 좀 보소'는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으며, '새로운 시대, 새로운 지역,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한 미래 포럼에서는 지역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진지한 담론이 오갔다. 이는 엑스포가 전문가들만의 행사가 아닌, 모든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진정한 축제의 장이었음을 보여준다.밀양시는 이번 엑스포의 성공을 문화와 경제가 동반 성장하는 도시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삼겠다는 각오다. 안병구 시장이 밝혔듯이, 이번 행사는 밀양의 대표적 문화유산인 밀양아리랑을 중심으로 도시의 미래 가능성을 확인하는 기회였다. 앞으로 밀양시는 이번에 선포한 비전을 바탕으로 문화적 자산이 곧 지역의 경제적 성장 동력이 되는 '노래하는 창의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던 대학 캠퍼스가 수많은 사람의 발길이 머무는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한 것처럼, 밀양시 전체가 새로운 활력으로 가득 찬 도시로 변모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